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폭"(으)로 총 1,651건 검색되었습니다.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지진계 만들기 - 흔들흔들, 진동을 기록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친구들이 책상을 세게 흔들자 컴퓨터 화면에는 큰 폭의 그래프가, 약하게 흔들자 작은 폭의 그래프가 나타났지요. 섭섭박사님은 “친구들이 책상을 흔들면 지진계에 달린 자석이 흔들리면서 코일에 전류가 생긴 것”이라고 설명해주셨답니다. 수업에 참여한 김승민 친구는 “이번 수업을 통해 ... ...
- DGIST 뇌·인지과학전공 - 뇌질환 비밀 풀 열쇠 ‘세포의 성벽’ 인지질과학동아 l2019년 01호
- 느려졌다. 또 칼슘 통로가 열리도록 자극하는 전기적 신호가 10mV(밀리볼트)에서 40mV로 대폭 커졌다. 결국 베타 소단위체 없이는 칼슘 통로가 원활히 열리지 않는 셈이다. 이 내용은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2018년 10월 16일자에 실렸다. doi:10.1073/pnas.1809762115 서 교수는 “베타 소단위체와 여기에 .. ...
- [지구사랑탐사대] 국립수목원에 식물 탐정이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2호
- 손끝에서 고양이가 꽃 사이를 뛰어노는 화묘원, 나비와 벌이 꽃 사이를 날아다니는 한 폭의 그림 같은 정원들이 탄생했지요. 식물 탐정부터 정원 꾸미기까지 임무를 수행하며 대원들은 우리 주변 어디에나 있지만 평소 자세히 들여다보지 않던 귀화식물들에 대해 한층 깊이 있게 알게 됐답니다 ... ...
- 노벨물리학상, 빛으로 도구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21호
- 같지만 순간 세기는 작아져 증폭기를 통과시킬 수 있거든요. 이후 다시 레이저 펄스 폭을 압축시키자 펄스의 길이는 짧지만 세기는 훨씬 더 강해진 레이저를 얻을 수 있었답니다. CPA가 등장한 이후 레이저의 세기는 다시 4~5년마다 두 배 이상씩 커지고 있어요. 이처럼 새로운 레이저 기술의 등장은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학교 밖 체험 다 모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3호
- 있어요. 부용대 정상에서 내려다보자 유유히 흐르는 강물과 마을 전체가 어우러져 한 폭의 그림 같았답니다.이처럼 하회마을은 역사와 전통이 살아 숨쉬는 유산으로서 의미가 깊어요. 하회마을을 직접 다녀와 보니 잘 보존하고 지켜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답니다. [기사 3] 유연우 기자·수원 ... ...
- [팩트체크 4] DMZ, 멸종위기종의 천국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2호
- 5년 간 인간 없는 세상, DMZ한반도에는 65년 간 미스터리로 남아있는 지역이 있어요. 바로 폭 4km, 길이 248km인 비무장지대(DMZ)지요. 이곳은 남한과 북한이 전쟁을 멈추기로 하는 ‘정전협정’을 맺으면서 생긴 지역으로, 휴전선에서 남북으로 2km까지 군사시설을 배치하지 않기로 약속한 곳이지요. 이에 ... ...
- 단위계 ‘프랑스 혁명’ 국제도량형총회 르포과학동아 l2018년 12호
- 국제미터원기는 백금 90%와 이리듐 10%를 합금해 만든 1m 길이 자다. 하지만 눈금 사이의 폭이 6~8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로 정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시간이 흐르면서 열팽창하거나 산화하는 등 길이가 미세하게 달라졌다. 결국 1975년 제15차 국제도량형총회에서 절대 변하지 않는 ... ...
- 세계 13위, 韓 슈퍼컴퓨터 누리온과학동아 l2018년 12호
- 신지혜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은 “빅뱅 이후 핵반응에 따른 별의 생성과 초신성 폭발, 은하의 생성과 진화 등을 모두 시뮬레이션에 담을 예정”이라며 “기존보다 27배 큰 규모로 세계에서 가장 넓은 우주를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57만20개 코어, 연산 성능 세계 13위 누리온은 ... ...
- [영재교육원 탐방 10] 미래형 교육과정으로 미래 인재 기른다!수학동아 l2018년 12호
- 2일 동안 진행되는 캠프에서는 첨단 과학기술 체험과 예술 분야 특강 등을 통해 관심의 폭을 넓힐 기회가 주어진다. 또 다른 특징은 끈끈한 선후배 관계다. 과학전시관 영재교육원 수료생들은 자발적으로 동문 모임을 정기적으로 갖는데 이 모임이 굉장히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다. 특히 선배들은 ...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최고의 학과’ 만드는 ‘최고의 학생’과학동아 l2018년 12호
- 나노기술, 생명공학기술 등 연구 분야가 매우 다양했다”며 “진로 선택의 폭이 넓다는 장점에 끌려 화학생물공학부를 선택했다”고 말했다. 유 씨는 1학년 때부터 무조건 지역균형 선발전형으로 서울대에 입학해야겠다고 결심하고 꾸준히 내신 성적을 관리했다. 그는 “매 학기 전교 1등을 한다는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