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인
대인
성년
집안어른
가구주
선배
연장자
d라이브러리
"
어른
"(으)로 총 1,060건 검색되었습니다.
[통합과학 교과서] 게임 속 낯선 사람의 등장!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9호
낯선 아저씨에게 감사 인사를 했어요.“하하. 뭘…. 위험에 빠진 아이들을 구하는 건
어른
이라면 당연히 해야 할 일이지.”아저씨가 웃으며 말했어요.“그런데 아저씨는 우리와 같은 시대 사람인 것 같은데, 어떻게 이 게임 속에 있었던 거예요?”궁금해진 수호가 아저씨의 정체를 물었어요.“나는 ... ...
Part 1. ‘풍수’는 21세기 환경공학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용어가 일반적으로 쓰였지만, 실제로는 ‘풍수’도 환경과 같은 뜻으로 흔히 쓰였다.옛
어른
들이 어떤 마을을 보고 ‘풍수가 좋다’고 하면, 이는 그 마을의 ‘자연환경이 좋다’는 말로 이해해도 무리가 없다. ‘마을의 풍수를 본다’는 말은 ‘마을의 환경을 평가한다’는 말과 같은 의미다 ... ...
[Culture] 과학으로 들여다본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
과학동아
l
2018년 09호
"여긴 과즙 ‘팡팡’, 여긴 소녀미 ‘뿜뿜’ 한건데…”술에 취한 것처럼 보일 만큼 볼을 빨갛게 물들인 여주인공이 쑥스러운 듯 미소를 짓는다. 술을 마신 것은 아니다. ‘동안 메이크업’이라는 말에 혹해 처음 화장을 해봤다. 과한 볼 터치가 나이에 걸맞지 않게 영 서투르다. 행동도 순수한 소녀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꿈과 자부심으로 원자핵공학 한 길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모든 과정에 그의 손길이 닿았다. 그 과정에서 친구들의 의견을 조율하거나, 교사 등
어른
들과 회의를 하면서 자신의 생각을 전달하는 훈련을 할 수 있었다. 이런 과정을 자기소개서에 고스란히 담았다.곽 씨는 “독서활동 기록은 ‘전공 관련 책 두 권에 교양 책한 권’이 마치 일종의 공식처럼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소프트로봇 연구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버튼을 누르자 로봇 팔이 아래쪽으로 길게 늘어났지요. 기자단 친구들은 수 초만에
어른
팔 길이만큼 늘어난 로봇 팔의 모습을 보며 감탄했답니다. “이번에 개발한 로봇 팔의 핵심은 부피가 작고 가벼우면서도 물건을 집을 수 있을 정도로 단단하다는 거예요! 그 비밀은 종이접기 기술에 있어요 ... ...
[Culture] 곤충 웹툰 작가 ‘갈로아’가 해설하는 앤트맨과 와스프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머리카락이 전혀 없는 작가의 캐리커처가 등장한다.)하하. 사실 부모님 양쪽 집안
어른
들이 대부분 탈모입니다. 어려서부터 ‘나의 본질(유전자)에는 머리카락이 없는가?’ ‘나에게 머리카락이란 올챙이 꼬리처럼 잠시 존재했다가 사라지는 것인가?’라고 생각했어요. 청소년기에는 삭발도 많이 ... ...
[Issue] 대구 덮친 과불화화합물 공포
과학동아
l
2018년 08호
것 같다”고 말했다.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도 태아나 신생아보다는 오히려 어린이가
어른
처럼 음식을 먹고 마시는데다 카펫이나 바닥에 누워 뒹구는 시간이 많기 때문에 과불화화합물 노출 위험이 더 크다고 발표한 바 있다. 입을 통해 체내로 유입된다CDC는 2017년 미국 유해물질 ... ...
[Origin] 성체줄기세포의 세포 ‘리필’ 능력은?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대신 체세포줄기세포라는 용어를 쓰기도 합니다. 성체줄기세포가 성체 또는
어른
에게만 존재하는 게 아니라 배아 발달을 마친 어린개체에도 존재하기 때문입니다. 성체줄기세포의 뛰어난 분열 능력성체줄기세포의 가장 큰 역할은 유실되거나 손상된 세포를 대체할 새로운 세포를 만들어 내는 ... ...
[Origin] 충치가 미생물 탓?! 충치에 관한 다섯 가지 오해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치주질환이 급증합니다). 어쨌든 어릴 때 충치가 생기지 않도록 잘 관리하면
어른
이 돼서는 충치로 고생할 확률이 적다는 뜻입니다.그렇다면 충치를 어떻게 예방할 수 있을까요. 오범조 서울특별시 보라매병원 가정의학과 교수, 한동헌 서울대 치의학대학원 교수, 김봉수 한림대 생명과학과 교수 등 ... ...
[Origin] 발생학 강의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하죠. 메트칼프 교수는 태어난 지 하루도 채 되지 않은 쥐 6마리에서 6개의 비장을 추출해
어른
쥐에 이식하고 6주를 기다렸는데요. 이식된 비장이 원래 비장의 6분의 1 크기로 자랐습니다. 어찌된 일일까요? 같은 실험 다른 결과, 이유는?흉선의 크기는 흉선을 이루는 세포 내부에서 이미 정해놓은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