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꿀돼지
꿀꿀돼지
도야지
돼야지
돼지주둥이
주둥이
주두리
뉴스
"
돼지
"(으)로 총 679건 검색되었습니다.
따개비 모방해 15초 만에 굳는 생체 지혈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8.11
확인했다. 연구에 참여한 미국 메이요 클리닉 의료진은 인체 장기와 크기가 비슷한
돼지
를 이용한 실험에서 지혈제가 다양한 장기와 혈관 등 여러 부위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혈액 응고 장애가 있는 경우에도 15초 이내에 지혈에 성공했다. 또 지혈제로 역할을 다 한 뒤에는 ... ...
넘치는 음식물 쓰레기 석탄 대체 연료가 되다
과학동아
l
2021.07.31
선임연구위원은 “음식물 쓰레기로 만든 사료가 최근 조류인플루엔자(AI)나 아프리카
돼지
열병(ASF)을 전파하는 매개원으로 알려지면서 2019년부터 사료로 재활용할 수 없게 됐다”며 “현재 사료 생산시설마다 음식물 쓰레기가 적체된 상황”이라고 말했다. 퇴비로 재활용하기도 쉽지 않다. 음식물 속 ... ...
[올림픽의 과학]인간은 왜 치타보다 빠를 수 없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7.28
질주할 수 있어 볼트보다 2배 이상 빠르다. 영양도 시속 90km 이상으로 달릴 수 있다. 멧
돼지
와 토끼도 최대 시속 60km 수준으로 달려 인간보다 훨씬 빠르다. 스포츠 과학자들은 인간이 과연 얼마나 빨리 달릴 수 있고 네발 동물보다 빨리 달리지 못하는 이유를 탐색해왔다. 최근 두 발로 달리는 ... ...
유전자 조작으로 만들었나? 거대한 분홍색 소 ‘포착’
팝뉴스
l
2021.07.21
‘옥자’를 떠올린다. 영화 ‘옥자’에는 유전자 조작을 통해 만들어진 거대한 덩치의
돼지
가 등장한다. 분홍색 소도 옥자를 닮았다는 평을 많이 듣는다. 실제 존재하는 소일까. 아니면 이미지 조작의 결과물일까. 해외 네티즌들의 갑론을박이 멈추지 않는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 ...
청해부대 코로나19 음식물 통해 퍼졌다?…가능성 매우 낮아
동아사이언스
l
2021.07.21
BioRxiv)’에 약 4도에서 냉장 보관 또는 영하 20도에서 냉동 보관됐던 닭과 연어,
돼지
고기에서 코로나19 바이러스가 21일 이상 살아남았다는 연구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 식품이 바이러스에 오염될 수 있으며 운송과 보관 과정 동안 살아남아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아직까지 ... ...
회오리 배꼽을 본 적이 있나요?
팝뉴스
l
2021.07.14
한 네티즌이 자신의 특이한 모양의 배꼽 사진을 공개해서 큰 화제가 되었다. 배꼽은
돼지
꼬리를 연상시킨다. 또 회오리 배꼽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일부 해외 네티즌들은 아주 특별한 모양의 배꼽을 갖게 된 걸 축하한다고 말했지만, 본인은 자랑스러운 모양은 아니라고 자평했다. ※ ... ...
희귀 신경질환 부작용 발목 잡힌 얀센 백신…미 보건당국 백신 불신 불똥 튈라 걱정
동아사이언스
l
2021.07.13
에 불과한 약 1280만명이 얀센 백신을 맞은 것으로 집계됐다. 길랭바레 증후군은 1976년
돼지
독감 백신과 기타 독감 백신을 비롯한 다른 백신에서도 발병하고 있다. FDA는 지난 3월 글락소스미스클라인(GSK)의 대상포진 백신인 싱그릭스도 이 질병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일부 ... ...
돼지
장기 유래 의약품 개발 지원…식약처, 협의체 구성
연합뉴스
l
2021.06.28
주목받고 있다. 사람 장기 크기와 비슷하고 사육 기간이 짧으며 대량생산이 가능한
돼지
를 주로 사용한다. 이번 협의체와 자문단은 세계적으로 아직 이종이식 제제 제품화 사례가 없어 개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국내 개발 업체에 도움을 주기 위해 마련됐다. 식약처는 분기마다 협의체 회의를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방부제·살균제·보존제·항생제를 구분하자
2021.06.23
성분이 발견됐다고 한다. 넴츄아는 바나나 잎으로 싸가지고 다니면서 먹는 전통
돼지
고기 음식이다. 오스트레일리아 연구진이 찾아낸 천연 방부제는 사실 넴츄아에 들어있는 유산균(Lactiplantibacilus plantarum)이 만들어내는 ‘플란타사이클린 B21AG’라는 항균성 단백질인 박테리오신(bacteriocin)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장이 제2의 폐가 될 수 있을까
2021.05.25
직장에서도 일어난다는 말이다. 논문에 소개된 실험은 여기까지이지만 연구자들은
돼지
결과를 보건대 사람에서도 장호흡이 효과적으로 일어나고 별다른 부작용도 없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내가 보기에도 그럴 것 같다. 10여 년 전 기존 항생제가 듣지 않는 세균 클로스트리디움 디피실이 장내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