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부
출장소
분관
지사
센터
장소
현장
뉴스
"
지점
"(으)로 총 1,624건 검색되었습니다.
눈 깜박이는 이유 따로 있다…"새로운 시각 정보 생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망막에 도달하는 빛의 패턴을 다양하게 바꿈으로써 일어난다. 눈을 뜨고 특정
지점
에 초점을 맞춰 볼 때와 비교해 뇌에 전혀 다른 종류의 시각 신호를 생성하기 때문이다. 이 신호가 눈으로 보는 장면의 전체적인 큰 그림을 인식하고 처리하는 데 도움을 준다. 새로운 시각 신호를 재구성함으로써 ... ...
"獨, 코로나 이후 과학자들 더 존중 …자원 부족·고령화, R&D로 극복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4.04.21
수 있는 분야를 찾아야 하는데 바이오, 메디컬, 데이터사이언스, 에너지 등에서 협업
지점
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한국에 대해서는 알아가면 알아갈수록 독일과 굉장히 비슷하다는 사실을 느낀다. 양국 간 협업은 실질적인 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두 국가의 협업에 ... ...
쓴맛 느끼는 원리 찾았다…약물 부작용 줄일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11
연구에서 연구팀은 TAS2R14이 쓴맛과 접촉하면 쓴맛을 내는 화학물질이 수용체의 특정한
지점
에 쐐기를 박고 자리를 잡는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화학물질은 수용체의 단백질 모양을 변화시켜 특정한 단백질을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러한 작용은 쓴맛 수용체의 활성화를 유도해 뇌의 ... ...
기적처럼 '종말의 날' 빙하 캤다…200년 대기 기록 담긴 '스웨이츠' 코어 확보
동아사이언스
l
2024.04.09
등 국제공동연구팀과 함께 1월 서남극 스웨이츠 빙하 인근의 카니스테오 반도에서 두
지점
의 빙하를 시추해 각각 150m 길이의 빙하코어를 확보했다고 9일 밝혔다. 아문젠해에 있는 스웨이츠 빙하는 녹으면 지구 해수면을 최대 3m까지 높일 수 있어 전문가들은 이를 남극 빙상의 마지노선으로 ... ...
7년 만에 북미 개기일식 관측 '열기'…고대 미신이 과학의 영역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8
7년 만이다. 이번 개기일식은 직전 일식 때보다 긴 시간과 넓은 곳에서 관측된다. 관측
지점
에 따라 길게는 4분 30초간 이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개기일식은 고대인들에게도 신비로운 현상이었다. 8일 미국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일식에 대한 최초의 명확한 증거는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명에서 ... ...
'25년 만의 최대 규모' 대만 지진…과학자들 "추가 지진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전했다. 섬나라인 대만의 동해안은 필리핀해판과 유라시아판이라는 지각판이 수렴하는
지점
에 있다. 필리핀해판이 유라시아판 아래로 미끄러져 들어가면서 대만 동쪽에 지진이 발생한다는 설명이다. 유 왕 대만 국립타이완대 지질학과 교수는 "지진은 역단층에서 발생했는데 한 암석 덩어리가 다른 ... ...
[과기원NOW] DGIST, 다비오와 항공·위성 영상 분석하는 인공 신경망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인공 결합쌍인 아다만탄-쿠커비투릴 시스템을 추가로 사용해 두 소기관이 만나는
지점
의 단백질 표지 및 분석 능력을 혁신적으로 높였다. 연구팀은 미토콘드리아-소포체 접촉 기작 관련 단백질을 식별하고 역할을 규명했다. 김기문 교수는 "세포 내 다른 소기관 간의 소통 탐구에도 적용할 수 있는 ... ...
조용히 차 따르려면…커피와 차의 과학
과학동아
l
2024.03.23
'유동층'도 마찬가지다. 유동층은 작은 고체 알갱이들이 마치 유체처럼 움직이는
지점
을 말한다. 커피를 내릴 때 물과 혼합된 커피가루가 마치 유체처럼 움직이는 것 또한 유동층의 일종이다. 커피 내리는 과정을 수리물리학 모델을 이용해 분석한 연구도 있다. 아일랜드 리머릭대 합성 및 ... ...
장애물 알아서 피해 안전하게 착륙하는 AI 드론
동아사이언스
l
2024.03.21
성공한 사례는 부족하다. 기존 비행체 착륙 연구에서는 대체로 한 종류의 센서로 착륙
지점
을 찾았지만 연구팀은 2종류의 센서로 드론이 안전한 장소를 판단할 수 있도록 했다. 카메라의 시각 정보와 라이다 센서의 거리 정보를 동시에 활용해 신뢰도가 높은 환경 정보를 얻는다는 게 연구팀의 ... ...
[정치에 도전한 과학자들] ②구글 출신 이해민 "R&D예산 삭감 문제 단순치 않아"
과학동아
l
2024.03.12
빨라지죠. 모든 분야에서 AI가 사용된다는 것은 AI를 통해 과학기술 각 분야가 서로 만날
지점
이 있다는 얘기도 됩니다. 이 모든 과정을 관리할 컨트롤 타워가 필요합니다." Q. 특별히 관심 있게 보는 법안이 있다면 무엇인가. 과학기술 거버넌스를 구축하고 정부 최고정보책임자(CIO) 조직을 세우는 것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