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세"(으)로 총 1,377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새빨간 동굴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하얀 슬라임은 백혈구인가?““백혈구라고? 우리를 공격할 거야. 피해야 해!”채윤이는 자세를 고쳐 잡고 진지한 얼굴로 말했어요.“아니, 이번엔 도망치지 말자.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해보는 거야.슬라임을 물리치면 원판이 나올지도 몰라!” [미션카드] 혈액의 구성을 설명하라! ...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망원경을 제어하게 했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한 번 태양광 압력을 받으면 약 83일 동안 자세를 고정할 수 있었다. 은퇴 위기를 넘긴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K2’로 불리는 새로운 임무를 이어나갔다. 케플러 우주망원경은 K2 임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외계행성 탐사 임무도 19차례나 추가로 ... ...
- Part 1. 성분부터 구조까지 전격 비교 깃털 vs. 털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얕은 물에서 천천히 걷다 서기를 반복하다가, 날개를 우산 모양으로 만들어 2~3초 간 자세를 유지한다. 그렇게 그늘이 지면 물고기가 그림자 안으로 모여들 뿐만 아니라, 눈부심을 줄여 물고기를 확인하기가 쉬워진다. 검은해오라기는 이 때를 놓치지 않고 길고 뾰족한 부리를 창을 던지듯 물고기의 ... ...
- 中 과학계가 던지는 교훈 3가지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규제보다는 도전과 실행을 통해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도전적인 중국인들의 자세가 또 하나의 기술 사업화의 기폭제 역할을 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과감한 투자를 기반으로 새로운 기술이 사업으로 이어지는 성공 사례가 나타난다면 연구 방향도 자연스레 실용화로 향하게 될 것이다. 경쟁과 ... ...
- [과학뉴스] 보르네오섬에서 자폭 개미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공격하는 신종 개미를 발견했어요. 적이 나타나면 이 개미는 배를 하늘로 들어 올려 방어 자세를 취해요. 그래도 적이 물러나지 않으면 개미는 상대방을 꽉 붙잡고 자신의 몸을 터뜨려요. 그러면 배에서 끈적이는 독이 나와 상대방의 몸에 묻지요. 연구진은 이 개미에게 폭발한다는 뜻의 ... ...
- 그 女자의 마라톤 VS 그 男자의 마라톤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몸통의 움직임은 적게, 팔꿈치는 팔이 ‘L’자가 되도록 굽힌다. 턱은 살짝 잡아당긴 자세에서 눈은 전방 20~30m를 응시한다. 무릎은 살짝 구부리는 게 좋다.42.195km를 달리는 마라톤에서 마의 구간은 30~35km로 알려져 있다. 10km 달리기를 준비하며 기자에게도 나름(?) 마의 구간이 있었다. 시작한 지 1~ ... ...
- ‘하야부사2’ 3년 10개월의 기록 2014년과학동아 l2018년 11호
- 마찬가지 역할을 하는 ‘스윙 암’이 달려 있습니다. 그래서 착륙 시에도 필요한 자세를 잡도록 제어할 수 있었습니다. 호핑 방법은 하야부사2에서 최초로 시도된 기술적 혁신입니다. 2kg 구리 포탄 충돌시켜 직접 샘플 채취하야부사2의 임무는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2019년 초에 탐사선을 착륙시켜 ... ...
- [실전! 반려동물] 토끼가 사료를 안 먹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1호
- 토끼를 허벅지에 뉘어놓는 경우가 많은데, 이는 절대로 해서 안 되는 행동이에요. 이런 자세에서 토끼는 거의 죽기 직전의 공포를 느끼거든요. 토끼를 다룰 때는 안정감을 느끼도록 팔로 다리를 받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랍니다. 대변을 보면서도 먹는 토끼, 정상인가요?토끼는 커다란 앞니 두 ... ...
- [좋은 학교생활기록부 만들기 11] 진로를 탐색하는 이유와 의미과학동아 l2018년 11호
- 아니라 그 진로를 선택하기 위해 행한 다양한 노력이 훨씬 더 중요하다. 대학은 그런 자세를 가진 학생이야말로 자기 분야에서 뛰어난 역량을 발휘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즉, 결정된 진로와 관련한 성실한 활동을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확정되지 않은 진로의 방향성을 검토하고 탐색하는 활동도 ... ...
- Part 2. 마하5 이상의 세계, 극초음속과학동아 l2018년 10호
- 비행체 주변에서 충격파에 의해 공기가 압축하면서 기체가 뜨거워지는 현상)과 자세제어 등을 연구해 이후 우주왕복선을 개발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 비행체가 마하5 이상이면 극초음속으로 구분한다. 극초음속 비행의 경우 현재 기술로는 비행체가 어떤 경로로 날아갈지 예측할 수 없을 뿐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