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점"(으)로 총 2,069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새의 알 모양을 설명하는 보편적인 수학 공식 개발수학동아 l2021년 10호
- 그래서 난형 공식을 변형해 알의 길이, 알의 최대 너비, 수직 축의 이동, 달걀 길이의 지점에서의 직경을 매개변수로 하는 새로운 공식을 도출했습니다. 이상형 알 모양에 대한 보편적인 수학 공식을 발견한 것입니다. 발레리 나루신 우크라이나 환경 치료 연구소 연구원은 “예술에서 기술, 건축, ... ...
- 소형모듈원전(SMR), 기후위기 구원투수될까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심지층처분장인 ‘온칼로’를 2004년부터 건설 중이다. 내년 또는 내후년부터 지하 5km 지점에 지그재그 형태로 건설된 지하 터널 끝부터 사용후핵연료를 저장하기 시작해 2100년경 가득 차면 10만 년간 폐쇄할 예정이다. 인류에게 10만 년은 매우 긴 시간이므로, 누구나 건드리면 안 되는 장소임을 ... ...
- [특집] 피타고라스 정리로 증명한 독도는 우리땅!수학동아 l2021년 10호
- 꼭대기가 보이는 높이를 찾기 위해 B에서 수평선 H까지 직선을 긋고 울릉도와 만나는 지점을 A라 둡니다. 그리고 선분 AH 거리를 d, 선분 BH 거리를 d' 라 합시다. 여기서 △OHB에 피타고라스 정리를 적용하면 (R+b)2=R2+d'2이고 이를 d' 에 대해 정리하면 d'= √ (2Rb+b2)가 됩니다. 이 식에서 독도 높이의 ... ...
- [기획] 물곰 너는 누구냐?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담아 우주로 보내는 ‘달 도서관’ 프로젝트를 위해서였죠. 베레시트는 달의 고도 7km 지점에서 엔진 고장으로 추락했지만, 이 프로젝트를 추진한 미국 아치미션재단 공동창립자 노바 스피백은 “낙하 속도와 충돌 궤적을 통해 베레시트가 추락했을 때의 상황을 추정한 결과, 물곰이 밀봉돼 있는 ... ...
- [기획] 스포츠 클라이밍, 무게중심을 이동시켜라수학동아 l2021년 09호
- 그렇다면 우리 몸의 무게중심도 삼지점에 따라 홀드를 짚은 손 또는 발을 세 꼭지점으로 두고 구하면 될까요? 답은 ‘아니오’입니다. 인체의 무게중심은 각 부위에 분포된 질량의 평균 위치이며 질량중심이라고도 불립니다. 몸의 질량이 부위별로 균등하게 분포하지 않기 때문에 삼각형의 ... ...
- 우주로부터 지구를 지켜라! 우주위험감시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태양복사의 영향력이 커진다”며 “이런 요소를 고려해 시뮬레이션해야 정확한 추락 지점을 예측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넷은 우주위험감시센터를 대표하는 감시장비지만, 이것만으로는 모든 순간의 위험을 감시하기 어렵다. 광학장비는 가시광선을 이용하기 때문에 낮에는 촬영할 수 없고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수학 안내자가 생각하는 수학의 쓸모는?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중 하나”라고 말했습니다. 자신이 이해한 개념이 어디까지인지 제대로 파악하고, 그 지점부터 공부를 시작해야 제대로 알게 된다는 겁니다. 하지만 그는 이어 “우리나라의 수학교육이 빠른 진행에만 치중해 자신의 위치를 깨닫고 다시 시작할 시스템이 준비돼 있지 않다”며 “이 상황에서는 ... ...
- [기획] 스케이트 보딩, 에너지를 창조하라수학동아 l2021년 09호
- 큰 속력을 얻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공중에 떠오를 수 있어요. 하지만 스트리트는 출발지점의 경사가 크지 않아요. 그래서 구조물에 올라 원하는 기술을 보여주기 위해서는 주행 중 특정 순간에 보드를 발로 차고 구조물을 향해 날아오르는 알리를 해야 하죠. 알리를 바탕으로 점프하면서 보드를 ... ...
- [특집] 일상으로 들어온 메타버스수학동아 l2021년 08호
- 3개의 인공위성을 사용해 각각의 반지름을 갖는 세 개의 구를 만들고, 그 구가 만나는 지점 중 지구의 표면과 가장 가까운 부분에 우리가 있다고 계산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는 인공위성을 4개를 사용해 오차값을 줄이고 정확도를 높입니다. 확장된 정보의 세계, 거울 세계 거울 세계는 그대로 ... ...
- 굴뚝 산업에서 반도체 산업으로과학동아 l2021년 08호
- 인프라를 마련하고 중·장거리 운행 시 불편함이 없도록 고속도로 휴게소 등 주요 지점에 충전소를 설치하고 있다. 2020년 12월 기준 국내 공용 전기차 충전기는 3만 4639기가 있다. 이 중 23%인 7959기가 급속충전기다. 현재 국내 급속충전기 1기당 전기차 수는 16.9대인데 1기당 10대 이하가 적정한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