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오리지날
원시
최초
고유
자체
정통
원조
뉴스
"
본래
"(으)로 총 423건 검색되었습니다.
탐사선 ‘주노’가 알려준 목성의 천체물리학
동아사이언스
l
2018.03.11
곳은 복사열이 낮고 (밝은 부분), 구름 두께가 두터운 곳은 온도가 높다 (어두운 부분).
본래
목성의 자전 운동에 의해 각 소용돌이는 하나로 합쳐졌어야 하지만 알 수 없는 이유로 나눠져 있다. 자전 운동 성향이 고체 행성과 유사하다는 사실도 새롭게 밝혀졌다. 목성은 지구나 화성같은 암석형 ... ...
아이언맨처럼 홀로그램 만지고 대화하는 세상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8.03.09
홀로그램과 현재 우리가 공연이나 제품등에 붙이는 홀로그램은 전혀 다른 기술이다.
본래
홀로그램은 홀로그래피 기술로 만든 재생 가능한 기록 영상을 뜻한다. 여기서 홀로그래피는 빛이 가진 세기와 파동적 특징인 위상 등 두 가지 정보 전체를 뜻하는 ‘홀로(Holo)’와 기록한다는 의미의 ... ...
[출동! 기자단] 과학으로 지켜라, 미륵사지 석탑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3.01
없어요.” 동탑은 1991년부터 3년만에 급하게 복원하느라 새 돌이 많이 사용됐어요.
본래
부터 있던 화강암은 35개밖에 없답니다. 나머지는 새 화강암 2000여 개로 복원했지요. 이 때문에 명지대학교 유홍준 교수는 “20세기 한국 문화재 복원 최악의 사례로 기록될 것”이라고 평가하기도 했답니다. ... ...
읽는 책에서 듣는 책으로, 오디오북 시대
2018.02.19
말과 그 문맥을 이해하는 기술을 갖고 있다. 그렇게 음성에서 텍스트로 변환된 데이터는
본래
텍스트 원고와 비교해 해당 위치를 찾는 데 활용한다. 지극히 구글다운 활용 방법이다. 이를 위해 출판사가 별도로 해야 하는 작업은 없다. 책을 내는 쪽에서는 구글에 유통한 오디오 파일과 원고를 ... ...
영화 다운사이징처럼 내 키가 12.7cm라면?
과학동아
l
2018.02.09
만약 인간을 제외한 모든 대상의 크기는 유지된 채 인간만 줄어든다면 어떻게 될까.
본래
엔트로피를 낮게 유지하던 사람의 부피가 줄어든다면, 사람이 필요로 하는 에너지와 이에 따른 신진대사의 양도 함께 줄어든다. 마지막 잔치를 벌이는 최초의 소인국 사람들. 보드카한 병이면 소인국의 ... ...
손바닥 만한 기계로 게놈 해독하는 나노포어 기술, 한 번에 더 긴 가닥 읽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2.09
있다. 가장 대표적인 방법은 DNA를 100~150쌍 정도 단위로 조각내서 읽은 뒤 다시 이어
본래
염기 서열을 확인하는 쇼트 리드(short read) 방식이다. 유전체 해독 기술 기업 일루미나가 ‘노바식 6000’ 같은 기기를 내세워 이 분야를 선도하고 있다. 쇼트 리드 방식은 중복 서열을 제대로 판별하기 ... ...
혈당 재는 ‘소프트 콘택트 렌즈’
동아사이언스
l
2018.01.25
있는 전극 소재를 이용해 회로를 구성했다. 덕분에 구부러져도 전자회로가 손상 없이
본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었다. 또 눈물 외에 다른 물질에 노출돼도 성능 저하가 없었다. 두께도 일반적인 소프트 렌즈 두께인 500μm(마이크로미터·1μm는 100만분의 1m) 정도 수준이다. 이 렌즈는 전기로 ... ...
함부로 버린 약, 하천 미생물 내성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2
들 수 있다. 먹다 남은 항생제를 비롯한 폐약물 및 유통기한이 지난 연고 같은 폐약품은
본래
지정된 ‘폐의약품 수거함’에 분리배출해야 한다. 이에 환경부에서는 2008년부터 약국과 보건소 등에 폐의약품 수거함을 설치해 회수하는 사업을 시행 중이다. 하지만 모든 약국에 폐의약품 수거함이 ... ...
손짓으로 기계 조종할 수 있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1.22
크게 불편함을 느끼지 않는다. 데니스 마카로프 HZDR 연구원은 “구부러지거나 접혀도
본래
기능을 잃지 않기 때문에 다양한 부위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사람의 몸짓으로 기계를 조작하려는 시도는 다양하게 있었다. 카메라로 동작을 인식하는 기술이 일반적이다. 스마트폰으로 ... ...
담요만 덮어도 도울 수 있어요! 야생동물 크라우드 펀딩 화제
동아사이언스
l
2018.01.17
없잖아요?” 각 굿즈와 기획 의도에 맞춰 그림체도 변화를 줬다. 엽서는 작가의
본래
스타일처럼 사실적이고 대담하게 그렸다. 소책자 ‘함께 살아가는 야생동물’은 야생동물 구조센터의 역할과 야생동물에 대해 알리는 안내 책자인 만큼 따뜻한 색채를 써 친절한 느낌으로 그렸다. 담요는 아예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