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한
cannes
kahn
khan
깐느
Cannes
칸느
d라이브러리
"
칸
"(으)로 총 663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냅챗? 알고 보면 ‘數’냅챗! 아기 얼굴 만드는 비결
수학동아
l
2019년 08호
픽셀의 첫 번째
칸
부터 시작해 특정 크기의 사각형 영역을 잡았을 때 맨 오른쪽 아래
칸
에 그 영역에 있는 수들의 합을 미리 계산(❶)해서 써놓은 숫자표지요. 인테그랄 이미지를 이용하면 하르가 돌아다니며 계산할 때 계산양을 줄일 수 있습니다(❷). 얼굴 찾는 기술, 발전 가능성도 무궁무진 이 ... ...
후보2. 도마뱀 피부색의 비밀은 세포 자동자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밀린코비치 교수는 제 피부에 있는 비늘 하나하나를
칸
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이때
칸
의 상태는 초록색, 검정색 두 가지로 나뉘죠. 제 피부를 보면 보통 초록색 비늘 1개의 주변에 검정색 비늘 4개가 있습니다. 반대로 검정색 비늘 1개의 주변에는 초록색 비늘 3개가 나타나죠. 이런 결과가나오도록 ... ...
후보6. 수학자 마음 사로잡은 비둘기집
수학동아
l
2019년 07호
원리’ 였던 건 아닙니다. 1834년 독일 수학자 페터 구스타프 르죈 디리클레는 사각형
칸
으로 이뤄진 서랍장에 진주를 하나씩 채우는 방법을 떠올려 ‘서랍 원리’라고 이름 지었어요. 그런데 이 원리가 유럽으로 퍼지는 과정에서 서랍장이 비둘기집과 비슷해 사람들은 점차 비둘기집의 원리라고 ... ...
[스미스의 탐구생활] 보드게임의 필승 전략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6호
보라의 4가지 중 원하는 색깔 블록을 나눠 가져요. 그 후, 보드 중앙 블록과 같은 색의
칸
에 블록을 한 개씩 올려요. 그리고 돌아가며 블록 두 개와 액션 주사위를 함께 던져요. 블록을 놓는 액션에 당첨되면, 함께 던진 블록 두 개를 원하는 곳에 놓고 길을 이어주면 된답니다. 블록에는 여러 모양의 ... ...
주기율표, 누가 만들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5호
표시한다.*에카(eka) : ‘1’이라는 뜻을 가진 산스크리트어. 멘델레예프는 특정 원소의 한
칸
밑에 오는 미발견 원소에 ‘에카’를 붙여 임시 이름을 만들었다 ... ...
[알고리듬 시그널] 해밀턴 회로 문제를 푼다! 백트래킹 알고리듬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계속 써나가는 거예요. 만약 규칙에 어긋나는 지점이 생기면 틀리지 않은 지점까지 한
칸
씩 거슬러 올라가며 해를 재탐색하죠. 이런 방법을 ‘백트래킹 알고리듬’이라고 하는데 ‘백트래킹’이라는 용어는 미국 수학자인 데릭 헨리 레머가 1950년대에 처음으로 사용한 뒤 컴퓨터 과학에 널리 쓰이게 ... ...
강원 산불을 키운 범인은?
수학동아
l
2019년 05호
정해지는 것이다. 나무의 종류에 따라서도 산불 확산 정도를 알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한
칸
에 있는 나무가 불이 안 붙는 나무라면 확률값이 0, 불이 너무나 쉽게 붙는 나무라면 확률값이 1이 되는 식이다. 이번에 산불이 난 강원도 산간 지역에는 침엽수인 소나무가 많다. 소나무의 송진 가루는 ... ...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대회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과학동아와 함께 ‘나만의 주기율표 만들기 대회’를 개최합니다. 사각
칸
에 일렬로 채워진 주기율표의 디자인이 너무 밋밋했나요? 원소 기호만 잔뜩 들어 있어 보기에 너무 답답했나요? 주기율표는 왜 항상 표로만 나타내는지 궁금했나요? 이런 생각을 한 번이라도 했다면 당신은 나만의 ... ...
수학 교과서는 거짓말쟁이? 진실 혹은 거짓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소수 등의 유리수도 ‘모눈종이 9
칸
중에서 2
칸
을 색칠한 숫자’, ‘막대기를 7등분하고 3
칸
을 칠한 숫자’로 표현합니다. 실제 의미의 ‘유리수’가 아닌 자연수를 도구로 실험해서 만들어낸 수가 되는 거지요. 반면 중학교 수학은 본격적으로 수를 양이 아닌 수 자체로 배우기 시작합니다. ... ...
[따끈따끈 수학] 필즈상 수상자도 도전한 무작위 베르누이 행렬 문제
수학동아
l
2019년 04호
들어가게 됩니다. 따라서 pn≥0.5n임을 알 수 있습니다. 한참 후인 1995년 미국 수학자 제프
칸
과 콤로시, 그리고 2012년 아벨상을 받은 헝가리 수학자 세메레디 엔드레 이렇게 세 명의 수학자가 pn≤0.999n을 증명합니다. n이 커지면 0.999n은 0.999가 1보다 작으므로 결국은 보다는 빠른 속도로 0에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