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행동
활동
몸짓
동작
액션
거지
거러지
d라이브러리
"
행동거지
"(으)로 총 200건 검색되었습니다.
2. 과학으로 해부한 6가지 사랑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인간은 사랑이 기쁨과 슬픔, 환희와 좌절, 열정과 배신의 모습을 가진 야누스라는 것을 알면서도 존재하기 위해 사랑을 선택하다. 정서라는 강 저 밑바닥에 가라앉아 있는 사랑을 과학으로 깨워본다.일요일 아침 단잠을 포기하고 친구 결혼식에서 부케를 받은 A양. ‘부케 받고 3개월 안에 시집 안 ... ...
혜성충돌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2199년 1월 유엔. 삼엄한 경계 하에 비공개 회의가 열리고 있었다. 참석자들은 지구방위 위원회에 속한 20개국의 대표들이었다. 벌써부터 얼굴이 붉게 물들어 있던 미국 대표가 다시 열변을 토하기 시작했다.“도대체 뭘 망설이는 겁니까. 지금 이 시간에도 그것은 맹렬히 지구로 향해 오고 있어요. 당 ... ...
열 받아야 글씨가 보이는 잉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레몬즙이나 염화코발트 용액으로 글씨를 쓰면 아무도 읽을 수 없습니다. 상대만이 알 수 있는 비밀 메시지를 보내 내용은 물론 화학적 원리도 알도록 해봅시다.탐정 소설을 좋아하세요? 애거사 크리스티의 '비밀결사'라는 소설을 보면, 감추어진 문서를 주인공들이 극적으로 찾아내는 대목이 나와 ... ...
연체동물이 뿌리는 먹물의 용도는?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바쁜 기색을 찾아볼 수 없는 것이다.이런 사실은 최근 미국자연사박물관에서 생물의
행동거지
를 연구하고 있는 두 학자인 에텔 토바흐와 앙드레 자퍼레스에 의해 확인됐다.그들은 푸에르토리코 앞바다에서 그 '느림보'를 잡아온 뒤 큰 고기와 게 그리고 문어와 함께 수조에 집어 넣었다. 적어도 ... ...
남북과학교류 추진하는 원병오교수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북한의 모교에 가서 조류학 특강을 하고 싶어요"원홍구(元洪九)와 원병오(元炳旿). 두 사람은 남북한의 대표적인 조류학자이며, 부자지간이다. 이들은 이른바 이산가족이었는데, 자신들의 연구대상인 새를 통해 남북을 오갔다. 그렇다고 새의 발목에 편지를 묶어 소식을 주고 받았다는 얘기는 아니 ... ...
의사
과학동아
l
1989년 03호
그렇지만 아픔보다 더 큰 걱정이 있는 사람은 눈빛부터 다르다. 하여튼 그 사람의 모든
행동거지
는 불안을 온 주변에 뿌리게 된다.이런 사람을 진찰할 때는 병보다 먼저 신경을 써야 할 게 있다. 그 사람의 불안감이다. 이런 사람이 호소하는 증상은 복잡하기 짝이 없다. 실제로 갖고있는 증상에 ... ...
잘못 알려진것이 너무많은 곰
과학동아
l
1988년 09호
미련하다고 하지만 보기에만 그런 것.
행동거지
, 성격 등에서 재미있는 요소가 많다. 사람들은 흔히 미련한 것이 곰이라고 말한다. 뿐만 아니라 미련하게 보이는 사람을 두고는 곰을 닮았다고 한다. 또 재주는 곰이 부리고 돈은 ○놈이 가져간다는 말도 자주 인용해 쓰고 있다.곰이 미련하다는 것은 ... ...
이공계 대학, 어떤 학과를 선택할 것인가 기초과학분야가 전망 밝아
과학동아
l
1987년 11호
성적보다는 흥미 느끼는 분야로현-매년 이맘때가 되면 우리사회는 어김없이 대학입시라는 홍역을 앓게 됩니다. 자신의 일생이 이 한번의 시험으로 결정된다고 믿고 있는 학생 개개인은 말할 것도 없고 학부모들과 교사도 어느 대학의 어느 학과로 지원할까에 초미의 관심을 기울이게 되지요. 그 ... ...
원자의 세계, 확률이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막스 플랑크'가 낳은 양자역학을 키운 사람은 '닐스 보어'. 그의 제자들은 코펜하겐 학파를 이루어 확률론을 주장하는데… '막스 플랑크'교수에 의해 제창된 양자론은 빛의 파동적 성질과 입자적 성질이 함께 공존하고 있다는 이중성으로 이어지는 생각으로 발전되었다. 이 무렵에 덴마크의 코펜 ... ...
공학도는 현장을 익혀야 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국내 최초의 항공공학자로서 소련을 포함 12개국에서 50여년간 연구와 강의를 해 온 공기역학의 세계적 권위자. 그는 장면 전(前) 총리의 친동생이기도 하다.한국과학기술원을 처음 방문하는 사람은 목적지를 찾는데 조금은 당황하게 된다. 온갖 기자재로 가득찬 실험실들과 서로 다른 층을 연결 ... ...
이전
16
17
18
19
20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