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상사회"(으)로 총 2,715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숲의 목재 활용도를 높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이번엔 베어낸 나무를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할 차례입니다. 숲 가꾸기를 위해 베어낸 나무를 버리지 않고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은 뭘까요? 대세는 목조 건축지난해 3월, 프랑스는 2022년 이후 새로 짓는 공공건축물의 절반 이상을 나무로 짓겠다고 발표했어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실천 ... ...
- 수소차, 논쟁 딛고 첫 시동걸다과학동아 l2021년 08호
- 1807년 스위스의 발명가 아이작 드 리바즈는 드 리바즈 엔진 자동차를 개발했다. 현대적인 자동차의 시작을 알린 독일 공학자 카를 벤츠의 화석연료 내연기관 자동차가 처음 개발된 해(1885년)보다 약 80년 앞섰다. 특이한 것은 연료였다. 리바즈는 풍선 속에 담아 둔 수소에 스파크를 가해 산소와 반응 ... ...
- 우리는 더 이상 기다리지 않는다과학동아 l2021년 08호
- “For tomorrow, we won’t wait(미래를 위해, 우리는 더 이상 기다리지 않는다).”방탄소년단(BTS)의 리더 RM이 2021년 6월 5일 현대자동차가 공개한 다큐멘터리에서 건넨 말이다. 최신 트렌드를 이끄는 ‘MZ세대(밀레니얼+Z세대·1981~2010년생)’에게 기후변화는 당장 살아내야 할 미래다. 그래서 이들은 간편한 ... ...
- 인류를 자동차 사고에서 해방시키다 │ 서승우 서울대 지능형자동차IT연구센터장과학동아 l2021년 08호
- “공학자 입장에서 자율주행은 굉장히 흥미로운 주제입니다. 문제 자체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모든 차가 한 번에 자율주행차로 바뀐다면 오히려 문제가 쉬워질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자율주행은 상당 기간 동안 사회와 공존해야 하고 공학자들은 이를 위해 어려운 문제에 도전하고 있습니다.” ... ...
- 팬데믹 시대, 정의로운 모빌리티를 위해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모빌리티는 무슨 뜻일까. 명확한 정의를 내리고 쓰는 경우는 드물지만, 대체로 ‘정보통신기술(ICT) 등 첨단기술이 가미된 새로운 이동수단’ 정도의 의미로 사용한다. 그래서 ‘이동(성)’이라는 우리말로 옮길 수 있음에도 굳이 영어 그대로 음차해 쓴다.인문사회과학에서는 이 말을 이동수단의 ... ...
- 굴뚝 산업에서 반도체 산업으로과학동아 l2021년 08호
-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가 2019년 11월 공개한 전기차 사이버트럭의 모습. 최상급 모델은 40 퓨처 모빌리티 한 번 충전으로 805km 이상 달릴 수 있다. 국내에 처음 전기차가 도입된 것은 2009년 무렵이었다. 정부가 탄소배출을 줄이고자 전기차 보급 촉진 정책을 펴며 적극적으로 나섰지만 큰 성과는 ... ...
- 집사 길들이려면 집사 말 정도는 알아야옹~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반려동물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상상해 봅니다. 초롱초롱한 눈망울을 바라보며 “기왕 짖을 거면 한국말로 말해줘”라고 부탁을 해보지만, 돌아오는 건 여전히 뜻 모를 울음소리뿐입니다. 하지만 이 대답, 잘 살펴보면 인간과 대화하기 위한 반려동물의 노력을 읽어낼 열쇠가 ... ...
- [기획] 가짜뉴스, 너의 정체를 밝혀라!수학동아 l2021년 07호
- 가짜뉴스 녀석의 신상정보를 한번 살펴볼까? 생김새는 진짜 뉴스와 비슷하지만, 사실이 확인되지 않은 허위 정보나 유언비어를 담고 있어서 가짜뉴스라고 불러.가짜뉴스는 사람들을 현혹하고 선동하고 있어. ‘바닷물 가습기가 만드는 미네랄 안개를 코로나19 환자들이 마시면 단 한 시간 만에 코 ... ...
- 더 빠르게, 더 스마트하게│인공지능 반도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인공지능(AI)이 생활 깊숙한 곳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도로 위에는 AI가 운전하는 자율주행차가 상용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고, 도시나 실내 곳곳을 연결하는 사물인터넷(IoT) 센서도 최적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AI를 이용한다. 이런 추세에 발맞춰 AI의 ‘두뇌’인 반도체도 발전하고 있다. 특 ... ...
- 리튬이온배터리 전성시대 그 이후를 꿈꿉니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리튬이온배터리의 성능은 지난 30여 년간 꾸준히 높아져 에너지저장 밀도에 있어서는 이론적 한계에 거의 도달했습니다. 우리 연구실은 이 한계를 뛰어넘는 새로운 배터리와 소재를 연구하고 있습니다.”홍승태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 에너지공학전공 교수는 리튬이온배터리가 뛰어난 성능을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