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만
자랑
며느리
거만
자처
d라이브러리
"
자부
"(으)로 총 397건 검색되었습니다.
'휴보' 기술로 개기일식 촬영하는 로봇공학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만들었답니다. 이렇게 완성한 망원경은 별을 찾고 추적하는 성능에서 세계 최고라고
자부
합니다. 휴보 기술로 제작한 로봇망원경이니까요.”2001년 6월 오 교수는 로봇망원경을 갖고 아프리카 잠비아로 출동했다. 21세기 들어 첫 개기일식이 그곳에서 펼쳐졌기 때문이다.2002년 6월에는 한일월드컵을 ... ...
최고의 비행기를 뽑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2호
썼단다. 좌석 머리는 편안한 이중쿠션으로 만들었지. 내 일등석은 세계에서 최고라고
자부
해. 침대처럼 쫙~ 펼쳐지고 좌석을 돌려서 회의도 할 수 있어. 비행기에서 이메일을 확인하고 싶다고? 걱정 마. 앉은 자리에서 인터넷과 전화까지 할 수 있단다.최고의 시설하늘을 나는 양탄자를 타 보는 게 ... ...
말랑말랑한 젤리가 위험하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아주머니들이 절대 안 된다는 거예요.”젤리 삼총사는 아이들이 좋아하는 간식으로
자부
심을 느끼고 있었는데 갑자기 외면을 받는 게 황당하다는 것이다. 게다가…!“엄마, 나 젤리 먹고 싶단 말야~! 사 줘~ 사 줘~!”“저거 잘못 먹으면 큰일나. 이제 젤리는 안 사 줄 거야. 알았어?”젤리를 잘못 ... ...
'ID+IM' 연구실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고로 존재한다)’. 을 줄인 연구실 이름에서 보듯 디자이너로서 이들이 느끼는
자부
심은 대단하다.ID+IM 연구실은 지난해 대만에서 열린 국제디자인공모전에서 금상과 장려상 수상자를 한꺼번에 배출하며 ‘한국산’ 조너선 아이브의 산실로 주목받고 있다.‘하이테크’ 아닌 신선한 발상으로 세계 ... ...
PART3 선배가 말하는 우리 대학 유전자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동기와 선배들이 더 잘 챙겨줬다”고 말했다. “여러분이 KAIST를 선택했다면 그 선택에
자부
심을 가지세요. KAIST인은 당당합니다. 그리고 늘 도전합니다.”포스테키안 유전자 : 열정과 고집의 최강 ‘300’쇳물만큼 뜨거운 열정과 고집배진찬 포스코 파이넥스2공장장포스코가 15년의 노력 끝에 세계 ... ...
조선시대 천문학 스파이
과학동아
l
2007년 08호
독자적으로 천문학을 연구해 달력을 만들 수 없었다.하지만 조선은 나름대로 독립국이라
자부
했으므로 서양천문학을 배워 자기 손으로 달력을 만들고 싶어 했다. 이런 모순적인 상황 때문에 조선은 청나라에서 서양천문학 지식을 몰래 빼내오는 ‘천문학 스파이’가 필요했다.조선에서는 관상감의 ... ...
화학반응 고삐'미니 숯'으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년 07호
만든 물질에 ‘CMK’(Carbon Mesostructured by KAIST)라는 이름을 붙였다. KAIST 연구자로서의
자부
심이 듬뿍 묻어나는 이름처럼 CMK는 연구단의 대표적인 업적이 됐다. 1999년에 첫 논문을 발표한 이래 유 교수의 CMK 논문들은 지금까지 수천 건 넘게 인용됐다. 요즘에는 세계 연구자들이 자신들의 논문 제목에 ... ...
하늘에 이름 새기려는 욕망
과학동아
l
2007년 05호
목록’을 남겼다.근대적인 천문학 지식을 바탕으로 남천을 관측한 최초의 과학자로서
자부
심이 남달랐던 그는 남천의 별들을 별자리로 묶을 계획을 세웠다. 독실한 기독교 신자로서 북천별자리에 고대 그리스 신화의 주인공이 많다는 사실을 탐탁찮게 여겨 공기펌프, 컴퍼스, 망원경, 현미경, ... ...
혼천시계, 지상에 구현한 하늘 모습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만들어 관측을 하고 또 혼천의의 모습을 통해 하늘의 모습을 지상에 구현하고 있다는
자부
심을 느꼈다.만일 관상용 혼천의의각환이 천체의 운행속도에 맞춰 회전한다면 하늘의 모습을 제대로 구현한다고 인정받을 것이다. 천문학이 발달해 천체의 운행원리가 알려지면서 시계장치와 결합된 ... ...
사회정의파 엔지니어 변호사 채방은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우수한 학생이 이공계로 진학하는 것은 일종의 유행이었어요. 국가 발전에 기여한다는
자부
심도 가질 수 있었고 장래도 보장됐죠.”청운의 꿈을 안고 들어간 공과대학에서 그는 좌절했다. 적성에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는 전공을 법학으로 바꿀 결심을 했다. 하지만 4살부터 외아들을 홀로 키워온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