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행"(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슈퍼M] 수박 더 맛있게 먹는 법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4호
- 수박은 그냥 먹어도 맛있지만, 시원한 곳에서 좋아하는 사람들과 나눠 먹으면 더욱 맛있답니다! 수박을 나눌 때는 분수를 활용하면 편해요. 수박의 개수를 분수로 나타내는 연습을 해보고, 수박을 먹을 때 시원하게 만들어줄 수박 모양 부채도 만들어 봐요! 미션 1. 수박은 몇 개일까?각 그림 속 수 ... ...
- [시민과학콘] 지사탐×국립수목원, 벚꽃엔딩 프로젝트 그 결과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국립수목원과 함께 전국의 벚꽃 개화 시기를 관찰하는 벚꽃엔딩 프로젝트를 진행했어요! 벚꽃엔딩 프로젝트는 전국 11개 지역의 벚꽃놀이 명소에 지정된 벚나무를 찾아가 식물개화 탐사기록을 올리는 미션이에요. 지역별로 벚꽃이 피고 지는 시기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전국 각지에 있는 ... ...
- [출동! 슈퍼M] 시력 1.0 이 이라는건 무슨 뜻인가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시력 검사를 받기 위해 안과에 갔어요. 큰 글씨와 작은 글씨를 읽었더니, 시력이 ‘1.0’이라고 알려주셨지요. 그런데, 시력이 1.0이라는 건 어떤 의미인가요? 시력은 왜 소수로 나타내는 건가요? 시력 검사표에는 왜 C 모양이 있을까? 먼저 시력 검사표부터 살펴볼까요? 시력 검사표에는 다양한 크기 ... ...
- [놀이북] 사고력이 쑥쑥! 고대 이집트의 분수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3호
- ...
- [Space Math] 우주선 위치 파악부터 우주 쓰레기 탐지까지 센서 기술수학동아 l2023년 12호
- 기술과 산업의 발전 덕분에 온도, 움직임, 소리 등 다양한 물리량을 측정하는 센서가 우리의 일상에 깊게 뿌리를 내렸다. 휴대전화 안에도 기능 자체를 관리하기 위한 온도 센서는 물론이고 카메라, GPS, 소리, 움직임 등 여러 앱의 형태로 다양한 센서가 사용되고 있다. 아주 단순한 나침반도 센 ... ...
- [특집]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20년 인간 유전체, 그 끝을 찾아서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새로운 인간 유전체 분석 결과가 꾸준히 실리고 있다.왜 인간 유전체 분석 연구는 아직도 진행 중인가. HGP 완료 20주년, 인간 유전체 연구의 시작부터 현재, 그리고 앞으로의 전망까지 짚어봤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특집]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 20년 인간 유전체, 그 끝을 찾아서INTRO. 인간 ... ...
- [특집] Part1. 최최종_수정...인간유전체 연구는 끝이 없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부분이 상당히 많다. 만약 병의 원인이 되는 유전자가 이 8% 범위 내에 있다면 연구가 진행되기 어려웠다. T2T 컨소시엄 연구팀은 8%의 틈을 메운 연구를 토대로 최신 참조 유전체인 ‘T2T-CHM13’을 발표했다. 생물학자들이 유전자를 찾기 위한 더 정확한 지도가 주어진 셈이다. 05인간을 인간답게 ... ...
- 네 친구의 꿈, 12월 창공을 가르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진행한 모든 실험이 실패한 건 아니었어요. 그때 스테인리스 엔진의 추력 시험도 함께 진행했거든요. 이때 발생한 추력이 952N이었습니다. (952N은 약 97kgf이니) 100kg인 사람도 들어 올릴 수 있는 정도의 힘을 냈다고 보면 돼요. 추력을 측정하는 장치가 부서질 정도의 괴력이었죠. 이렇게 찾은 방식으로 ... ...
- [기획] 두려움 없는 도전을 위해, KAIST는 실패를 연구한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KAIST 실패연구소에선 2023년 6월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이란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프로젝트에 참가한 KAIST 학생 31명에게 3주간 자신의 일상을 관찰한 다음, 실패가 벌어진 현장 또는 실패감을 떠올린 순간의 사진을 찍도록 한 겁니다. 학생들은 사진을 왜 찍었는지 메모도 ... ...
- [기획] KAIST 학생들이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과학동아 l2023년 12호
- 지난 6월 ‘일상에서 포착한 실패의 순간들’이란 주제로 연구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KAIST 학생 31명에게 3주간 자신의 일상을 관찰한 다음 실패가 벌어진 현장 또는 실패감을 떠올린 순간의 사진을 찍도록 한 겁니다. 그 결과 360여 개의 ‘실패 장면’이 모였습니다. KAIST 학생들은 언제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