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바퀴"(으)로 총 5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우리는 탐정부 학생입니다 #16포스팅 l20210916
- .. 아! 엄마&아빠 출장가셨지!" 그런데 이제 여기서 어떻게 빠져 나갈까 그리고 6시 30분 우리는 아까 둘로 나뉘어 길을 찾았지만 한바퀴를 돌고 다시 만날 뿐이었다배고프다 힘들다 졸리다 유란이 언니는 모든면중 체력도 있는것 같ㄷ...그 말 취소다.유란이 언니 도 말,표정만 안 힘들지 아무리 그래도 힘들겠지... 그리고 7시에 우린 다시 한자 ...
- 뭐?! 흰개미는 개미가 아니라고?!기사 l20210916
- 있다고 추정했답니다. 오늘은 흰개미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전 지금까지 흰개미는 이름부터 개미이니 개미인줄 알았지만 바퀴벌레과에 속한다는 것도 몰랐습니다. 여러분은 어떠셨나요? 느끼신 점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나가기 전에 댓글과 추천 부탁드려요! 이상 김윤성 기자였습니다 ... ...
- 흰개미,개미가 아니라고?그리고 흰개미가 곤충중에서 집을 가장 잘 짓는다고?기사 l20210916
- 일개미,병정개미,여왕개미-또 알(왕개미..?) 이렇게 반복합니다. 그런데 아까 말했듯이 흰개미는 믿겨지지 않게도 바퀴라는 거, 바퀴는 당연히 해충인데, 해충이 건축가이자 환경지킴이인 겁니다. 흰개미집이 위의 그림처럼 생겼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이 그림들은 다 제가 그린겁니다. 이상 윤지유 기자였습니다. 감사합 ...
- 더스파이더 - 210911 - 1탐사기록 l20210911
- 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동영상이 지원되지 않는 브라우저입니다.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하세요친구들과 찾았어요. 2번은 환경 영상입니다.(급하게 찍느라 초점도 그렇고 자전거 바퀴에 가렸네요......) ...
- 석촌호수 산책을 하고 와서기사 l20210907
- 불쌍했어요.또 진짜 새하얗고 부리가 진한 주황색이여서 놀랐어요.사진으로만 크게 나온줄 알았는데 커서 신기하기도 했어요. 반바퀴 정도 돌니 어떤 남성분이 토끼를 산책시키고 있었습니다. 판다같은 무늬가 있었고 순해서 만질수도 있어요.만지니 보들보들 했어요. (주인이 사진 찍는걸 허락하셨습니다) 근처에 걷다가 힘들어지면 근처에 여러 카폐가 있 ...
- 우리는 탐정부 학생입니다. #12포스팅 l20210901
- 빛이 보인다. 우린 앞으로 나아갔다. 나온곳은 바로...? "? 아까 그 민석이란 남자를 만난곳 거기 잖아?" "똑같은 곳을 오게 됬어..." "한바퀴를 돈건가?" 라는 등의 말이 나왔다 그런데... 민석이란 남자를 만난 곳에서 처음에 만난 검은 망토가 있었다. "엇! 검은 망토닷! 얘들아 따라가자!"채린이 말했다. 도진이 검은 망토의 팔에 ...
- '발명'이란?기사 l20210827
- 이 방법으로 성공한 발명품들이 참 많다죠. 예를 들자면 위처럼 지우개가 달린 연필, 숟가락 포크, 사무실에서 자주 쓰는 바퀴 달린 의자나 휠체어, 멀티 펜 등등... 이렇게 여러 발명품이 있습니다. 이것 말고도 분명 더 많은 발명품이 있겠죠. 2. 빼기 물건에 어느 부분을 빼서 더 편리하고 좋아지게 만드는 기법입니다 다들 ...
- 우리는 탐정부 학생입니다 #10 (벌써 10화?!?!?!)포스팅 l20210817
- 있던 돈은 비싼 옷 20개는 사고도 50000원이 남을 돈이라고." "뭐 그럴 수도 있지." "그런가..? 헤헤;;" (예은 시점) 우리는 마을을 한바퀴 돌려고 했다. 터벅터벅- "?..으..으악!!"세희언니와 나,규희,시울과 예준오빠가 말했다. 쾅!- "아..아야..으...... 아파라..."내가 말했다 "여긴 어디지?" 주 ...
- 특이한시계들을 알아보자!기사 l20210813
- 모두 빼서 만드니 매우 심플해졌습니다. 여기서 잠깐! 보통시계는 시곗바늘 뒤에 톱니바퀴가 있는데요. 하지만 이 시계는 투명해 톱니바퀴가 없습니다 그럼 어디 있을까요? 바로 시계의 테두리에 있는 톱니와 체인에 의해 돌아가는 구조입니다 또 밤에는 빛이 난다네요! 그럼 제 기사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1번사진:https://m.cafe ...
- 헥헥! 더운 여름에 시원하게 쐴 수 있는 선풍기의 역사와 원리를 알아보자!기사 l20210813
- 기계화되기 시작한 건 1800년대 초, 중동에서 사용된 ‘푼카’로 알려져 있으며, 1800년대 말에는 산업혁명을 기점으로 공장의 물레바퀴 전력으로 벨트를 움직여 바람을 일으키는 선풍기가 개발됬습니다. 지금처럼 전기를 이용한 선풍기는 1882년 에디슨이 만들었고, 제2차 세계대전을 전후해 보호망을 씌운 선풍기가 탄생했습니다. 우리나라에도 1960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