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씨
위선
씨줄
권
Widow
widow
뉴스
"
위도
"(으)로 총 305건 검색되었습니다.
봄 여름 태풍 겨울?
동아사이언스
l
2019.10.04
원인은 북태평양고기압 세력이 9월에도 수그러들지 않고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저
위도
에서 발달한 태풍은 통상 북태평양고기압의 왼쪽 가장자리를 따라 북상한다. 고기압 세력에 밀리기 때문이다. 8월 말경 폭염이 꺾이면서 북태평양고기압 세력이 약해지면 태풍의 진로가 대한해협과 일본 ... ...
방사능 고철 감시망 뚫렸다…18건 중 16건 원안위 감시시스템 뚫고 '통과'
동아사이언스
l
2019.10.03
물질에 오염된 고철이 국내에 유입됐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원안
위도
방사성 오염 물질을 허술하게 검사했다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게 됐다.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국내에 들어온 일본산 방사능 오염 식품 214건도 원안위의 감시망을 뚫고 왔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박광온 ... ...
[인류와 질병] O형의 비밀
2019.09.21
것이다. 아예 이득이 없는지도 모른다. 일부 가설에 의하면 대부분의 유럽인은 추운 고
위도
지방에 살던 일부 인구 집단이 온난한 간빙기에 크게 인구를 늘리면서 남하하여 정착한 후손들이다. 따라서 Rh 음성 혈액형이 아시아나 아프리카에 비해 많은 것은 단지 창시자 효과에 의한 것인지도 모른다. ... ...
[인류와 질병]바이킹과 유산
2019.09.08
사르데냐 지역에 북유럽 이민이 늘어났다는 보고는 없다. 추운 지방도 아니다. 저
위도
에 위치한 지중해의 섬이다. 비타민도 부족할 이유가 없다. 해산물과 채소가 가득하고 햇빛은 충분하다 못해 과도할 정도다. 혹시 뭔가 다른 이유가 있는 것일까? 여기서 잠깐 바이킹 유전자를 다시 ... ...
[인류와 질병] 사르데냐섬의 비극
2019.09.01
십만 명 당 80명이 넘게 다발성 경화증을 앓는다. 저
위도
지방은 낮은 유병률을 보이고, 고
위도
지방으로 갈수록 높은 유병률을 보인다. 심지어 일부 북유럽 집단은 200명을 넘어간다. 도대체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 것일까? 제법 흔한 질병이지만, 아직 원인을 모른다. 샤르코의 위대한 발견에도 ... ...
[인류와 질병] 투유유의 세 번째 낫
2019.08.25
배울 기회도 얻었다. 문화대혁명의 여파인지 몰라도 투유유는 석사 학
위도
, 박사 학
위도
없다. 하지만 혁명 직전 현대 의학을 공부할 수 있는 절호의 찬스를 얻었다. 베트남 전쟁 동안 크게 불어난 말라리아 환자로 인해 월맹은 큰 골치를 앓고 있었다. 당시에는 주로 클로로퀸을 사용하여 말라리아를 ... ...
원전 안전문화 해이 어디까지…"한빛1호기 사건 한수원 안전문화 결여 원인"결론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교수요원도 장기적으로 14명까지 늘려 운전원에 대한 교육도 강화하기로 했다. 원안
위도
대응역량이 부족했다고 파악하고 역량을 강화하기로 했다. 원전 지역에 나가있는 원안위 지역사무소장이 사용정지를 우선 명령할수 있도록 했다. 초기 사건조사도 지역사무소가 주도할 수 있도록 했다. ... ...
우주탐사 전초기지 될 달서 물 더 많이, 더 쉽게 확보 가능
연합뉴스
l
2019.07.25
수성 북극 인근에 있는 약 2천개 크레이터의 깊이와 지름 비율을 측정했으며, 이를 통해
위도
가 올라갈수록 크레이터에 얼음이 쌓이면서 깊이가 얕아지는 것을 확인했다. 얼음층은 최대 50m에 달했으며 이는 이전 측정치와도 일치했다. 달의 1만2천여개 크레이터에 대해서도 달정찰궤도위성(LRO) ... ...
열대 바다 차가워지면 남극 작은 동물도 생존전략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23
수직 이동 패턴을 4년에 걸쳐 관측한 뒤 이상기후와의 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저
위도
지역에 동태평양의 바닷물 온도가 비정상적으로 올라가는 현상인 ‘엘니뇨’가 강하게 발생하고 남극의 기압이 높았던 2010년의 경우 동물 플랑크톤이 수심 520m 지점까지 내려가 그곳에서 200일을 보냈다는 ... ...
얼음 속 화학반응이 지구온난화 속도 늦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3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빛이 없을 때에도 얼음의 화학반응이 확인됨에 따라 고
위도
지방의 극야 기간에 동일한 반응이 나타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김 연구원은 “눈으로 볼 수 없는 작은 영역에서 시작된 온실가스 저감 효과가 더 넓은 지역, 지구 전체에도 영향을 줄 수 있는지 밝히기 위해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