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기체
가스
스팀
김
습기
물기
뉴스
"
수증기
"(으)로 총 415건 검색되었습니다.
명왕성 산 정상 하얗게 덮은 얼음 지구 관설과 전혀 달라
연합뉴스
l
2020.10.14
많지 않아 얼음이 형성되지 않았다. 이는 지구에서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이 내려가
수증기
를 머금은 바람이 산기슭을 타고 올라가면서 냉각되고 응축돼 구름을 만들고 산 정상에 관설을 형성하는 것과는 전혀 다른 과정이다. 연구팀은 명왕성 산 정상의 메탄 얼음 형성 과정이 크레이터 ... ...
[프리미엄 리포트]'맨해튼 프로젝트' 현장에 가다
2020.09.26
끊을 때 필요한 에너지입니다. 예를 들어, 얼음을 이루는 물 입자 사이의 결합을 끊으면
수증기
가 됩니다. 이때 필요한 에너지가 ‘결합에너지’지요. 마찬가지로 쿼크들이 결합해 양성자나 중성자를 만들 때, 양성자와 중성자들이 결합해 핵을 만들 때 결합에너지와 비슷한 에너지를 내뿜거나 ... ...
초음파로 원하는 종양만 콕 집어 죽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4
또 초음파에 의해 생긴 1차
수증기
기포가 초음파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했다. 그 결과 1차
수증기
기포가 집속 초음파와 간섭을 일으켜 2차 기포가 발생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박기주 선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집속 초음파로 종양 조직을 파괴할 때 미세기포들이 순차적으로 생성된다는 ... ...
토성 달 '엔켈라두스' 북반구에도 바닷물로 형성 새 얼음 흔적
연합뉴스
l
2020.09.21
진입한 이듬해인 지난 2005년에 이미 이곳의 얼음층 밑에 바다가 존재하며 얼음 알갱이와
수증기
를 내뿜으며 거대한 기둥을 형성한다는 것을 발견한 바 있다. 연구팀은 여기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남극 주변에서 확인된 일부 적외선 특징을 북반구에서도 포착했다. 이는 북반구도 새로 형성된 ... ...
올해 잦은 대형 태풍, 태평양 수온 상승이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대기로 이동하면서 생긴다. 바다 표면 온도가 26도 이상이면 대기가 바다로부터 따뜻한
수증기
를 공급받아 열대 저기압을 만든다. 이 상태가 계속되면 태풍이 발생한다. 태풍은 고위도로 이동하면서 고수온 물이 많은 따뜻한 소용돌이를 만나거나 난류인 쿠로시오 해류를 통과하면서 급격히 ... ...
"긴 장마, 기후변화 탓만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1
유입됐는데 시베리아 동쪽에 고기압이 발달하면서 건조한 북동풍을 불어 한반도 상공에
수증기
가 갇히면서 지속적으로 비를 내린 것”이라며 “여기에 대기 높은 곳에 평소보다 강한 서풍(제트류)이 불면서 7월 상공에 기압골이 발달하고 소규모 저기압 요란(폭풍)이 많이 발생하면서 강력한 호우가 ... ...
10호 태풍 ‘하이선’ 따뜻한 바닷물서 힘 키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04
수증기
를 만나 세력이 더 강해지는 것이다. 다만 북상하던 태풍이 육지를 만나면 더 이상
수증기
를 비롯한 에너지를 키우기 어려워 세력이 약해지는 게 일반적이다. 하이선의 경우 한반도 오른쪽에 자리잡은 북태평양 고기압이 변수가 될 전망이다. 기상청은 “북태평양 고기압이 확장하면 하이선은 ... ...
[IBS 과학리포트] 강력했던 2020년 장마는 과연 지구온난화가 주요 원인일까
2020.08.26
또한 아열대 지역이 확장될 것으로 전망된다. 지구온난화의 열역학적 효과(즉, 대기
수증기
증가)에 더해, 아열대의 북쪽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는 한반도는 지구온난화에 따른 대기 순환 변화의 영향도 받게 된다. 기초과학연구원(IBS) 기후물리 연구단에서는 기후 모델을 이용해 미래 한반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목성 대기에서 치는 새로운 번개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0.08.08
수십 밀리초마다 반복해서 발생했다. 특이한 것은 발생한 고도였다. 기존 번개를 만들던
수증기
와 물, 얼음으로 된 구름층보다 25km 이상 높은 곳에서 발생했다. 목성에서 이 고도는 온도가 영하 88도로 낮아 순수한 물이 액체로 존재할 수 없는 지역이다. 지구의 구름과 환경이 달라 번개가 칠 수 없다 ... ...
'장마 이달 14일까지 간다' 북극서 밀려온 찬 공기로 역대 최장 장마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8.04
것으로 전망했다. 여기에 4호 태풍 ‘하구핏’이 중국 중부에서 소멸하면서 내뿜은 열과
수증기
가 정체전선을 타고 한반도로 유입되면서 5일 이후 비의 강도와 강수량이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있다고 예보했다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