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상화
뉴스
"
시각화
"(으)로 총 269건 검색되었습니다.
'2200개 천둥번개가 한꺼번에' 과학의 눈에 포착된 경이로운 현상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9
모습을 색으로 표현한 것이다. 눈으로 보이지 않는 충격파의 모양을 색으로 표현해
시각화
했다. NASA의 B-200 항공기가 약 600m 위에서 T-38의 음파를 초당 1400회 측정해 얻어낸 사진이다.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지난 3월에 찍힌 주요 과학 사진들을 선정해 8일 발표했다. T-38 음파 사진 외에도 일본의 ... ...
AI, 원전 안전을 부탁해!
동아사이언스
l
2019.03.11
해양플랜트 등 복잡한 시설을 정교하게 디지털 공간에 재현한 것으로, 단순히 모양만
시각화
한 게 아니라 부품 사이의 물리적 특성이나 기계적 성질까지 정교하게 모사한다. 예를 들어 실제 발전소를 가상공간에 그대로 복사한 뒤 실시간으로 전송돼 오는 계측 데이터를 덧입혀 실제 발전소 상태와 ... ...
전기로 뇌 치료 ‘뇌전기자극술’ 안내할 ‘뇌 내비게이션’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9.02.25
종류의 신경세포 가운데 '3층 피라미드세포'의 활성화 반응을
시각화
했다. 넓은 '패드 타입' 전극은 넓은 영역에, 작은 점 모양인 '디스크 타입' 전극은 제한된 뇌 영역에 자극이 집중됐다. 사진 제공 GIST 국내 연구팀이 파킨슨병이나 우울증 등의 증상을 개선하는 데 쓰이는 ‘뇌전기자극’ 치료법이 ... ...
온수 온도 낮춰 난방배관 파열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9
사이즈의 유연한 캡슐 형태로 바꾼 결과다. 또 이런 PCM 캡슐을 활용한 열 수송 원리를
시각화
기술을 통해 검증하는 데도 성공했다. 신 연구원은 “현재는 PCM 캡슐을 이용한 열 수송 시스템을 건축물의 온도 제어에 활용하는 실용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여름철 건물 외벽의 뜨거운 ... ...
이진형 스탠퍼드대 의대 교수 "뇌회로도 풀어 뇌전증·치매 잡겠다"
연합뉴스
l
2019.01.11
등을 진단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개발 회사다. 회사 이름은 뇌 회로를 '생생하게
시각화
'(Live visualization)한다는 의미의 약자다. 이 교수는 "뇌 질환은 뇌 회로가 오작동하는 건데, 지금 상황에서는 뭐가 잘못됐는지조차 알지 못해 진단도 치료도 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뇌가 어떻게 동작하는지를 ... ...
2018년 과학에서 배운 교훈
동아사이언스
l
2018.12.23
과학자들은 식물이 외부의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구성한 화학물질 통신 시스템을
시각화
했다. 화학물질은 몸 곳곳으로 퍼져나가며 식물이 위협에 능동적으로 반응하고 있음을 증명했다. 식물은 마취 가스에 기절하기도 한다. 열대 우림 속 식물은 과일에 특정 동물에게 씨앗을 퍼트리라는 메시지를 ... ...
화성 향한 전기차부터 마지막 북부흰코뿔소의 최후까지…올해의 과학 이미지
동아사이언스
l
2018.12.16
알래스카 앵커리지에 있는 알래스카 자원국의 레이더 데이터에서 발췌해 물의 흐름을
시각화
했다. 끊임없는 노력.-대니 로손 제공 소방관들이 영국 볼턴의 어느 한 언덕에서 불을 끄려 하고 있다. 올해는 유독 화재와 관련된 사건들이 많았다. 과거와 미래의 디스토피아를 보여주는 듯하다. ... ...
고생물학 디지털 화석으로 부활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1
공룡의 먹이와 생태 환경를 밝히는데도 이 정보가 활용된다. 런던자연사박물관 3D
시각화
실험실의 에이미 스콧 머레이 박사가 공룡의 두개골을 디지털화하기위해 컴퓨터 단층 촬영 장비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런던자연사박물관 제공 고고학계에선 고대 생물과 당시 환경에 대한 깊이 있는 ... ...
짜잔! 2D 영상이 3D 모션 조각으로
과학동아
l
2018.11.15
‘모션 조각상’으로 인쇄하는 프로그램(MoSculp)이 개발됐다. 기존에도 움직이는 영상을
시각화
하는 기술은 있었지만 주로 스냅샷 형태여서 움직임의 궤적을 파악하기 어려웠다.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컴퓨터과학인공지능연구소 연구팀은 컴퓨터 알고리즘을 이용해 이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 ...
지진 13만건 학습한 구글AI,여진 위치 2배 잘 맞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6
리서치사이언티스트는 구글에서 인간친화적인 AI를 연구하는 페어(PAIR) 이니셔티브와 AI
시각화
팀인 빅픽처 팀을 이끌고 있다. 그는 지난 8월, 브랜든 미드 미국 하버드대 교수팀과 공동으로 여진의 발생 위치를 AI로 예측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해 8월 29일 ‘네이처’에 발표했다. 1992년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