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투고
투서
기부
출자
공헌
기여
칼럼
뉴스
"
기고
"(으)로 총 371건 검색되었습니다.
고생물학자들 "세계 최대 진주 공룡 발자국 화석지 현지 보존해야" 성명
동아사이언스
l
2019.08.21
보내 “수많은 세계적 고생물학자들이 연구를 위해 다녀가 저서에 소개하고 논문으로
기고
한 우수한 공룡발자국 산지”라며 “넓은 지역에 흩어져 있지 않으므로 보존하기 좋다. 세계유산 후보로 손색이 없을 것이며 한국 과학의 영구적 유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촌 화석산지를 발굴을 ... ...
"방사성 오염수 저장부지 없다는 日 주장은 거짓"
동아사이언스
l
2019.08.14
‘이코노미스트’에 ‘일본 방사성 오염수에 한국 노출 위험 커져’라는 제목의 글을
기고
해 문제를 제기한 바 있다. 2011년 동일본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일어난 뒤 고준위 방사성 오염수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원자로 3개 내 노심을 물로 식히는 과정에서 발생한 것이다. 또한 ... ...
달에 인간 보낸다는 시대에 '8÷2(2+2)는 얼마일까' 또 계산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19.08.04
지적했다. 스티븐 스트로가츠 미국 코넬대 응용수학과 교수는 이달 2일 뉴욕타임즈
기고
를 통해 이와 같은 계산 순서 논란에 대해 “사회를 구성하는 규칙이 있다는 것을 수학을 통해 배워야 한다”는 생각을 밝혔다. 이 계산식을 풀려면 우선 괄호 속 2+2를 먼저 풀어야 한다는 것은 틀림없다. 2+ ... ...
[특별
기고
]우주는 이미 삶 속으로 들어와 있다
2019.07.17
이주진 과학기술정책연구회장(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 이달 18일 한국에서 처음으로 국제적인 우주행사를 연다. 올해는 2019년은 인류역사상 최초로 미국의 아폴로 11호로 달 착륙에 성공한 지 50 주년이 되는 해이라 더욱이 의미있는 국제 행사가 될 것이다. 1957년 10월 4일 옛 소련이 인류역사상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숲을 늘려야 지구온난화 속도 늦춘다
2019.07.09
3억5000만 헥타르를 전부 농산림 복원으로 할 경우 탄소 70억 톤을 포획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고
자들은 각국이 되도록 자연숲으로 복원할 것을 제안했다. 그리고 가난한 나라의 경우 놓친 기회비용(목재용 조림이나 농산림을 못해서)을 국제사회가 지불하는 방안도 검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4 ... ...
美 NIH원장 “남초 학술대회 참석 안 해”
동아사이언스
l
2019.06.14
과학계 전반에 확산시키기 위한 노력을 선도한 것은 처음이 아니다. 2014년에는 네이처
기고
를 통해 NIH가 생명과학 실험을 할 때 암수 실험동물을 모두 포함시키거나, 세포를 쓰더라도 여성과 남성 양쪽으로부터 유래한 세포를 쓰도록 이끌 예정임을 밝혔다. NIH는 연구비를 지원할 때에도 이 점을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은 왜 어려운가
2019.05.30
합의가 깔려 있기 때문이다. 과학에는 그런 합의가 없다. 몇 년 전 나는 유력 일간지
기고
문에 ‘쿼크(quark)’라는 단어를 썼다가 데스크에서 ‘데스킹’ 당한 적이 있었다. 쿼크는 우리 우주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입자 중 하나로, 이 말이 나온 지가 반세기도 넘었다. 과학용어는 숟가락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지구온난화가 영구동토 붕괴 부른다
2019.05.28
환산했을 때 480억 톤이다. 메리트 투레츠키 등 저자들은 ‘네이처’ 5월 2일자에 실린
기고
문에서 “영구동토가 갑작스럽게 녹는 현상을 막을 수는 없다”면서도 “다만 언제 어디서 일어날지 예측하는 노력을 통해 거주하는 사람들과 자원을 보호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 ...
'작은 지진도 다시보자' 포항지진 조사단 새 지열발전 위해관리법 제시
동아사이언스
l
2019.05.24
주입에 따른 유발지진 위해 관리’라는 제목의 정책 특별
기고
(Policy Forum)를 발표했다.
기고
에서 조사연구단은 “포항 지진은 유발지진 발생과 관련한 기존의 경험 가설이 틀렸음을 말해주는 증거”라고 주장했다. 동아일보DB 이 단장은 “기존에는 발생할 수 있는 유발지진의 규모가 땅속에 ... ...
죽은 지 4시간, 뇌세포가 다시 움직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8
장기 수급에도 영향이 미칠 가능성을 제기했다. 현 교수는 같은 날 네이처에 발표한
기고
문에서 “대부분의 나라가 뇌 기능이 되돌릴 수 없을 정도로 상실된 경우나 순환기가 되돌릴 수 없을 정도로 상실된 경우 법적으로 죽음을 선고한다”며 “수십 년 동안 환자들은 뇌사 선고 환자로부터 장기를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