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지"(으)로 총 5,684건 검색되었습니다.
- [논문탐독] 강하며, 상호작용하는 암흑물질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표준모형 위의 입자에 나눠주는 연결고리가 있어서 표준모형과 지속적인 열평형 상태를 유지하면, 남은 심프 입자들이 얻는 운동에너지가 매우 커지는 문제가 해결된다는 겁니다. 심프가 표준모형 입자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는 이 지적은 매우 중요합니다. 그런 상호작용의 존재는 표준모형 입자가 ... ...
- [DGIST@융복합 파트너] KIM’s LAB 열과 전기의 마법사과학동아 l2023년 03호
- Lab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금속 물질을 나노 수준으로 작게 만들어, 높은 전기전도는 유지하되 열전도를 줄이는 방법을 연구한다. 동시에 새로운 물질도 개발하고 있다. Kim’s Lab은 국책 과제로 열전 에너지 부품 및 시스템을 연구한다. 연구 장소는 포스코 광양제철소, 슬래브 생산라인이다. ... ...
- 양자와 친구가 되는 곳 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이 상호작용을 이용해 나노물질의 특성을 관측하거나 나노물질을 조작한다. 1nm 거리를 유지하는 게 중요하니, 작은 진동조차 용납할 수 없는 것이다. 진동을 줄이기 위한 장치는 실험실 안에도 있다. 4개의 에어스프링을 이용해 STM을 1cm 공중에 둥둥 띄워 놓은 것이다. 이 때문에 실험실 바닥엔 ... ...
- [가상 인터뷰] 버려지는 탄소섬유, 태양광 설비로 제2의 인생 시작!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거야. 대신 해상 태양광 발전은 거센 파도와 바람 등 바다 환경에서 태양광 패널을 유지 보수하는 데 큰 비용이 드는 단점이 있었어. 연구팀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저품질 탄소섬유를 재활용하기로 했지. 왜 탄소섬유를 재활용한 거야?육각형으로 배열된 탄소섬유의 표면 구조는 거친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반대로 버스가 갑자기 멈추면, 버스에 탑승한 우리 몸이 여전히 앞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유지하려고 하기 때문에 몸이 앞으로 쏠리죠.그런데 관성이 있다면서, 바닥 위에서 굴러가던 공이 스스로 멈춰버리는 건 왜 그럴까요? 공이 계속 굴러가지 않고 스스로 멈춘 건, 바닥과 공 사이의 마찰력이 ... ...
- [특집] GPT-4의 4가지 가능성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의미한다. 지금까지의 초거대 언어모델들은 레이어를 대략 100개 수준으로 비슷하게 유지하면서 매개변수의 개수를 늘리는 방향으로 성능을 높여왔다. 특히 OpenAI는 GPT-3에서 1750억 개의 매개변수를 사용하면서, 매개변수의 크기를 키우는 것만으로도 AI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 이 ... ...
- 네, 그래서 이과가 코끼리를 냉장고에 넣어봤습니다 ❷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동남아시아 등지가 고향이죠. 서식지가 아닌 곳에서 코끼리를 사육할 땐 따뜻한 온도를 유지해주는 건 물론입니다. 원래 서식환경을 고려해 코끼리가 야생에서 보이는 행동을 비슷하게 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것도 필수고요. 한 사육사는 “코끼리는 침팬지나 돌고래만큼 인지능력과 ... ...
- [기획] 2050년 탄소 중립, 핵융합이 해내려면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선제적으로 각종 빗장을 풀기도 했다. ES&H란 환경 보호 및 직장에서의 건강과 안전을 유지하는 수준의 규제다. 에너지 패러다임의 전환 2050년보다 일찍 오나 “벤처 회사 성공률이 보통 5% 정도라고 합니다. 적어 보이는 숫자지만, 만약 스무 개의 민간 회사가 핵융합 발전에 뛰어들었다면 그중 ... ...
- [수학 히어로, 출동! 슈퍼 M] 머리카락이 몇 개인지 어떻게 세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2호
- 아직 자라고 있기 때문에 머리카락이 매일 50개씩 빠지더라도 머리카락의 개수를 유지할 수 있답니다. 머리카락 몇 개인지 어떻게 셀까? 내 머리카락은 대략 몇 개일까요? 머리카락을 일일이 세지 않고도 개수를 짐작하는 방법을 슈퍼M이 알려줄게요. 1단계. 1cm²(제곱센티미터)안에 몇 개의 ... ...
- [성진우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생명체 배아 착상을 모방하다과학동아 l2023년 02호
- 스스로 복제 가능하고 모든 조직으로 분화할 수 있는 줄기세포의 기본적인 특성은 유지될 수 있지만(사실 이것도 쉽지 않습니다), 배양 환경 변화에 의해 세포 유형이 크게 바뀔 수 있습니다. 실험대에서 생체 내 배아 발달을 정확히 모방하기는 어렵다는 뜻이죠. 실제로 인간 배아줄기세포를 2차원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