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망설임
망설
미정
면밀함
신중함
동요
당혹
d라이브러리
"
주저
"(으)로 총 311건 검색되었습니다.
단백질의 세계에 빠~져 봅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9호
과학을 좋아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고 단장님은 말합니다. 과학을 좋아한다면
주저
없이 단백질의 바다로 뛰어 들어 보세요. 미래 단백질 연구의 주인공은 바로 여러분입니다 ... ...
Ⅰ. 노장 디스커버리의 우주 행진곡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제프 스폴딩은 최근 한 인터뷰에서 “이번 디스커버리가 가장 안전한 우주선이라는 것을
주저
하지 않고 말할 수 있다”고 할 정도로 NASA는 디스커버리의 성공을 확신하고 있다. 우주에서 우주선 수리하기1981년 4월 우주왕복선 최초로 컬럼비아를 띄운 이래 챌린저(1982년), 디스커버리(1984년), ... ...
가상현실로 정신병 치료
과학동아
l
2005년 06호
시도해야 할 때. 하지만 대인기피증이 있는 박씨가 ‘말하기’ 버튼을 누르기를
주저
하자 아바타가 말을 걸기 위해 다가왔다.이때부터 본격적인 과제가 시작된다. 의자가 하나 남았을 때 자리가 비어있는지 잠깐 자리를 비운 것인지를 확인하는 방법을 찾는 시험이다.확인 절차 없이 박씨가 ... ...
한계없는 커뮤니케이션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2006년 8월의 어느날. 가수 비는 2005년 연말 선보인 4집 앨범 활동을 마치고 ‘정지훈’이란 본명으로 영화를 촬영 중이다. 그는 얼마 전 한 이동통 ... 또한 기존 휴대전화 외에 새 단말기를 갖고 다녀야 한다는 부담감이 신규서비스 가입을
주저
하게 만들 수 있다는 분석도 제기되고 있다 ... ...
7. 아인슈타인이 가장 좋아하는 유머는?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미국으로 이주했다.아인슈타인은 미국으로 이주한 이후에도 정치적 목소리를 내는데
주저
하지 않았다. 1939년 8월 2일 루스벨트 대통령에게 보낸 서한은 특히 유명하다. 미국이 독일보다 먼저 핵폭탄 제조 계획에 착수해야 한다는 걸 역설하는 내용이었다. 미국은 핵폭탄을 개발해 히로시마와 ... ...
8. 천재성 뒤의 숨은 공로자들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사이에 토론은 계속됐다고 한다. 다른 견해를 지니긴 했어도 아인슈타인은 자기 생각을
주저
없이 얘기하는 괴델을 꽤 마음에 들어 했기 때문이다.아인슈타인과 괴델이 거쳐온 삶을 살펴보면 유사한 점이 많다. 둘 다 중부유럽에서 독일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면서 성장했고 각자 가장 유명한 연구 ... ...
LG전자 사장 백우현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귀띔한다.백 사장처럼 에디슨을 꿈구는 청소년에게 한마디 해달라고 하자 백 사장은
주저
없이 말한다.“MIT를 나와도 슈퍼마켓 하는 사람이 있어요. 좋은 학교가 중요한 게 아니라 하는 일에 흥미와 관심을 갖는 게 성공의 열쇠입니다. 하고 싶은 일을 할 때 남보다 더 잘할 수 있어요. 그리고 무엇을 ... ...
한국형 과학상점 시민참여연구센터 대전에 문 열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사람들에게 센터를 많이 알릴 생각이다. 일상생활에서 부딪히는 작은 문제들이 있으면
주저
없이 센터의 문을 두드리라고 얘기한다. 그런 다음 내년부터 점차 제도화의 기틀도 마련할 예정이다.시민참여연구센터는 개소 한달이 채 못됐지만 이미 10여개의 과제를 의뢰 받은 상태다. 이 중 대전 1· ... ...
KT대표이사 사장 이용경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발휘했던 것이다.“앞으로는 빵도 전자로 찐다”는 한 선배의 말에 대학 진학 때
주저
없이 전자공학과를 선택했다. 화학공학, 섬유공학, 광산학(자원공학) 등이 인기가 높았던 1960년대에 전자공학은 다소 생소한 분야였다. 사회 전체적으로 공업입국이라는 목표를 내걸고 있었던 당시에 공과 계통을 ... ...
서울대 물리학부 국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과학자로서 가장 중요한 덕목은 호기심이라고 생각해요”라며 “호기심이 생기면
주저
하지 말고 풀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언뜻 보면 사소한 것 같은 호기심이 과학의 한계를 뛰어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해낼 수 있다. 국교수는 반도체 회로의 선폭을 더 이상 작게 할 수 없게 되면 어떻게 될까를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