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파편
폐허
유적
부스러기
표적물
형체
d라이브러리
"
잔해
"(으)로 총 350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어공주가 살 것 같은 바다이야기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바다에서도 볼 수 없는 해저 장관을 감추고 있기 때문이다. 격침된 일본 함대의 으스스한
잔해
사이에서 아름다운 열대어의 군무를 만끽할 수 있다.태풍의 신이 사는 곳매년 여름마다 한반도 주변을 긴장시키는 태풍은 주로 미크로네시아 주변 바다에서 만들어진다. 지난 7월 한반도 전역을 물난리로 ... ...
명왕성 퇴출! 행성이 뭐길래?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초 이래 태양계 외곽의 카이퍼 벨트에서 커다란 얼음 천체들(태양계가 형성되고 남은
잔해
)이 속속 발견되면서 명왕성의 위치가 흔들리기 시작했다. 특히 일부 카이퍼 벨트 천체는 크기가 명왕성에 견줄 만하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논란이 일어났고 2005년에 발견된 2003UB313이 명왕성보다 크다는 ... ...
기획2. 우주날씨예보가 나온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200~3만6000km에 로켓 부품, 수명이 다한 위성체 등 우주 쓰레기가 가득하다. 아무리 작은
잔해
라도 초속 7, 8km로 날아다녀 매우 위험하다. 이들을 추적하는 데 SLR이 유용할 전망이다.몇 년 전까지는 레이저 반사경이 달린 위성만 레이저로 추적할 수 있었지만 최근에는 레이저 및 센서 기술이 발달해 ... ...
부끄럼 많은 태양계의 외톨박이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10에 해당하리라고 추산된다.QBO들은 태양계의 형성 초기에 다른 행성들을 형성하고 남은
잔해
인 미행성으로 보인다. 태양에서 아주 멀리 있어 태양계 형성 당시의 환경을 그대로 보존하고 있어서 태양계의 기원에 대한 힌트를 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뉴호라이즌스가 이런 여러 가지 의문점에 대해 ... ...
파리가 잡은 살인범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피 웅덩이는 피해자가 움직이지 않는 상태에서 살아 있었음을 의미한다.”폭발물의
잔해
나 독극물의 흔적을 이용한 첨단 수사기법은 의학과 심리학, 물리학의 경계를 넘나드는 종합 과학의 면모를 보여준다. 특히 찰흙과 컴퓨터를 이용해 두개골에서 원래 얼굴 모습을 복원하는 기술은 실제 모습과 ... ...
3. 날아라 고구려 공룡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오비랍토르를 알을 훔쳐 먹는 공룡으로 알았다. 그러나 이들의 뱃속에서 도마뱀의
잔해
가 발견됨에 따라 작은 동물을 잡아먹었다는 것을 알게 됐고 이제 이들의 조상은 식물을 먹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우리는 과거 수각류가 무조건 육식을 했다고 믿었다. 그러나 수각류인 테리지노사우루스류와 ... ...
아폴로 vs 챌린저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작성하고, 17만장에 달하는 서류를 조사했다. 수백 건의 사진, 비행 기록, 사진 증거물,
잔해
들이 자세히 조사됐다.그 결과 조사위원회는 챌린저호의 폭발 원인이 오른쪽 고체 로켓 추진기 아래쪽 이음매에 생긴 결함 때문이라는 것을 알아냈다. 봉인에 쓴 ‘오링’(O-ring)에 결함이 있었던 탓이었다. ... ...
무중력에선 이끼도 나선을 그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우주에서 무중력 상태가 이끼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보는 실험을 수행했다. 다행히
잔해
를 회수하는 과정에서 샘플의 일부가 손상되지 않은채 발견됐다. 안을 들여다보니 모두 나선방향으로 자라 있었던 것.지구상에서 이끼는 빛이 오는 방향을 향해 자라거나 어두운 곳에서는 중력의 방향과 ... ...
공룡 잡아먹는 포유류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7kg으로 추정된다. 이 동물의 위에서는 ‘프시타코사우루스’로 불리는 어린 공룡의
잔해
들이 나왔다. 이 공룡의 길이는 12cm다.두 나라 과학자들은 같은 지역에서 지금까지 알려진 것 중 가장 몸집이 큰 원시 포유류 화석도 발굴했다. 이름은 ‘레페노마우스 기간투스’로 길이 90cm, 몸무게 13kg이다 ... ...
인류와 가장 가까운 새, 닭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오래된 가축화된 닭의 증거로 여겨진다”고 말했다. 물론 이것이 사람에 잡힌 야생닭의
잔해
일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다.그렇다면 인류는 왜 닭을 가축화하게 됐을까. 지금의 쓰임새를 놓고 보면 고기와 달걀을 얻기 위해서일 것이다. 매번 힘들게 쫓아다니며 사냥하는 대신 뒤뜰에서 키우면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