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융기
도상체
돌출부
돌출
가장자리
장식돌기
회전
뉴스
"
돌기
"(으)로 총 415건 검색되었습니다.
가장 앞선 코로나19 英·中 백신 후보 2상까지 안전성·항체 형성 확인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1
단백질은 사스코로나바이러스-2가 인체 세포에 감염될 때 핵심 역할을 하는 독특한
돌기
단백질이다. 때문에 인체 면역 체계가 이 단백질을 인식해 공격하는 항체를 만들 경우 바이러스에 대한 예방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ChAdOx1은 체내에서 이 단백질의 일부 조각을 생산해 ... ...
[표지로 읽는 과학]나이를 먹으며 바뀌는 뇌 시냅스의 복잡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7.19
변화하는 쥐의 뇌의 시냅스 모습을 17일 표지로 실었다. 시냅스는 신경세포의 신경
돌기
끝이 다른 신경세포와 접합하는 부위다. 시냅스를 통해 한 신경세포의 흥분을 다음 신경 세포로 전달한다. 시냅스는 신경세포 간 소통창구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표지 상단에 있는 그림이 생후 하루가 ... ...
어린이 코로나19 중증 적은 이유는…폐 생리·면역기능 차이
연합뉴스
l
2020.07.10
9 바이러스가 침투하는 경로인 ACE2가 적다는 점을 들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표면
돌기
단백질(spike protein)이 폐 세포 표면의 ACE2와 결합하면서 침투한다. 그런데 어린이들은 ACE2가 어른들보다 적어 바이러스 침투가 어렵다는 것이다. 연구를 이끈 매튜 하팅 박사는 "ACE2는 바이러스 침투에 매우 ... ...
면역의 최전선 역할부터 치매·암 해결 실마리까지…림프관의 재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0.07.10
눈의 림프관도 새롭게 연구되면서 주목받고 있다. 소화와 흡수를 담당하는 소장의 내부
돌기
인 ‘융모’에는 암죽관이라는 림프관이 많다. 지방과 지용성 비타민, 약의 흡수를 담당하며 기생충이나 병원체 등과 대항하기 위해 면역세포를 출동시키는 몸속 경찰서 역할을 한다. 장내 미생물과의 ... ...
코로나19 변이로 전파력 정말 높아졌나…전문가들 "감염력 높아져도 사람간 전파력 증가는 미지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2만3402~2만3404번 염기에 발생한 변이다. 바이러스의 세포 내 침입 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돌기
단백질 ‘스파이크’의 614번 아미노산을 아스파트산(D)에서 글리신(G)로 바꿨다. 이 변이는 이미 1~2월 등장한 것으로 보이며, 3월 이후 유럽과 미국에서 급격히 증가해 현재는 중국과 한국 등 아시아 일부를 ... ...
"코로나19 감염력 더 강해진다" vs "근거 없다" …'변이' 논란 오리무중
동아사이언스
l
2020.07.03
2가 인체 세포에 침입하기 위한 ‘관문’ 단백질이다. 바이러스 표면에
돌기
처럼 돋아나 있으며, 인체세포 표면의 단백질인 ‘안지오텐신전환효소2(ACE2)’를 인식해 세포 침입을 시작한다. 스파이크 단백질은 ACE2 인식 직후 인체세포의 또다른 표면 단백질인 세린단백질가수분해효소 ‘TMPRSS2’를 ... ...
"코로나19 감염되지 않은 일부 환자도 면역력 가져"
동아사이언스
l
2020.06.29
면역세포가 알아차리게 하는 역할을 한다. 코로나바이러스가 세포에 침투할 때 쓰는
돌기
(S)단백질이 대표적이다. 실험 결과 환자들은 모두 코로나19에 대응하는 면역세포를 빠르게 만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10명 모두에게서는 다른 면역세포의 기능을 돕는 ‘도움 T세포’가 존재했다. 10명 중 ... ...
생각보다 심각한 편두통, 효과적인 치료 가능해질까
연합뉴스
l
2020.06.26
그 결과, 성상교세포 글루타민산염이 대상엽에 잘 흡수되지 못하면서 피질 수상
돌기
의 활성도가 높아지고 연쇄적으로 뉴런도 과도히 흥분하게 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한다. 이렇게 대상엽이 제 기능을 못 하면 편두통이 생길 가능성도 높아진다는 게 생쥐 실험에서 확인됐다. 반대로 대상엽의 ... ...
[인터뷰] 코로나19 변종 초강력 전염성 첫 연구한 재미 최혜련 교수
연합뉴스
l
2020.06.16
단백질'을 변이 바이러스가 4~5배 가량 더 많이 갖고 있다. 세번째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돌기
구조가 변이 전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비해 3~4배가량 세포 침투를 더 잘할 수 있게 돼 있다는 점이다. -- 이 돌연변이로 인해 감염된 환자의 비중이 얼마나 되나. ▲ 미국과 유럽 자료를 보면 2월에는 D61 ... ...
재사용로켓과 소형로켓 상징하는 두 우주기업 4시간 간격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0.06.14
저렴하고 빠른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고도 1000km 이하에서 지구를
돌기
때문에 정지궤도(3만6000km) 위성보다 지구와의 거리가 가깝고 지연속도도 짧아진다. 대용량 데이터나 동영상을 안정적으로 전송할 수 있는 것이다. 값비싼 광섬유를 이용하는 유선 인터넷망 대신 위성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