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작물
작
예술품
미술품
문학
문예
문헌
d라이브러리
"
작품
"(으)로 총 1,960건 검색되었습니다.
[핫이슈2] 어서와~ 매스 투어는 처음이지? 통영 남망산 조각공원
수학동아
l
2022년 04호
낮에는 통영 바다가 한눈에 보이고, 밤에는 화려한 빛의 쇼가 펼쳐지는 통영 남망산 조각공원! 조각공원답게 세계 10개국의 유명 조각가 열다섯 분의
작품
을 만날 ... 수 있지요. 또 각각의 기둥이 서로를 비추고 있어 우리가 미처 보지 못했던 풍경까지 이
작품
을 통해 만날 수 있어요 ... ...
[수학체험실] 에셔
작품
따라잡기 헤슈 타일
수학동아
l
2022년 04호
변으로 이동하거나 변의 일부를 변형한 뒤 회전시켜 만든다. 이 타일을 이용하면 에셔의
작품
처럼 비대칭 조각으로도 테셀레이션을 쉽게 만들 수 있다. 이제 헤슈 타일을 만드는 변의 이동 방법에 대해 살펴보자 ... ...
뇌과학으로 본 '마기꾼' 효과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생물학적 욕구를 분리해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최근의 뇌과학 연구들에 따르면, 예술
작품
에서 느끼는 아름다움과 이성에서 느끼는 아름다움이 인간의 뇌에서는 크게 구분되지 않아 보인다. 뇌에서 아름다움을 느낄 때는 그 자극의 대상이나 종류와 관계없이 공통으로 활성화되는 부위들이 ... ...
[드론으로 본 제주] 제주의 역사를 품다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흘러나온 뜨거운 용암이 급격히 식으면서 만들어진 주상절리대는 자연이 만든 예술
작품
이다. 서귀포시 중문동과 대포동 해안을 따라 분포하는 중문·대포해안 주상절리대는 높이 30~40m, 폭 1km, 길이 3.5km로 국내 최대 규모를 자랑한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돼 있으며 2010년 유네스코가 지정한 제주 ... ...
[JOB터뷰] 양자전쟁을 무대에 올리다! ‘외계공작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배우들과 의기투합해 과학극단을 만든 이유를 힘주어 말했어요. 외계공작소의 첫
작품
, 연극 은 극중 덴마크 과학자 닐스 보어 역을 맡은 김진성 배우가 20분짜리 단편 시나리오를 만들며 시작됐어요. 이후 단원들과 김진우 연출가가 과학적인 요소, 극적 요소를 가미해 90분의 장편 ... ...
[과학동아가 만난 사람] 빛이 예술과 과학의 다리가 될 때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프로젝트에도 3회째 고정 멤버로 참여하고 있다. 미술가와 과학자가 6개월간 함께
작품
을 만드는 이 프로젝트에서 그는 과학과 미술 사이의 다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다. “다양한 활동을 통해 그동안 딱딱하게 느껴졌던 과학적 사실이 사실은 훌륭한 미술 소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소개하고 ... ...
응용│몸·마음 여는 1조 개의 열쇠
과학동아
l
2022년 03호
피워 기억을 소환해낸 것이다. 후각은 기억을 떠올리게 하는 데 가장 좋은 감각이다.문학
작품
에서도 향은 종종 기억을 되돌리는 소재로 활용된다. 가장 대표적인 예는 마르셀 프루스트의 자전적 소설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등장하는 프랑스 과자 마들렌과 홍차의 향일 것이다. 어느 날 ... ...
[특집] 무한 거울의 방에 갇힌 앨리슨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2호
정신을 차리자 앨리슨과 똑같이 생긴 사람들이 앨리슨을 바라보고 있었어요. 수백 명은 돼 보였지요. 놀란 앨리슨은 긴장한 채로 뒷걸음질 쳤어요. 그런데 사람들도 앨리슨과 ... 자신이 비친 모습들을 보고 있는 것이지요. 이처럼 거울의 재밌는 성질을 활용한 놀라운
작품
이 많답니다 ... ...
원통 거울로 그리는
작품
! 아나모르포시스 만들기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2호
그대로 그림에 그려 넣었지요. 우리도 종이와 색연필 그리고 원통 거울만 있다면 재밌는
작품
을 만들 수 있어요. 아나모르포시스 그림에 숨은 ‘일대일 대응’대응은 두 대상을 어떤 관계에 따라 서로 짝짓는 거예요. 일대일 대응은 하나의 대상을 다른 하나와 짝짓는 거지요. 먼 옛날, ... ...
[에디터노트] 언젠가 닿기를
과학동아
l
2022년 02호
댐 등 구조물과 도시는 어떤 운명을 겪을 것인지를 취재를 통해 설득력 있게 예측합니다.
작품
을 보면 좀 복잡한 마음도 듭니다. 인간이 지구에 미친 영향은 광범위한데, 의외로 생각만큼 오래 가지 않습니다. 도시를 이룬 콘크리트 건물은 수 년이면 물이 새고 부스러져 결국 수백 년 못 가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