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대"(으)로 총 4,226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양자전송이 낯선 당신을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양자전송을 구현하더라도 물체를 찰나에 전달하는 순간이동과는 다릅니다. 왜냐면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A와 C 입자의) 양자얽힘 측정결과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통신은 빛의 속도보다 빠를 수 없기 때문이죠. 양자전송으로 양자상태를 전달받으려면 아무리 빨라도 송신자와 수신자 사이를 빛의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아바타의 새로운 터전도 골디락스 존일까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위성이 타원형이 되면 자전의 주기도 바뀝니다. 길쭉한 쪽이 모성과 가까워지면 상대적으로 강한 힘을 받아 빠르게 회전하고, 납작한 쪽은 느리게 회전합니다.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위성의 자전 주기와 공전 주기가 같아집니다. 이를 ‘조석 고정’이라고 부릅니다. 조석 고정이 되면 행성에서는 ... ...
- [통합과학 교과서] 노을 속으로 사라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기울며 지평선과 가까워져요. 그러면 태양빛이 뚫고 들어와야 하는 대기층이 낮에 비해 상대적으로 두꺼워집니다. 그래서 보라색뿐 아니라 파란색 빛도 긴 대기층에서 모두 산란돼 우리 눈에 도달하기 전에 대기 중에서 모두 사라져 버려요. 이때는 긴 파장인 붉은색이 대기층에 많이 존재해 우리 ... ...
- [특집] SF속 당신의 순간이동을 골라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속도(광속)에 가깝게 가속한다고 해도 초속 약 29만 9792km라는 한계가 명확하다. 광속은 상대성 이론에 의해 질량이 0 이상인 물질과 에너지가 도달할 수 있는 속도의 한계다. 이보다 빨리 움직이기란 불가능하다. 이건희 독자위원은 “이동하는 데 드는 시간이 거리에 비례하지 않아야 ... ...
- [이그노벨상] 똥과 오줌의 과학에 용감히 뛰어들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시원하게 쏟아져나온다. 이에 비해 작은 동물의 오줌은 중력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고, 상대적으로 액체의 점도에 영향을 받아 조금씩 흘러나왔다. 결국 큰 동물은 콸콸, 작은 동물은 찔끔찔끔 싸다 보니 소변을 보는 데 걸리는 시간이 비슷한 것이다. 펭귄과 웜뱃은 어떻게 똥을 쌀까 생체 유체역학 ... ...
- [과동키즈] 삼국지 매니아가 철도 계획가로… “저는 성덕입니다”과학동아 l2023년 01호
- 가진 데는 과학동아도 한 몫(?) 했다. 어린 시절 과학동아에서 ‘빅뱅’ ‘암흑물질’ ‘상대성이론’ ‘쿼크’ ‘텔로미어’ 등을 자주 접하며 우주천문학, 물리학, 생명과학만 진정한 과학이라고 오해했다. 어린 시절의 기준으로 보면 교통공학은 과학보다는 사회학에 가깝다. 인간의 필요로 이동 ... ...
- [메타버스 여행법] 어서 와, 제페토 게임은 처음이지?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게임 방식은 다른 유저와 승부차기 공격과 수비를 번갈아 하는 미니 축구를 하는 거예요. 상대가 어느 방향으로 움직여 공을 차거나 막을지 예상해 잽싸게 움직이는 게 핵심 필승 전략이에요. 이번 월드컵을 기념해 출시된 나이키 아이템을 착용하고 게임을 하면 보너스 점수가 주어지는데요, TV로 본 ... ...
- [가상 인터뷰] 사교성 좋은 원숭이가 더 건강하게 오래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통해 히말라야원숭이들이 사회적으로 연결돼 있는지 살펴봤지. 원숭이는 사회적 동물로 상대의 털을 골라주며 동료들과 관계를 유지하거든. 그 결과 사회적 상호작용이 많은 원숭이에게 유익한 장내 미생물인 페칼리박테리아●과 프레보텔라●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어. 사교성이 없는 원숭이는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미디어로부터 마음 건강 지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4호
- 따라 하고, 비교해야 할 대상이 전 세계 사람들로 확대됐어요.이 때문에 과거보다 경쟁 상대가 늘어 더 빈번하게 행복이 감소한다는 가설이에요. 혹시 여러분도 디지털 미디어 속 연예인들이나 인플루언서의 멋진 모습을 보여 그들과 자신을 비교하고 우울해진 적은 없나요? 아까 이야기한 영국의 ... ...
- [특집] 실험으로 직접 보인 양자 세계의 원리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22호
- 현상은 두 공이 아무리 멀리 떨어져 있어도 동시에 일어납니다. 그런데 아인슈타인의 상대성 이론에 따르면, 정보를 포함한 그 어떤 것도 빛의 속도보다 빨리 전달될 수 없습니다. 그래서 아인슈타인을 비롯한 많은 과학자는 얽힘을 설명하는 양자역학의 논리가 틀렸다고 주장했어요. 대신 두 공을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