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정
해소
해법
해명
해답
정해
결말
d라이브러리
"
해결
"(으)로 총 6,872건 검색되었습니다.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09호
배울 수는 없을까? 얼룩말은 키우기도, 타기도 힘들다는데 이유가 뭘까? 이런 궁금증을
해결
해 줄 과학 영상을 추천할게! 한강에 나타난 수십억 마리 생물체, 진짜 바다와 구분되지 않을 정도로 감쪽같은 인공 바다에 대한 영상은 보너스! 말은 타는데, 왜 얼룩말은 타지 않을까요? 말처럼 ... ...
인생 멘토 쏟아지는 IMO
수학동아
l
2023년 09호
밈을 만들었는데요. 어떤 문제건 조금 생각해보고 “에이~ 자명한 문제(쉽게
해결
할 수 있는 문제)네!”라고 외치는 거예요. 그 말을 한 뒤 문제를 풀면 두려웠던 마음이 사라지고 문제가 쉬워 보여요. 나중엔 누가 먼저랄 것도 없이 이 말을 외치면서 문제를 풀었어요. Q. IMO를 치르며 여러 위기를 ... ...
IMO는 인생의 전환점! 수학 영재는 무슨 일을 할까?
수학동아
l
2023년 09호
해도 창업할 생각은 아예 없었습니다. 고등학생 때는 수백 년간 풀리지 않은 난제를
해결
하고 본인의 이름을 딴 ‘이승명의 정리’를 만드는 수학자를 꿈꿨지요. 하지만 대학에서 경제학을 공부하며 순수수학만이 자신의 길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우리가 사는 세상이 수학처럼 깔끔하고 아름답게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3년 09호
문제는 수학자가 푸는 문제처럼 아무도 답을 모르는 미
해결
문제예요. 출제자도 답을 모르지요. 폴리매스 홈페이지 → [폴리매스 문제] 게시판에서 댓글로 자유롭게 의견을 나누며 혼자서는 풀기 어려운 문제를 함께 풀어 보세요. 폴리매스 규칙을 잘 지키며 문제를 풀면 국내 최고 수학자에게 ... ...
[최신 이슈] 우리 집 외동 식물 산세베리아, 반려식물병원에 가다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평소보다 입원이 많은 편”이라 말했다. 반려식물병원은 식집사들이 식물의 문제와
해결
방안을 알아가, 직접 식물의 회복까지 이뤄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한 예로 식물에 필요 이상으로 물을 주는 ‘과습’은 내원하는 식물들의 가장 대표적인 문제다. 시들어 가는 식물을 화분에서 꺼내 보면 ... ...
[이달의 책] 인간처럼 생각하는 로봇과 살아야 한다면?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득실 등 우주탐사학이 상상하고 탐구하는 질문은 무궁무진하다. 이 책은 이 질문들을
해결
하기 위해 과학이 활용되는 생생한 현장을 꼼꼼히 들여다본다. 이는 우리의 과학 지식이 첨단 과학기술 영역에서 실제로 쓰이는 방식을 배우는 귀한 기회이기도 하다. 우주과학에 관심 있는 독자라면 종이 ... ...
문제 채점을 협상으로 한다!
수학동아
l
2023년 09호
답을 논리적으로 깔끔하게 작성하지 못했더라도 연습 종이에 적힌 내용이 문제를
해결
하는 데 결정적인 아이디어라면 점수를 얻을 수 있습니다. 또 풀이 속에 숨어 있는 핵심 아이디어나 접근법이 중요하기 때문에 사소한 내용이 틀려도 점수를 깎지 않아요. 그래서 대표단은 학생의 연습 종이를 ... ...
IMO 출신, 대학원생은 어떤 미래를 그리고 있을까?
수학동아
l
2023년 09호
떠올랐는데 네가 할 수 있을 것 같아. 해볼래?”라고 메일을 주셨어요. 결국 그 문제를
해결
한 논문이 대학생임에도 불구하고 학회지에 실리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해석기하에 입문했어요. 그 이후 3학년 1학기에 학교로 돌아가 해석기하 수업과 세미나를 많이 들으면서 기하적인 도구로 위상 문제를 ... ...
우주에서 친환경 에너지 생산하고 지구에서 쓴다!
수학동아
l
2023년 09호
실현될진 모르지만 말이다. 필요할 때 켰다 껐다 할 수 있는 보다 실용적인 지구 냉각
해결
책들이 조만간 독자로부터 나올 수 있다면 정말 멋질 것이다 ... ...
Part4. 가장 먼 곳의 붉은 은하를 찾다
과학동아
l
2023년 09호
아니냐는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난감한 문제였지만, IMF만 다른 값으로 대입하면 쉽게
해결
된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해답은 역으로 더 중요한 고민을 안겨준다. 결국 초기우주에서의 별과 은하의 탄생, 진화 과정이 지금의 가까운 우주에서 파악했던 방식과 달라야한다는 뜻이 되기 때문이다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