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밀도
치밀
뉴스
"
세밀도
"(으)로 총 359건 검색되었습니다.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의사 니즈에 맞는 기술 개발해야”(끝)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김영수 대한의료로봇학회 명예이사장(한양대병원 신경외과 교수). 보건복지부는 최근 의료기기에 대한 신의료기술평가와 보험등재심사 절차를 단축해 전체적으로 걸리는 시간을 줄이겠다고 발표했다. 새로 개발된 의료기술의 치료 효과와 부작용에 대한 평가와, 의료기기를 사용할 때 보험을 얼 ... ...
금속 유기체에 수소, 이산화탄소 저장 과정 관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6.09
연구를 주도한 강정구 KAIST 교수. KAIST 제공. 환경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를 저장 및 처리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수소를 에너지로 활용하기 위해서는 대량의 수소 분자를 효율적으로 저장할 수 있는 접근전략이 요구된다. 보통 금속유기골격체가 갖고 있는 기공을 통한 ... ...
‘따뜻한 아이스 커피’ 가능할까…상온서 얼음 만드는 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05.30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연구팀이 자체 개발한 기술로 급속도로 압력을 높여 상온의 얼음을 만드는 모습을 촬영했다. 100밀리초(1밀리초는 1000분의 1초) 지날 무렵에 이미 3차원의 팔면체가 형성돼 있다. 하지만 이보다 더 급속도로 압력을 높이면 입체가 아니라 평명 형태의 다른 결정 구조를 형성한다 ... ...
케플러망원경 지구만 한 외계행성 18개 추가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05.27
독일 막스플랑크 태양계연구소(MPS)와 괴팅겐대, 존네베르크 천문대 연구팀과 함께 케플러 우주망원경이 관측했던 자료를 자체 개발한 알고리즘으로 분석해 지구급 외계행성 18개를 새로 찾아냈다. 그림은 연구팀이 찾아낸 외계행성들과 지구, 해왕성의 크기 비교. 이 가운데 하나만이 항성과의 거 ... ...
ETRI, 고화질 홀로그램 가능성 열다…‘픽셀’ 수직으로 쌓는 발상 전환
동아사이언스
l
2019.05.23
ETRI가 새롭게 개발한 픽셀과 컬러 홀로그램 패널을 이용해 홀로그램을 만들었다. ETRI 제공 2차원 정보를 바탕으로 3차원 영상을 만드는 ‘홀로그램’의 시야각을 넓힐 수 있는 고해상도 픽셀(화소, 화면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 기술을 국내 연구팀이 개발했다. 기존보다 작은 크기로 선명한 영상을 ... ...
공포치료·시공간 정보처리 과정 밝힌 신경공학, 뇌 연구 혁신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0
이진형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가 20일 서울 KIST에서 개최된 국제신경공학컨퍼런스에서 최신 신경공학 기술을 소개하고 있다. 윤신영 기자 “뇌를 측정하고 자극을 가하는 신경공학은 인지 및 사회성 연구 등 뇌과학 발전에 정말 중요합니다. 신경공학의 발달이 뇌과학 발달과 궤를 같이 한다고 볼 수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⑥ 진화하는 인공관절 수술봇
동아사이언스
l
2019.05.14
국희균 원장(오른쪽)의 집도해 로보닥으로 인공관절 수술을 하고 있다. 로보닥은 밀링커터를 이용해 임플란트와 꼭 맞는 모양대로 뼈를 깎을 수 있다. 뼈를 자르는 부분과 출혈을 최소화해 수술 성공률을 높이고 합병증과 부작용을 줄일 수 있다. 사랑플러스병원 제공 '위잉위잉' 돌아가는 밀링커터 ... ...
日무인탐사선 하야부사, 소행성에서 물 가져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02
일본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가 탐사한 소행성 이토카와의 모습이다. 일본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제공 일본 소행성 탐사선 하야부사 1호가 가져온 소행성 미립자에서 물이 처음으로 발견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는 초기 지구에 소행성의 부딪히면서 현재 지구 물의 최대 절반까지 전달될 ... ...
개기월식 때 번쩍인 섬광 정체는 마하50 속도로 내리꽂힌 운석
동아사이언스
l
2019.05.01
지난 1월 21일 발생한 개기월식 도중 순간 번쩍이는 섬광의 모습이다. 호세 마리에 메리에도 제공 지난 1월 일어난 개기월식을 관찰하던 사람들은 달에서 번쩍이는 섬광을 목격했다. 당시 깜깜해진 달에서 순간 번쩍인 것은 바로 마하 50의 속도로 표면에 부딪힌 운석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호 ... ...
[강석기의 과학카페]소로가 사랑한 월든 호수 모습을 바꾼 지구온난화
2019.04.30
미국 매사추세츠주 콩코드에 있는 월든 호수의 전경이다. 둘레가 2.7km로 그리 크지 않은 호수이지만 헨리 데이비드 소로 덕분에 지역 명소가 됐다. 위키피디아 어떤 꽃은 오늘처럼 따뜻하다면 내일 필 테지만 날씨가 추우면 일주일 이상 멈출 것이다. 봄은 그렇게 앞으로 갔다가 물러나기를 반복한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