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민
이전
이사
천거
전출
식민
이식
뉴스
"
이주
"(으)로 총 407건 검색되었습니다.
현생인류의 아라비아 반도 진출 시기 최소 8만5000년 전
동아사이언스
l
2018.04.10
일찍 벗어날 수 없을 것이라던 기존 관점은 틀렸다”고 말했다. 인류의 아시아
이주
분야 전문가인 크리스토퍼 배 미국 하와이대 인류학과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현생 인류가 아시아에 6만 년 전 이전부터 존재했다는 증거가 늘어나고 있는데 이번 연구도 그 중 하나”라며 “현생 인류가 ... ...
외계행성 찾으러… 시야 400배 커진 우주망원경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30
등을 밝혀낸다는 계획이다. 이 연구원은 “외계행성을 찾는 궁극적인 목적은 인류가
이주
해 갈 수 있는 ‘제2의 지구’를 찾는 것”이라고 말했다. JWST는 29년째 심(深)우주를 관측해온 허블 우주망원경의 뒤를 잇는 역대 최대 규모의 우주망원경이다. 렌즈의 지름만 허블의 약 3배인 6.5m에 이른다. ... ...
현생 인류, 이웃 종 데니소바인과 적어도 2번 교배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6
최소 2번 교배한 것이 확인됐다. 고대 인류종들이 언제 유전적으로 분리돼 어떻게
이주
했으며, 어디에서 교배가 일어났는지는 아직 해결되지 않고 있다. -University or Washington 제공 브라우닝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크로마뇽인과 데니소바인 등 두 인류 종이 약 5만년 전 교배가 됐을 것으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푸른' 종소리 '보는' 공감각의 비밀 풀렸다
2018.03.13
배운 테니스를 가르치며 생계를 꾸렸다. 그러나 나치가 집권하자 1937년 파리로
이주
했고 전쟁이 나자 1940년 미국으로 향했다. 어머니는 2차세계대전 발발 하루 전 사망했다. 낯선 미국에서 생계가 막막했지만 이듬해 웰즐리대에서 비교문학 강사 자리를 얻고 1942년 박물관 연구원으로 취직하면서 ... ...
슈퍼 화산 폭발로 인류 멸종할 뻔...당시 폭발 위력 증거 나와
동아사이언스
l
2018.03.13
모습을 갖췄으며, 유럽과 중동 그리고 남아시아 등으로
이주
하기 시작했다. 그들의
이주
가 토바 화산의 폭발로 중단됐다가 수 천년이 흐른 뒤, 약 7만년 전 경부터 다시 재개됐다는 것이다. 대폭발이라 불리는 화산 분출 환경에서 생성되는 유리 조각(glass shard)의 예이다.-University of Nevada Las Vegas ... ...
구석기 인도인 손도끼 연구, 인류 이동 시기 앞당기나
동아사이언스
l
2018.02.01
구석기 시대를 이룩한 시기가 기존의 학설보다 앞당겨지게 됐다”며 “초기 인간의
이주
에 대한 앞선 연구결과들도 이와 연계해 재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아메리카 대륙 처음 밟은 인류는 3만6000년 전 동아시아인!?
동아사이언스
l
2018.01.04
1만1500년 알래스카 지역 미국원주민의 생활 모습을 재현한 그림. - Eric S. Carlson in collaboration with Ben Potter 제공 미국 대륙에 처음 진출한 현 ... 전에는 가능했을 거다. 이들이 베링기아를 넘어온 뒤에 어떻게 아메리카 대륙 내부에서
이주
했을지에 관해서는 여러 시나리오를 제기해 볼 수 있다 ... ...
“현생인류, 12만 년 전 아프리카 벗어나 아시아에 첫 발”
동아사이언스
l
2017.12.08
아라비아반도)은 7만~6만 년 전 사이에 급격히 춥고 건조해졌다”며 ”생존을 위한
이주
가 이때 집중적으로 이뤄졌을 것”이라고 말했다. 배 교수는 “새 증거들을 종합하면 인류는 6만 년 전 이전에 소규모 인원이 여러 차례에 걸쳐 아프리카 밖으로 나와 아시아의 해안가와 북부 내륙으로 퍼진 ... ...
45cm 길이 발을 가졌던 여성
팝뉴스
l
2017.11.29
빅풋’이라는 별명을 가졌던 패니 밀스의 모습이다. 1860년 미국 오하이오에서 영국
이주
민의 딸로 태어난 그녀는 ‘선천성 림프부종’으로 발이 엄청나게 커지는 불운을 겪게 된다. 패니 밀스의 발은 18인치까지 자랐다. 신발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염소 세 마리의 가죽이 필요했다고 한다. ... ...
[과학&기술의 최전선] 게놈 해독도 오픈소스 바람 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17
미국 하버드대 의대 교수팀은 8일 독일과 스페인, 헝가리 지역의 신석기시대 농민들이
이주
하며 서로 뒤섞인 과정을 정교하게 밝혀 과학잡지 ‘네이처’에 발표했다. 역사를 다시 쓴 이들의 ‘무기’는 ‘고(古)게놈학’. 땅에 묻힌 유골이나 뼈 화석에 미량 남아 있는 유전자를 채취, 해독하는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