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염색체"(으)로 총 7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간단백질 지도사업 이끈다과학동아 l2011년 02호
- 모두 9개. 연세프로테옴연구원이 13번 염색체를 맡아 가장 먼저 연구를 시작했다. 13번 염색체는 당뇨, 암 등 질병을 일으키는 유전자가 꽉꽉 들어차 있어 ‘질병의 창고’로 불린다.백 교수는 “인간의 유전자 수를 2만~2만 5000개로 보고 있는데 단백질의 종류는 100만 가지 이상으로 추정한다”며 ... ...
- 미생물은 어디서 왔을까과학동아 l2011년 02호
- 이 효소가 다른 세균으로 퍼지기 쉬운 이유는 이 효소의 유전자가 존재하는 곳이 염색체가 아니라 플라스미드이기 때문이다.플라스미드는 유전물질을 담은 작은 고리 모양의 DNA 조각으로, 독자적으로 증식하면서 세균들 사이를 쉽게 옮겨 다닌다. 마치 포스트잇이 책상 위에도 붙었다, 노트 위에도 ...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과학동아 l2011년 01호
- 뭉쳐 있던 곤충의 날개가 바깥에 나와 마르면서 빳빳하게 펼쳐지는 것, 실타래처럼 뭉친 염색체에서 DNA사슬이 절대 엉키지 않는 것 등에서 찾을 수 있다. 숙주의 몸속에서 바이러스가 단백질 조각을 만들고 그것들을 접거나 이어 껍데기(캡슐)를 완성시키는 것도 종이접기와 비슷하다.이것들은 한 ... ...
- 비상! 슈퍼박테리아 한국 상륙과학동아 l2011년 01호
- 이 효소가 다른 세균으로 퍼지기 쉬운 이유는 이 효소의 유전자가 존재하는 곳이 염색체가 아니라 플라스미드이기 때문이다. 플라스미드는 유전물질을 담은 작은 고리 모양의 DNA 조각으로, 독자적으로 증식하면서 세균들 사이를 쉽게 옮겨 다닌다. 마치 포스트잇이 책상 위에도 붙었다, 노트 위에도 ... ...
- 우주가 들썩 들썩~, 지구를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21호
- 태양 폭풍은 치명적이다. 태양폭풍이 내뿜는 고에너지 입자는 세포 속을 뚫고 들어가 염색체를 파괴해 암을 일으킨다. 남극과 북극 하늘을 비행하는 항공기에 탄 승객들도 고에너지 입자와 함께 전달되는 X선이나 방사선에 노출 될 수 있다.통신시스템과 항공기배나 비행기에서 통신을 주고받을 때 ... ...
- 콩심은 데 콩난다! 우리 가족이 닮은 이유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18호
- 말해.그럼 염색체는 뭐냐구? 핵 속에 들어 있는 DNA 뭉치야. 마지막으로 게놈은 유전자와 염색체의 합성어로 유전정보의 총합을 말하지. ‘인간게놈 프로젝트’라는 말을 많이 들어봤지? 이는 인간 DNA에 들어 있는 모든 암호를 하나하나 분석하는 프로젝트를 뜻한단다. 나는 누구를 닮았을까? “아하! ... ...
- 국내 연구진 배추 염색체 해독과학동아 l2010년 12호
- 나라와 동으로 배추의 유전체 전체를 해독하는 연구를 진행해 왔다.연구 결과 배추의 2번 염색체는 3190만 개의 NA 염기로 이뤄져 있었다. 또 평균 4600개의 기 서열을 갖는 유전자 7058개가 들어 있었다. 여기에는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전사 인자 등 중요한 기능을 하는 유전자 500여 개가 포함돼 ... ...
- 바이오 이종 장기과학동아 l2010년 12호
- 방법이나 환자의 면역력을 높이는 기술은 완성단계에 와 있다. 돼지가 태어날 때부터 염색체에 갖고 있는 레트로바이러스 (PERV)는 이론상으로 미리 제거할 수 있으며, 염려했던 것보다는 위험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혈액이 딱딱하게 굳는 혈전응고 현상과 여러 단계의 면역 거부반응은 아직 ... ...
- 모의평가와 EBS 꼼꼼히 분석해야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막전위의 관계, 중추에서의 시각 성립 과정, 그리고 생식세포의 비분리에 따른 염색체 돌연 변이 문제를 눈여겨 익혀둘 필요가 있다. 이밖에도 실생활 소재를 활용한 응용문제가 새롭게 출제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기본개념을 활용하는 유형으로서, 관련 개념을 적절히 활용해 자료를 분석하면 ... ...
- 2000년 찰스 주커 교수의 쓴맛 수용체 발견과학동아 l2010년 11호
- 몰랐다. 그런데 다른 연구팀에서 PROP라는 쓴맛이 나는 물질에 둔감한 사람이 5번 염색체의 특정 위치에 돌연변이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그런데 T1R1과 T1R2의 유전자는 이 위치에 있지 않았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이 위치에 혹시 이들과 비슷한 구조의 또 다른 유전자가 있지 않나 조사해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