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뉴스
"
유전자
"(으)로 총 4,897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
유전자
가위' 유방암 진단 정확도 '확'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5.01.10
조기 유방암을 잡아내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었다"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BRCA 검사는
유전자
돌연변이의 영향이 모호했었는데 앞으로 환자들은 이전보다 정확하게 조기에 유방암‧난소암 위험을 알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다이어트에 좋은 섬유질,
유전자
기능도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09
추적했다. 그 결과 두 가지 짧은사슬지방산은 세포 증식과 분화를 조절하는
유전자
에서 후성유전학적 변화를 일으켰다. 이 변화는 암의 근저가 되는 세포 성장을 방해하거나 제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도 확인했다. 슈나이더 교수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식단에 충분한 섬유질을 ... ...
비만치료제 '위고비' 매출 우습게 넘긴 면역항암제 개발 경쟁 치열
동아사이언스
l
2025.01.06
백신 후보물질을 연구하고 있다. 한미약품은 mRNA를 통해 체내에 암이 생기지 않은 정상
유전자
단백질을 발현시키는 메커니즘의 약물을 개발하고 있다 ... ...
외로우면 병 잘 걸린다…'질병 유발' 단백질 증가 탓
동아사이언스
l
2025.01.05
발병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연구팀은 특정 위험 인자와 해당 인자와 연관이 있는
유전자
변이 사이의 상관성을 분석해 인과관계를 추론하는 ‘멘텔 무작위 분석법’도 시행했다. 그 결과 외로움과 관련된 유전적 변이가 있을 때 5가지 단백질의 수치가 영향을 받는다는 점이 확인됐다. 5가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계절마다 성별 바꾸는 호두나무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5.01.05
구분해 유전체 서열을 분석했다. 분석 결과 호두나무의 개화 순서를 결정하는 2개의
유전자
변이가 발견됐다. 해당 변이는 9종 이상의 호두과 나무에서 거의 4000만년 넘게 안정적으로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인간의 성염색체가 작동하는 방식과 유사하게 두 개화 유형이 50:50으로 균형을 ... ...
세포 수준에서 확인한 뇌의 노화…"손상 늦출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5.01.03
기능 관련
유전자
는 활동이 급격히 줄어들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이러한
유전자
작용이 특히 활발하게 일어나는 세포계의 '핫스팟'을 발견했다. 신경계와 뇌하수체를 통해 내분비계를 연결하며 우리 몸의 중요한 기능을 하는 시상하부 근처 세포 집단에서 노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 ...
AI 장착 로봇 발전 눈부신데…"유인 우주 탐사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1.02
로봇 탐사가 합쳐져 인간이 기계 일부가 될 수도 있다"며 "극한의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유전자
변형, 사이보그 등 모든 기술을 사용할 것이라고 상상할 수 있다"고 말했다 ... ...
새해 첫 국산 CAR-T 치료제 출시 기대…큐로셀 국내 허가 신청
동아사이언스
l
2024.12.31
환자의 혈액에서 면역세포인 T세포를 추출한 다음 암세포를 정확히 공격할 수 있도록
유전자
조작을 통해 키메라항원수용체(CAR)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이렇게 만들어진 CAR-T세포는 대량 배양된 뒤 정맥주사를 통해 환자에게 주입된다. 주입된 약물은 체내에서 순환하며 암세포를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겨울방학 특별 과학교육과정 운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2.30
결과 전체 8682표 중 1131표를 얻은 '세계 최고 수준의 초고민감도 혈액 내 암 돌연변이
유전자
검출 기술'이 1위를 차지했다. 체액 기반 비침습 암 조기진단 소재 기술이 1056표를 획득하며 2위를 차지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질소 고정 세포소기관' 발견…생물학 교과서 다시 쓸 성과
2024.12.25
능력을 잃어버렸다. 질소체 게놈 복제 및 증식, 분열 등의 과정에도 세포의 핵 게놈
유전자
에서 만들어진 단백질이 이동해와 작용한다. 다만 핵 게놈에서 아직 질소체의 조상인 박테리아의 게놈이 발견되지는 않아 세포소기관 초기 상태로 보인다. 지난 4월 학술지 '사이언스'에 질소체 논문이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