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두뇌
머릿골
머리
brain
braine
뉴스
"
브레인
"(으)로 총 218건 검색되었습니다.
청양고추 매운 맛이 파킨슨병 치료제?
2015.11.08
경희대 제공 국내연구진이 고추의 매운맛을 내는 캡사이신이 파킨슨병 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 외과 수술 없이도 파킨슨병을 치료할 수 있 ... 전략의 단초를 마련한 것”이라고 밝혔다. 연구결과는 신경과학분야 권위지 ‘
브레인
(Brain)’ 10월 21일 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 ...
D-14, 인공지능이 수능 대신 치러 준다면…
과학동아
l
2015.10.30
우승, 2020년에는 실제 업무 투입이 목표”라며 “의사의 약 처방을 돕는 ‘닥터 엑소
브레인
’은 내년에 시범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수능 로봇의 수학 문제 풀이 과정을 포함한 자세한 내용은 ‘과학동아’ 11월호에서 확인할 수 있다. ... ...
오영호 회장 “
브레인
게인(Brain Gain) 정책 추진해야”
2015.10.13
위원장(전 삼성전자 부회장) 등이 회장을 지냈다. 이날 오 회장은
브레인
게인 정책을 포함해 공학한림원이 6개월간 ‘공학혁신 태스크포스(TF)’를 꾸려 마련한 산업혁신 4대 전략을 처음으로 공개했다. 공학한림원 측은 독일 ‘인더스트리 4.0’ 등 산업 선진국들이 전통적인 제조업에 ... ...
뇌파 인정 않던 뇌과학자가 뇌파로 브라질 시축 성공시킨 이유
2015.07.26
교수가 최근 ‘뇌를 바꾼 공학 공학을 바꾼 뇌’을 출간했다. 당시 과학동아에서 ‘
브레인
머신’은 2페이지 분량의 코너로, 임 교수는 에디팅을 맡은 기자에게 항상 허용된 지면보다 더 많은 분량의 원고를 보내왔다. 이 책에서는 넉넉하지 못한 지면 때문에 기자가 안타까운 마음으로 쳐낸 ... ...
‘바이오해커’를 아십니까
2015.07.19
0억 달러(약 3조4386억 원)를 뇌공학 연구에 투자하겠다고 발표했다. 유럽연합(EU)이 ‘휴먼
브레인
프로젝트(Human Brain Project)’라고 불리는 뇌 연구 프로젝트에 10년간 10억 유로(약 1조2486억 원)를 투자하기로 발표한지 정확히 9개월 만의 일이다. 1960년대와 1970년대 미국과 구소련이 우주개발 경쟁에 ... ...
뇌 3개 연결해 뇌 하나처럼 쓴다
2015.07.10
곧 임상시험에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임창환 한양대 생체공학부 교수는 “
브레인
넷을 통해 장애인과 정상인의 뇌를 연결하면 신경재활 훈련 효과를 극대화하는 데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며 “자폐증처럼 소통에 장애가 있는 환자를 치료하는 데도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탄수화물은 뇌에 정말 나쁠까요?
2015.05.31
흡수하면 부정적인 생각을 대체할 수 있다고 말한다. 지식너머 제공 ■ 그레인
브레인
(데이비드 펄머터 著, 지식너머 刊) 뇌에 대한 책이 한권 더 나왔다. 이 책은 제목처럼 곡물(grain)과 뇌(brain)에 대한 얘기다. 저자는 신경과 의사로 탄수화물 섭취가 뇌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한다.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무생물이 같은 동작을 할 때는 꺼져있었다. 리촐라티 박사는 신경과학분야 저널인 ‘
브레인
’에 이 결과를 실으며 이 뉴런을 ‘거울 뉴런’이라고 불렀다. 타인의 행동을 ‘비춰주는’ 신경세포이기 때문이다. 흥미롭게도 원숭이의 거울뉴런이 위치하는 자리는 사람에서 언어에 관여하는 브로카 ... ...
영화 ‘메이즈 러너’처럼 기억 지울 수 있을까
2014.10.10
셈이다. 정용 KAIST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최근 뇌 기억을 지우거나 바꾸는 ‘
브레인
모듈레이션(Brain Modulation)’ 연구가 활발하다”면서 “이를 이용하면 외상후스트레스장애 환자를 위한 새로운 치료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억 비밀 풀려면 ‘신경세포 지도’ ... ...
신약계의 ‘코펜하겐 학파’ 꿈꾼다
과학동아
l
2014.06.17
정통해석으로 인정되고 있다. 이 상무는 “양자역학 초기 때처럼 각 기관의
브레인
역할을 하는 사람들은 새로운 아이디어와 최신 트렌드에 목말라 하지만 네트워크는 부족한 실정”이라며 “생명과학 분야에서 국내 연구진들은 같은 과 동기나 동문끼리 끈끈하게 이어져 있지만 다루는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