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송신"(으)로 총 3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원격진료·재택교육 급진전 화상회의 : 1.시공간이 축소된다과학동아 l1996년 07호
- 건넸다. 이 문서는 초당 한글 12만8천자를 전송하는 '데이터 뷰어' 를 통해 곧바로 송신됐다.인터넷 통한 화상회의도 가능 우리나라에 원격화상회의 시스템이 처음 소개된 것은 88년 초 포항제철이 서울 사무소와 포항본사를 잇는 회의체널을 마련하며서부터, 당시 선보였던 원격화상회의 시스템은 ... ...
- 팩스, 동양적 발상의 첨단기기과학동아 l1996년 06호
- 보인다.일반용지 팩스는 복사기와 동일팩스의 내부는 크게 광전환부 부호화부 전송부의 송신기 부분과 복조부 복호화부 기록변환부의 수신기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이들 각 부분을 원고 읽기(광전환부), 압축·복원(부호화부 복호화부), 전송·통신제어(전송부 복조부), 기록(기록변환부)의 넷으로 ... ...
- 5백만의 인포테이너 삐삐과학동아 l1996년 01호
- 수용용량이 증가된다. 라디오는 한 주파수를 여러사람이 동시에 수신하지만 호출기는 송신가능한 주파수가 모두 다르기 때문에 기지국에서 각기 다른 전파를 내보내야만 한다.광역서비스의 원리지역을 옮길 때마다 신고해야호출기는 나름대로의 주소를 가지고 있다. 이 코드체계는 012와 015에 ... ...
- 2. 오감을 뛰어넘는 메시지 텔레파시과학동아 l1996년 01호
- EEG)를 비롯한 심장고동 호흡 근육 등 생리변화 탐지장비를 부착시킨 후 모스크바로부터 송신되는 텔레파시를 받도록 했다.모스크바에서 메시지를 보냈다는 신호가 온 지 정확히 3초 후 그 사실을 전혀 알지 못한 니콜라이예프의 뇌파에 격렬한 변화가 나타났다. 그리고 수초 후 니콜라이예프는 ... ...
- 2. 한국우주개발의 신호탄 우리별과학동아 l1995년 12호
- 것부터가 우리별1,2호와는 크게 다르다. 우리별1,2호는 태양전지판이 몸체 고정형이고, 송신 속도(9.6kbps)도 우리별3호(27.5Mbps)에 비해 크게 뒤지며, 자세 제어는 1축으로만 했었다.우리별3호의 주요 탑재체로는 우선 지상 해상도가 15m인 3채널 선형 CCD를 들 수 있다. 우리별1,2호의 해상도가 4백m, 2백m ... ...
- 철새 추적, 인공위성 전파발신기 동원과학동아 l1995년 10호
- 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일종인 아르고스(Argos) 시스템을 주로 이용한다. 각종 관측기기와 송신기를 갖는 장치를 동물에 장착, 위성이 동물의 위치나 관측데이터를 수신해서 시시각각으로 지상에 보내도록 계획돼 있다.발신기 주파수로는 4백 1.650MHz를 주로 사용한다. 초기 아르고스 발신기는 무게가 ... ...
- 1 TV난시청지역 완전해소과학동아 l1995년 08호
- 주요역할은 위성으로부터 오는 원격 송신호를 수신해 위성상태를 파악하고, 명령신호를 송신해 위성을 제어하는 일이다. 현재 지구국은 서울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다섯곳에 중심지구국을 설치했으며 이밖에도 초소형지구국 도서벽지 행정통신지구국 방송지구국을 설치하고 있다. 12개의 방송채널 ... ...
- 4 CATV와 주도권다툼 치열과학동아 l1995년 08호
- 미국의 디지털 위성방송 사업에는 휴즈사가 방송위성을 운영하고, 디렉TV와 USSB가 방송국(송신국)을 운영하며, 톰슨사가 위성 방송 송수신 장비의 개발 보급에 참여하고 있다. 미국의 위성방송은 역사는 일천하지만 현재로서는 성공을 거두고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유럽의 경우 영국의 마르코폴로, ... ...
- 음성인식 시스템 국내 첫 선과학동아 l1995년 06호
- 큰 의미를 지니고 있다.우리말로 "여보세요" 하면 컴퓨터가 이를 인식, 일본어로 번역해 송신하고 일본측에서는 이를 "모시모시"로 합성해 들려주며 일본말은 그 반대로 우리말로 합성해 나오기 때문에 상대방 국가의 말을 몰라 겪는 어려움을 덜어준다.이번에 시연된 자동통역 시스템은 3백단어 ... ...
- 2. '오즈마'에서 '페닉스'까지 본격탐사 발자취과학동아 l1995년 05호
- 신장, 지구인구(당시40억), 태양계의 구조, 아레시보안테나의 지름 등이 바로 그것이다. 송신시간은 약 3분.1976년에는 SERENDIP라는 특수 탐사장치가 만들어져 전파안테나에 부착돼 탐사의 정밀성을 높이는데 기여했다. 80년대 중반에는 하버드 대학의 호로비치 교수 등이 중심이 돼 META라는 아주 좁은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