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조
골격
뼈
골
구성
조직
기구
d라이브러리
"
뼈대
"(으)로 총 295건 검색되었습니다.
올 겨울 유성우 전망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한다 폴리곤의 크기가 작을수록 3D 캐릭터는 사실성을 갖게 된다3D 캐릭터를 만들 때
뼈대
가 되는 부분 본을 바탕으로 폴리곤을 위에 붙이면 정교한 근육 움직임과 표정까지 만들어 낼 수 있다물질 속에 있는 전자 하나를 밖으로 끌어내는 데 필요한 최소의 일 또는 에너지 단위는 전자볼트(eV)를 ... ...
극비공개 괴물동물원 비밀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6호
말라구!괴물동물원 역사전시관 : 신화 속의 괴물괴물동물원에 들어갈 첫 번째 괴물은‘
뼈대
있는’괴물이 좋겠다. 아주 먼 옛날부터 있었던 그리스 로마 신화 속의 괴물 말이다. 아니면 각 나라마다 전해 내려오는 전설 속의 괴물도 좋다. 하지만 아무 괴물이나 들일 수 없는 터! 철저하게 과학적으로 ... ...
뼈를 얻은 벅스버니, 도널드 덕, 톰과 제리
과학동아
l
2007년 11호
위해서일까. 그는 해박한 해부학 지식을 바탕으로 만화 주인공에 과학의 옷을 입혀
뼈대
를 만들어줬다. 상상 속에만 존재하던 만화 주인공들이 독자적인 생명체로 다시 태어난 듯하다. 이것이 대중문화의 환영(幻影) 속에서 가상의 화석을 발굴해내는 ‘고고학자’ 이형구의 작품세계다 ... ...
사이언스 시간여행 과거 속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0호
큰 반원.1707년 5월 23일‘분류학의 아버지’카를 린네 출생스웨덴의 식물학자로 분류학의
뼈대
를 만들었다. 그는 특히 생물의 학문적인 이름을 정하는 이명법을 창안했다. 이명법은 어떤 생물이 속해 있는 속과 종을 이용해 그 생물에 이름을 붙이는 방법이다.1889년 5월 25일헬리콥터를 발명한 이고르 ... ...
과학 행사 평정 비법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나서 날개에 물을 뿌리는 친구들이 많아요. 물이 마르면 날개는 팽팽해지지만 날개의
뼈대
와 동체는 뒤틀려요. 결국 균형이 안 맞아 잘 날 수가 없어요. 물을 뿌리기보다는 날개종이를 붙일 때 최대한 팽팽하게 붙여야 한답니다.비법 둘그냥 날리면 된다고? 오~, NO!다 만들고 나면 대회에서 날리기 ... ...
에이즈 치료하는 알약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한다 폴리곤의 크기가 작을수록 3D 캐릭터는 사실성을 갖게 된다3D 캐릭터를 만들 때
뼈대
가 되는 부분 본을 바탕으로 폴리곤을 위에 붙이면 정교한 근육 움직임과 표정까지 만들어 낼 수 있다물질 속에 있는 전자 하나를 밖으로 끌어내는 데 필요한 최소의 일 또는 에너지 단위는 전자볼트(eV)를 ... ...
중력의 마술, 서커스 퀴담
과학동아
l
2007년 06호
했다.평론가들은 퀴담을 예술과 서커스가 만났다며 극찬했지만 원리를 알고 보면 과학의
뼈대
에 서커스의 살을 입히고 예술로 화려하게 치장한 공연이다. 관객들의 벅찬 감동 속에 중력의 마술이 숨겨져 있다는 사실을 깨닫는다면 말이다 ... ...
하늘에 이름 새기려는 욕망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또 그리스 신화의 영웅 50명이 탔다는 거대한 배를 기념해 만든 아르고(Argo)자리를 배의
뼈대
에 해당하는 용골자리, 꼬리부분인 고물자리, 나침판자리, 돛자리 4부분으로 나눴다. 라카유가 제정한 별자리는 모두 17개로 이 별자리들은 남반구 별자리의 핵심으로 자리 잡았다. 오늘날 생각해 보면 다소 ... ...
PART2 세상을 디자인하는 논리의 힘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제 역할을 다하며 과학의
뼈대
가 되어주는 탓이다. 다 지어진 집에 살면서도 튼튼한
뼈대
의 고마움을 알기란 쉽지 않다. 원래 소중한 것은 눈에 잘 안 보이는 법이다. 정보통신과 생명공학, 컴퓨터공학 등 다양한 학문과 경계를 허물며 시너지효과를 내고 있는 수학은 이제 21세기의 필수품이다 ... ...
우주의 기원을 밝혀줄 암흑물질 지도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관심을 끄는 이유는 각 은하들이 어떻게 형성됐는지 알 수 있는 우주 팽창 모형의 기본
뼈대
이기 때문이다.눈에 보이지도 않는 암흑물질의 지도를 만들기 위해 연구팀은 암흑물질의 강력한 중력 때문에 주변 공간이 일그러지고 빛도 휘어지는 ‘중력렌즈효과’에 주목했다. 연구팀은 약 50만개의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