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집"(으)로 총 4,00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미래일기 60여 년 뒤, 한반도의 겨울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내린다. 이 때문에 며칠 되지 않는 한파가 오는 날은 국가 지정 긴급 공휴일로 아무도 집 밖에 나서지 않는다. 창밖으로 한강의 물이 넘실대고 있다. 이러다가 한강 주변도 물에 잠기는 게 아닌지 걱정이다. 20여 년 전 북극의 빙하는 완전히 녹아내렸고, 남극의 빙하도 50% 이상 없어졌다. 그 결과 ... ...
- 플라스틱 다이어트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줍깅탐사곽소영 기자동네에서 줍깅!동네에서 버려진 페트병을 주웠어요. 집으로 갖고 돌아와서 분리수거했답니다. 쓰레기를 함부로 버리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따분행! 캠페인정고은 기자나의 첫 따·분·행! 처음으로 따·분·행을 실천하고 인증했어요. 우유 페트병은 상표를 ... ...
- [퍼즐 마법학교] 옴니스 거리 나눔 장터로!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3호
- 책상 위에 펼쳐두니 제법 그럴듯해 보였어. 가격표를 붙이려는데, 앗! 준비한 가격표를 집에 두고 왔나 봐. 이런가격을 다시 정해야겠다! 마법 세계의 돈의 단위는 ‘아우룸’이야. 어릴 때 몇 번 신었지만 작아져서 더는 찾지 않는 신발은 7아우룸, 예뻐서 샀는데 색이 안 어울려서 한 번 입고 말았던 ... ...
- [기획] 이메일 지우면 디지털 탄소발자국 줄어들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언급했다. 거의 모든 디지털 서비스가 결국 데이터 센터로 모이기 때문이다. 바다에 집어넣고 산에다 짓고, 친환경 데이터 한 가지 방법은 데이터 센터에 신재생 에너지를 공급해 탄소 중립을 실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은 2018년 9월 아일랜드클로니의 바람이 많이 부는 자연환경을 ... ...
- [SF 소설] 우리 할머니들이 깨어날 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이상해요.”본은 다정하게 그러나 단호하게 내 손을 잡았다.“순영, 당신이 정미류의 집에서 뭘 보았는지 저도 알아요. 하지만 말이에요. 모두 만들어낸 사실은 아니에요. 당신은 진짜 존재했어요. 아주 오래전에, 아주아주 오래전에. 그렇게 살아간 여자들이 진짜 있었어요.”본의 말뜻을 알 것 ... ...
- [People] 수학을 악보에 그리는 사람들 - 이지수 음악감독수학동아 l2023년 03호
- 본 데다 쓰다 버린 악보를 주워서 따라 그리면서 작곡에 관심이 생겼어요. 10살인 어느 날 집에서 체코 음악가 안토닌 드보르자크의 ‘신세계로부터’를 듣는데 너무 멋진 거예요. 악보사에서 이 악보를 찾아보다가 작곡을 제대로 배우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반대하시는 부모님 앞에 신문에서 ... ...
- [러셀 탐구생활] 제3장 의심에서 싹튼 수리철학수학동아 l2023년 03호
- 하니까요. 선과 악의 문제, 처벌과 보상의 정당성, 삶의 의미마저 모두 불분명해집니다. 그러나 저는 이 생각 앞에서 무기력감보다는 경탄과 호기심을 더 크게 느꼈습니다. 이 생각은 몇 가지 가정에 의존합니다. 모든 물리 법칙은 수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는 가정이 필요하고, 물리 법칙의 지배를 ... ...
- [시민과학콘] 지구사랑탐사대 2023년 11기 모집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탐사 방법을 알려드려요. 영상과 가이드북으로도 탐사 방법을 배우세요.3탐사하기집 주변이나 배정받은 구역에서 탐사를 진행해 주세요. 직접 찍은 생물종 사진과 데이터를 팝콘플래닛 앱에 기록해 주세요.4수료하기3종 이상 탐사를 수료하면 탐사활동 인증서와 기념품을 받아요. 내가 올린 ... ...
- [기획] 일상에서 찍히는 디지털 탄소발자국을 따라가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스토리지(저장 장치) 등 인터넷을 통한 컴퓨터 서비스에 필요한 장비가 모인 ‘데이터의 집’ 같은 건물이다. 데이터 센터는 어떤 일을 할까. 영상을 예로 들어보자. 스마트폰에서 영상을 스트리밍 하면, 데이터 센터에 저장돼 있는 해당 파일이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라우터로 전송된다. ... ...
- [뉴스&인터뷰] “글과의 거리두기, 드디어 끝났습니다”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당해 식물인간이 된 채 누워 있다. 정순영은 그래서 해동됐다. 돈을 벌기 위해 매일 집을 떠나는 31대손의 배우자를 안심시킨 뒤 반쯤 죽은 후손의 대소변 주머니를 갈아주고, 손발을 주물러주기 위해. 정순영은 2022년 SF스토리 공모전에서 소설 부문 최우수상을 수상한 작품 ‘우리 할머니들이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