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착오
잘못
착류
균차
d라이브러리
"
오차
"(으)로 총 807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미래를 예측하는 일이다 보니
오차
가 있기 마련이지만, 매년 개화에 비해 단풍이
오차
범위가 더 넓다. 같은 생물의 변화인데도 이런 차이가 생기는 건 무엇 때문일까.먼저 단풍 시기를 어떻게 예측하는지 알아보자. 현재 단풍 시기를 발표하는 곳은 국립산림과학원과 예보업체인 웨더아이,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이용해 나이를 추정한다. 그렇다고 해도 어느 정도의
오차
는 발생하기 마련인데, 이
오차
범위를 줄이기 위한 연구가 현재 많이 이뤄지고 있다. 법의인류학자가 감식 결과를 내놓으면 수사 기관은 실종자 정보와 비교해 피해자의 범위를 줄여나간다. 만약 감식 결과가 잘못되면 실제 피해자가 ... ...
[Tech & Fun] 다음 체중계
과학동아
l
2016년 09호
전달받았다. 믿지 않을 방법이 없었다. 아무리 많은 실험을 반복해도, 단 한 차례의
오차
도 찾아낼 수 없었다. 그것은 믿음의 문제가 아니었다. 귀납법의 오류를 따질 일도 아니었다. 그것은 그냥 진리였다. 해가 뜨고 지는 것만큼이나 엄연한 진리. 차라리 들여다보지 않는 편이 낫겠다는 생각을 ... ...
[과학뉴스] DNA가 빛나는 밤
과학동아
l
2016년 08호
못했다.연구팀은 DNA를 660nm 파장의 붉은 빛만 반사하는 특정 구조로 접고, 20nm 이하의
오차
로 정확하게 배치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를 진행한 폴 로드먼드 교수는 “지금보다 훨씬 더 작은 컴퓨터 회로를 만드는 데 이 기술이 유용하게 쓰일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7월 11일자에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가상현실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더욱 실감나는 경험을 할 수 있답니다.” 박정민 박사님께서 개발한 가상현실 기술은
오차
가 5㎜ 정도로 아주 정밀하다고 해요. 또한 여러 사람이 동시에 같은 경험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요.“먼 곳에 있는 사람과 젠가뿐 아니라 체스 같은 재미있는 게임을 즐길 수 있어요. 또한 실제 그 장소에 ... ...
[과학뉴스] 광시계도 맞춰야 보배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비교해 시간의
오차
를 측정하고, 광시계에 반영했다. 여러 번 반복한 결과 두 광시계의
오차
를 5시간에 40fs 이하로 줄이는 데 성공했다.이번 실험은 광섬유를 이용한 것이 아니라 공기 중에 직접 레이저를 쏴 진행한 만큼, 바람 등 환경요인에 의해 결과가 달라질 가능성도 최소화했다. 연구팀은 ... ...
[수학뉴스] 필즈상 수상자, ‘기부’라는 따뜻함 남기고 하늘나라로
수학동아
l
2016년 06호
계수로 갖는 방정식의 해로 표현할 수 없는 수인 초월수를 억지로 방정식의 해로 만들면
오차
가 얼마나 생기는지 밝혔습니다. 다음 해에는 정수 집합에 길이가 3인 등차수열이 무한히 많이 포함돼 있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이처럼 정수론 역사에 길이 남을 연구로 1983년에는 런던수학회가 주는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
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장비를 섬세하게 조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심지어 기상1호 자체에서 나오는 매연도
오차
를 일으키는 원인이다. 매연이 나오는 연통은 배의 뒷부분에 있는데, 배가 움직일 때는 매연이 바람에 씻겨 관측에 지장이 없다. 그래서 관측은 꼭 배가 움직일 때만 한다.“가장 문제는 배가 막 움직이기 ... ...
아인슈타인의 중력파 이야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6호
수 있었어. 하지만 우주에서 일어나는 현상에 대입하면 조금씩
오차
가 생겼지. 이런
오차
를 바로 내가 상대성이론으로 바로잡은 거야. 그리고 처음으로 ‘중력파’라는 개념을 알아냈지. 중력파는 “시공간의 그물이 파도처럼 일렁이는 것”아인슈타인은 상대성이론을 통해 새로운 관점에서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때문에 비를 구할 때 꼭 사람의 눈높이를 이용해야 합니다. 눈높이 대신 키를 이용한다면
오차
가 생길 수 있습니다.그럼 이제 실제로 나무와 사람 사이에 거울을 둬 아래 그림과 같은 상황을 만들어 봅시다. 거울을 둘 곳은 눈으로 거울을 봤을 때 나무 꼭대기가 보이는 지점입니다. 이 지점이 두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