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쇠사슬
철쇄
밧줄
뉴스
"
사슬
"(으)로 총 386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 단층분포 지도에 '과거지진' 발생위치 정보 붙여봤더니…
2021.01.06
원장은 “비대면 시대에 데이터와 정보는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으로 연결되는 가치
사슬
의 핵심요소”라며 “국가와 국민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양질의 지질자원 데이터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
혈액세포 만드는 '조혈모세포' 핵심 유전자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유전자의 발현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는 단백질인 ‘히스톤’이 뭉치는 일을 막고 긴 DNA
사슬
이 엉키지 않도록 조절하는 단백질이다. DNA는 긴 실과 같은 모양이라 엉기기 쉬운데, 히스톤 단백질이 중간중간 마치 실을 감은 실패처럼 작용해 DNA의 엉김을 방지한다. 세포는 필요한 때에만 실패(히스톤 ... ...
[대학의 과거와 미래]⑤플랫폼과 네트워크 관점에서 대학의 역할
2020.10.27
허용되는 세계 여러 대학들에서 그 사례를 찾을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한 수직적 가치
사슬
이 수평적 네트워크 구조로 바뀐다는 주장은 MOOC가 수직적 구조의 대학 교육을 수평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는 노스이스턴대의 조셉 아운 총장의 예측과 궤를 같이 한다. 한 명의 유능한 교사가 수천 명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몸 차갑게 하고 덜 먹어야 오래 산다
2020.10.20
부족해 이들 아미노산을 재료로 당을 만드는 반응이 더 활발히 일어났기 때문이다. 곁
사슬
아미노산(BCAA)에 속하는 몇몇 아미노산의 섭취를 줄이면 노화가 지연되고 수명이 늘어난다. 당합성으로 체내 아미노산이 농도가 떨어진 게 섭취를 줄인 것과 비슷한 효과를 내는 것으로 보인다. 시상하부의 ... ...
[사이언스N사피엔스]인간은 특별하지 않다
2020.10.15
진화론보다 중세까지 유행했던 존재의 큰
사슬
에 더 가깝다. 즉, 모든 생물이 하나의 큰
사슬
속에 각자의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여기에 진화의 개념을 적용하면 하등생물이 진화해서 고등생물이 되고, 그 정점에 인간이 있다는 식이다. 이는 다윈의 진화론과 전혀 상관없는 이야기들이다. 다윈의 ... ...
코로나19 사태 10개월...과학이 밝힌 모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10.14
MERS, 메르스)과는 50% 비슷했다. 게놈의 구조는 비슷했다. 두 종류의 긴 단백질
사슬
을 만들어내는 ‘오픈리딩프레임(ORF)1a/b’ 유전자가 맨 앞에 자리하고, 이어 표면 돌기 단백질로 바이러스의 인체 침투를 개시하는 역할을 하는 스파이크 단백질, 바이러스 표면 단백질 중 하나인 E 단백질, 막 단백질 ... ...
[프리미엄 리포트]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사중나선
2020.10.09
라고 부른다. B-DNA는 두 가닥의
사슬
이 반시계방향(오른손 감기)으로 꼬인 나선형으로, 각
사슬
에 존재하는 염기들이 수소결합으로 염기쌍을 만들어 안정된 구조를 이룬다. 아데닌(Adenine)과 티민(Thymine), 구아닌(Guanine)과 사이토신(Cytosine)이 각각 왓슨-크릭 염기쌍을 만든다. 하지만 살아있는 세포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다윈의 항해
2020.10.01
사슬
을 빈칸 없이 채우고 있다.
사슬
의 각 단계별로는 전환이나 이동이 없다. 존재의 큰
사슬
이 중세의 종교와 궁합이 잘 맞는다. 인간 위에 천사가 있고 그 위에 신이 있으면 완벽하다. 근대적인 생물분류법을 제시한 사람은 스웨덴의 칼 폰 린네(1707~1778)였다. 린네는 1735년에 출간한 《자연의 ... ...
식품첨가제로 만드는 태양전지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8
사실을 확인했다. 배향은 고분자로 이뤄진 고체물질 속에서 미세 결정이나 고분자
사슬
이 일정 방향으로 배열되는 현상을 말한다. 연구팀이 개발한 고분자 물질은 태양전지에 적합한 배향뿐만 아니라 전하 이동에 방해가 되는 결정 표면이 없고 열에 의한 결정화가 일어나지 않아 고온에서도 ... ...
4억년전 바다의 제왕 '판피어류' 대전서 만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둔클레오스테우스 턱의 구조와 힘을 보면 둔클레오스테우스가 왜 데본기 먹이
사슬
의 최상위 포식자인지를 알 수 있다”라며 “현재 주목받지 못하거나 잘 알려지지 않은 고생물학 분야를 지속적으로 연구해 지질과학의 신비로움과 재미를 알리겠다”고 말했다. 지자연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