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족
세대
친척
일가
집
살붙이
가설
뉴스
"
가정
"(으)로 총 2,444건 검색되었습니다.
[육아하는 아빠 과학자]⑦ 남성 육아휴직은 직장 내 '선한 영향력' 시발점
동아사이언스
l
2024.06.20
선을 지키고 있고 휴직 기간에 가족에게 충실한 시간을 보냈다." Q. 요즘 자녀가 둘인
가정
이 많지 않은데 2명을 키우기 힘들진 않나. "둘은 하나랑 확실히 다르다는 말은 그전부터 들어왔다. 1 더하기 1은 2가 아니라 3이라고들 했는데 그걸 진짜 실감한다. 둘째가 태어나면 첫째가 유아퇴행을 ... ...
해조류 주 5번 먹으면 '갑상선암 위험' 58% 줄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6.19
가정
의학과 교수, 강상욱 연세암병원 갑상선내분비외과 교수, 권유진 용인세브란스병원
가정
의학과 교수, 이혜선 강남세브란스병원 의학통계학과 교수 연구팀이 해조류와 갑상선암 유병률 관계를 밝힌 논문을 국제학술지 ‘영양학’에 게재했다고 19일 밝혔다. 갑상선암은 목 앞쪽에 있는 기관인 ... ...
부모 4명 중 1명 "아이, 불안감에 못 자"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켜두거나 아이가 잠들 때까지 함께 머무는 특징을 보였다. 연구팀은 “대부분의
가정
은 아이들이 밤에 편안하게 잘 수 있도록 돕는 나름의 수면 의식을 갖고 있었다”며 “하지만 장기적인 관점에서 오히려 아이의 수면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는 전략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 ...
세포 에너지 공장 '미토콘드리아' 발열 원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전자가 만나 물을 생성하는 '산소 환원 반응'이 열을 일으키는 주요 과정일 것이라고
가정
했다. 산소의 양을 줄이고 전자의 전달 과정을 저해하자 발열을 감지하는 단백질의 양이 현저히 줄었다. 산소 환원 반응에서 나오는 에너지가 미토콘드리아 발열의 주된 원인이었던 것이다. 미토콘드리아에서 ... ...
기후변화 시대 원전 안전 위협하는 해양생물
동아사이언스
l
2024.06.17
"이론상 강수량이 최대치일 때 원전 내부 배수로가 막혀 배수가 불가능한 상황을
가정
하는 등 가장 보수적인 기준으로 안전 기준이 설정돼 있다"고 말했다. 내진 설계 기준도 까다롭다. 이세현 KINS 구조부지평가실장은 "강풍 또는 강풍에 날린 물체가 건물 외벽 등에 가할 수 있는 하중보다 내진 ... ...
마야 인신공양 희생자는 남자 어린이…"쌍둥이 신화와 연관"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친척 관계 어린이들이 놀라울 만큼 유사한 식생활 패턴을 보였다"며 "이는 이들이 같은
가정
또는 비슷한 환경에서 자랐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쌍둥이 영웅 신화와 관련된 의식을 위해 남자 어린이들이 짝을 지어 제물로 선택됐을 가능성이 높다고 추정했다. 쌍둥이는 마야 신화에서 ... ...
[육아하는 아빠 과학자]⑥ "장기 연구하려면 육아휴직 꼭 써봐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가족이 건강하고 행복하게 함께 사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했다. 육아휴직 후 일과
가정
의 균형을 찾을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Q. 시냅스뇌질환연구단의 첫 남성 육아휴직자였을 것 같다. "맞다. 연구단에 40~50명이 있는데 첫 남성 육아휴직자다. 다른 연구실과 마찬가지로 행정직 외에는 ... ...
초여름 더위에 냉방병 주의보…지속되면 '레지오넬라증' 의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냉방은 ‘냉방병’으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서민석 인천성모병원
가정
의학과 교수는 10일 “냉방병은 과도한 냉방에 따른 실내외 큰 온도 차에 우리 몸이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면서 발생한다”며 “누구나 쉽게 걸릴 수 있지만 적정 실내 온도를 유지하고 주기적으로 환기하면 ... ...
[푸드테크 뜬다]② "먹거리 수요 50년만에 두배…기존 방식으론 공멸"
동아사이언스
l
2024.06.07
영양사 역할을 하는 웰니스 솔루션을 만들 수 있다. AI가 만든 설계도를 바탕으로
가정
, 외식업체, 제조업체 등이 메뉴나 제품을 만들 수 있다. 개인 맞춤형 식단을 짤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 연구실은 서울대병원 환자 대상으로 설계한 플랫폼을 실증하고 있다. AI 기반 파이토슈티컬은 식물 유래 ... ...
[의학바이오게시판] 분당서울대병원, 퇴원환자 주거환경 개선 프로젝트 '집으로' 8번째 하우스 완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8호 하우스 공사를 완료했다고 3일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분당서울대병원 의료진이 직접
가정
을 방문해 환자의 상태를 고려한 주거환경 개선이 이뤄질 수 있도록 돕는다. 비용은 전액 분당서울대병원 환자돕기후원회 ‘스누비안나눔회’의 후원금으로 진행된다. 이번 8호 '집으로' 프로젝트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