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공학"(으)로 총 223건 검색되었습니다.
- 스트레스 해소법은 아스피린어린이과학동아 l20081031
- 탄소나노튜브로 붙이세요! [소제끝] 스파이더맨도 깜짝 놀랄 강력한 테이프가 개발되었다는 소식입니다. 미국 데이튼대학교 화학재료공학과 연구팀은 게코도마뱀이 발바닥 표면의 구조 때문에 벽에 매달려 있을 때는 미끄러지지 않고 걸음을 옮길 때만 쉽게 떨어진다는 걸 알아 냈어요. 도마뱀의 발바닥 표면에는 미세한 털이 촘촘히 박혀 있는데, 이 끝부분이 ...
- “와글와글~!” 시끄러워지는 바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1013
- 보이지 않는 세상을 과학으로 보고 얻은 사진들이죠. 바로 과학학술지 ‘사이언스’와 미국과학재단이 공개한 ‘2008 국제 과학과 공학 시각화대회’의 수상작들이랍니다. 무한한 상상력으로 과학 세상을 느껴 보세요! - 오징어 빨판-사진부문 가작(미국 드렉셀대학교) 미국 화살오징어의 다리 빨판을 전자현미경으로 찍은 것으로, 빨판의 지름은 0.4㎜ 정도 ...
- 멜라민어린이과학동아 l20081013
- 기기를 이용하는 것이 그 핵심! 그럼 검사 절차를 한 번 볼까요? {BIMG_R14}멜라민에 관한 글을 마치며 Y기자는 취재 때 만났던 식품공학과 교수님의 말씀을 떠올렸어요. “모든 물질은 그 자체로는 좋지도, 나쁘지도 않아요. 적절한 곳에 적절한 농도로 들어가면 좋은 물질이지만 반대가 되면 나쁜 물질이 되는 거랍니다.” 이처럼 쓰이기에 따라서 ...
- 제5회 바이오현미경사진전어린이과학동아 l20081013
- 이 작은 세상에도 다양한 생명이 살고 있습니다. 무서운 상어부터 귀여운 물고기와 다양한 식물들을 만나 보세요. 꽃봉오리 바이오공학상/일반부/이정희 꽃봉오리 다섯 개가 옹기종기 모여 있어요. 그 안에서는 어떤 예쁜 꽃이 필 때를 기다리고 있을까요? 집파리의 머리에 난 털에 꽃가루가 붙어 있는 모습이랍니다. 상어의 질주 입선/고등부/이유정 조스다 ...
- 한글의DNA를 찾아서(1)어린이과학동아 l20080930
- 있지. 본뜨고! 한글의 자음 ‘ㄱ, ㄴ, ㅁ, ㅅ, ㅇ’은 발음 기관에서 소리를 낼 때의 모양과 글자 모양이 닮게 상형의 원리로 만든 인체공학적인 글자야. 모음 ‘ · , -----,ㅣ’는 동양에서 우주의 세 가지 근원이라고 여긴 하늘, 땅, 인간(천지인)을 본떠서 만든 글자로 철학적인 사상까지 담아 냈단다. 더하고! 기본 자음에 체계적으로 획 ...
- 2020, 똑똑한 고속도로가 온다!(1)어린이과학동아 l20080910
- 차선이 많은 넓은 도로에서 더 많은 차가 다닐 수 있다. 하지만 하나의 차선 위를 달릴 수 있는 차량의 수는 정해져 있다. 교통공학자들에 따르면 한 차선에서 안전하게 달릴 수 있는 자동차의 수는 시간당 1800대. 자동차가 2초에 1대 꼴로 지나가는 속도로, 최소 이 정도는 되어야 운전자가 앞 차의 움직임을 파악하면서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다. ...
- 파리 잡기는 어려워~어린이과학동아 l20080910
- 이용해 바닷물을 증발시켜 민물로 바꾸고, 이 과정에서 차가운 바닷물이 뜨거운 공기를 식힌다는 원리지요. 이 계획을 세운 건축가와 공학자들은 사막의 온실 온도를 바깥보다 15℃나 낮게 유지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어요. 과연 이 계획이 실현될까요? 아니면 사막의 신기루처럼 상상에 그칠까요? [소제시작]미지근한 옐로우스톤? [소제끝] 미국에서 가장 ...
- 2020, 똑똑한 고속도로가 온다!(2)어린이과학동아 l20080910
- 하면 되는 줄 알았던 도로가 사실은 여러 공학자들의 연구로 만들어진 정교한 과학의 결정체라는 사실을 알겠지? 자동차공학, 도로공학에 정보과학까지, 여러 분야의 지식이 녹아 있는 것이 바로 도로야. 막힘 없이 빠르고 안전하게 도로를 달릴 수 있게 된 것도 지난 수십 년간 꾸준히 계속되어 온 연구들이 하나하나 결실을 맺었기 ...
- 아침잠 못 자면 ADHD 심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0612
- 액체 표면에서 작용하는 힘으로, 표면을 작게 만들려고 하기 때문에 물방울이 동그란 형태를 띠게 되지요. 그런데 최근,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제정호 교수와 원병묵 박사팀은 물에 X선을 쪼이면 표면장력이 줄어드는 현상을 알아 냈다고 발표했어요. 물에 X선을 쪼이면 물 분자에서 전자가 떨어져 나가면서 물 분자 사이의 수소결합이 영향을 받아 표면장력이 ...
- 백성을 하늘 삼고 과학으로 기틀 세운 대왕세종을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9
- 현우 군이 좋아하는 과학자는 누구인가요? 이현우 : 가장 존경하는 과학자는 역시 세종대왕이에요. 가장 좋아하는 과학자는 컴퓨터 공학자인 빌 게이츠고요. 제가 컴퓨터에 관심이 많고 컴퓨터 게임도 좋아하거든요. 누구나 컴퓨터를 쉽게 쓸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빌 게이츠는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해요. 남 기자 : 그럼 과학도 좋아하나요? 이현 ...
이전161718192021222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