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안
연해
shoreline
해선
d라이브러리
"
해안선
"(으)로 총 210건 검색되었습니다.
남극해 요트로 도전하다
과학동아
l
1987년 09호
넓은 번식지도 있었다. 아델리펭귄 도둑갈매기 등검은 갈매기…등등. 비교적 살풍경한
해안선
만 따라 며칠이고 가다가 갑자기 이런 야생동물이 떼지어 있는 곳에 이르렀을땐 약간 충격적이었다.필자는 바쁘게 셔터를 눌렀다. 샐리와 리사는 섬에있는 동물들의 정확한 수를 헤아리느라 바빴다. ... ...
Ⅲ바다의 폭도-해일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등심선과 직각인 방향에 보다 많은 에너지가 방출되고 있은 것이다. 그림에서는 칠레의
해안선
에 직각인 방향을 큰 원을 따라 선으로 그리고 있다. 이 선이 마침 극동연안에 거의 직각으로 부딪쳐 피해가 커진 한 원인으로 보인다. 칠레해일과 같은 먼곳의 해일 습격을 받기전에 극동에서 그 지진을 ... ...
Ⅱ바람과 바다의 협주곡-풍파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전면의 기울기가 커지고 뒤면의 기울기가 작아져 파도는 전후비대칭이 되어간다. 그러나
해안선
이 길고 얕은 해안에서는 이런 비대칭이 그렇게 극단의 모양이 되지않고 파도의 뾰족한 봉우리 부분만이 허물어져 버린다.이럴때 파도는 허물어지면서 상당한 거리를 진행하게되어 폭 넓은 쇄파대 ... ...
우주개발에서도「MADE IN JAPAN」시대가 올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5호
잇달은 발사 실패를 염두에 둔것임을 말할것도 없다. “이 H-I 발사대에서 바위 투성이의
해안선
을 1마일 정도 간곳에는 불도저가 새로운 H-II발사대를 위한 정지작업을하고 있다. H-II는 1992년에 실용화할 예정으로 미공군의 타이탄 34D를 웃도는 페이로더를 정지궤도에 보낼수가 있다” H-II는 ... ...
행성지구 그 신비를 해부한다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였다. 세계 지도를 유심히 바라보고 있던 그는 남아메리카 동쪽과 아프리카 서쪽의
해안선
이 대서양을 사이에 두고 그 상대적 위치가 달라지고 있다는 것을 느꼈다. 이에 힌트를 얻은 '베게너'는 지금부터 2억년전에 지구상의 모든 대륙은 하나로 모아져 있었고 그것이 분열하여 현재와 같은 모양을 ... ...
지구과학 단원마다 주제에 대한 의문을 갖고
과학동아
l
1987년 04호
동해안에는 절벽이 많고
해안선
도 거의 일직선인데 서해안과 남해안에는 섬도 많고
해안선
이 그렇게 복잡할까?·세계의 지붕이라고 불리우는 히말라야 산맥은 어떻게해서 생겨난 것일까? 그리고 아메리카의 록키 산맥과 안데스 산맥은?·왜 화산과 지진은 태평양을 둘러싼 대륙의 변두리에서 많이 ... ...
파괴돼가는 철새도래지 을숙도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일어나면 삼각주 말단은 잠식, 퇴적작용이 왕성한 하구부근만이 바다쪽으로 돌출하여
해안선
은 뾰족한 첨각상으로 변하게 된다. 이러한 모양의 삼각주는 첨각상(尖角狀)삼각주로 이탈리아의 로마시내를 관통하는 티베르강 하구의 삼각주가 대표적인 예에 해당된다. 한편, 연안류와 조류가 ... ...
우리아저씨의 해당 빙하기 마지막 단계에서 사라진 네안델탈인
과학동아
l
1987년 02호
버렸는가는 아직 신비로 남아있다. 현대인들의 조상은 바로 그때쯤 지중해동쪽의 긴
해안선
에 모습을 나타냈다. 오랫동안 사람들은, 무기를 사용한 대 규모 전투가 벌어졌으며 또 뒤이어 가혹한 집단 학살이 뒤따랐을 것이라고 믿는다. 네안델탈인들이 사라진 때는 빙하기의 마지막 단계였다. ... ...
살아 움직이는 지구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수 있는 최초의 배였다. 챌린저호는 '베게너가'가 '아프리카 대륙과 남아프리카 대륙의
해안선
이 합치된다'고 주장한 역사적 지역을 횡단항해 하면서 조사를 했다.해저 보오링으로 코어(Core. 둥근 기둥같이 뽑아낸 암석시료)를 채취하여 그 속의 화석을 조사한 결과 대양 중앙해령에서 ... ...
'광물의 표본실' 한반도의 천연자원
과학동아
l
1986년 05호
이 해역은 김 굴 고막 홍합 등의 양식업에도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고 있다.황해수역 역시
해안선
이 길고 황해의 중앙부도 수심이 1백m를 넘지 못하는 대륙붕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수심이 얕고 조류가 급한 관계로 바닷물이 항상 혼탁하여 플랭크톤은 동해의 절반수준밖에 되지 않는다.더우기 ... ...
이전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