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석"(으)로 총 2,469건 검색되었습니다.
- 거대강입자충돌기, 빅뱅에 다가간 10년과학동아 l2021년 05호
- 또 다른 3000명의 연구원들에게 수정해도 괜찮은지 확인을 받아야 한다. 검출기 데이터를 해석해 나온 연구 결과 역시 그 검출기에 관여하는 다른 연구원들의 숱한 검토를 거쳐야 비로소 발표될 수 있다. 그래서 LHC의 공동연구결과를 담은 논문에는 주도한 사람이 누구든 그 검출기팀에서 정식 ... ...
- 가깝고도 먼 친척 인류...수수께끼 속 인류 데니소바인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유전자 흐름을 보면 앞으로 동남아와 오세아니아 등에서도 발견될 가능성이 있다”고 해석했다.데니소바인의 정체를 밝히고 다양한 가설들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화석과 DNA 등 고인류학적 증거를 확보해야 한다. 크리스토퍼 배 미국 하와이대 인류학과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2019년 ... ...
- [특집] 핵심만 쏙 뽑은 확률의 기본 개념수학동아 l2021년 05호
- 찾는 거죠. 이를 경사 하강법이라 부르는데요. AI 학습 알고리듬은 처음 입력된 데이터를 해석하거나 이를 통해 답을 찾아갈 때 모두 경사 하강법을 사용합니다. 여러 데이터는 알고리듬 내에서 여러 겹의 행렬층으로 존재하는데요. 미분으로 각 행렬층의 데이터에 대한 오차를 계산해 오차범위 밖의 ... ...
- [IBS×수학동아] 나의 삶, 나의 수학 그래프로 연결하는 세상수학동아 l2021년 05호
- 함께 발전하는 시기에 그 분야에서 연구할 수 있어서 매우 운이 좋았습니다. 물리학과 해석학 분야가 17세기부터 19세기까지 함께 발전한 것처럼 컴퓨터 과학과 이산수학이 완전히 함께 성장해 왔어요.”이처럼 이산수학분야는 수학의 중심 연구 분야로 인정받은 지 얼마되지 않았지만, 컴퓨터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7화. 한국의 잊힌 국론 대가, 이임학수학동아 l2021년 05호
- 1948년 이 교수는 이 책의 한글 번역판을 처음 출판했습니다. 이후에도 이 교수는 ‘평면해석기하학’, ‘대수학’ 등 7권의 대학 교재를 쓰며 열악했던 한국의 수학교육을 발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세계적인 수학자의 길로 들어서다이 교수는 1947년 서울의 남대문 시장을 지나다가 우연히 ... ...
- [DGIST@융복합 파트너] 누구나 혜택을 누릴 수 있는 기술을 꿈꿉니다과학동아 l2021년 05호
-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이론을 내놨다. 그중 하나가 뇌의 기억 방법을 수학적 모델로 해석하는 축약 분산 기억(sparse distributed memory) 이론이다. 축약 분산 기억은 인간의 장기 기억 신호가 고차원형태의 2진법 신호로 축약돼 동시에 여러 시냅스에 분산돼 처리된다는 내용이다.2010년대 들어 AI ... ...
- [과학의 달 특집] 무퀴즈 온더 블럭!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엔진을 제외한 윗부분을 추진기관이라고 부르는데요. 추진기관에 대한 모든 설계, 해석, 시험을 담당하는 팀입니다. 과동 : 엔진을 제외한 모든 것이라니 준비해야 할 게 무척 많아 보입니다. 당장 3월 말에는 세 번째 종합연소시험이 있다고 들었어요. 장환 : 네. 일주일에 5일은 나로우주센터가 ... ...
- [과학법정] 우주 자원, 소유권 전쟁!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없다’는 원칙을 따르도록 했지요. 그런데 ‘자원’에 대한 내용은 없어 나라마다 다른 해석을 내놓고 있어요.왜 자원에 제한을 두지 않냐고요? 강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김한택 명예교수는 “소련과 미국이 우주 산업에 경쟁적으로 뛰어들던 당시 우주가 군사 기술에 활용될 것이 두려운 모두가 ... ...
- [SF 소설] 미래에게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대로 되지는 않을 수도 있지만, 나는 미래에게 그렇게 바라기로 했다. 내가 박스를 치고 해석한 모든 것이, 데이터로 등록한 모든 것이 미래에게 안내자가 되기를. 개당 250원으로 내가 미래에게 공정함과 신뢰를 부여했기를. ... ...
- [과학법정] 인공지능의 창작품, 주인을 찾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손승우 교수는 “인공지능 관련 규정이 없는 상태에서 중국 법원이 창작의 주체를 넓게 해석한 경우”라며, “개발사의 노력을 보호하기 위해 인공지능 창작물을 인정한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인공지능 창작물에 법 근거를 만들자는 주장에는 찬반 논란이 뜨거워요. 찬성 측은 인공지능 산업을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