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참고
조회
참작
문의
언급
고려
감안
뉴스
"
참조
"(으)로 총 356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 지식IN] ④ 독감, 재발하기도 하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2.21
익숙한 산 모양 그래프를 그리며 최고점을 찍고 점차 사그라드는 양상(아래 그래프
참조
)을 보였거든요. 아마도 우리는 지금 독감 대유행의 최고점을 향해 달려가고 있는 중일 겁니다.(ㅜ_ㅜ) 절기별로 독감의심환자의 증가 모습을 그래프로 나타낸 모습. - 질병관리본부 제공 지난 8일 ... ...
“미인도는 진품”…컴퓨터 영상분석, DNA 분석 등 과학기법 총동원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16.12.19
진품 여부로 논란을 빚은 천경자 화백의 ‘미인도’ - 천경자 제공 1991년 이후 26년간 위작 논란에 휩싸였던 고 천경자 화백(1924-2015)의 그림 '미 ... 밝혔다. ※미술품 감정에 어떤 과학적 방법이 사용되나가 궁금하면 다음 기사
참조
☞ 천화백 별세…끝나지 않은 ‘미인도’ 위작 논란 ... ...
[대통령 담화 감성분석] 3차 담화문은 ‘사과문’이 아니었다?
2016.12.07
저 담화문에는 어떤 감성이 숨겨져 있을 것인가? 그래서 그 담화문을 와이즈레터(※후주
참조
)에 담아 감성분석을 해보았다. 1차 담화문 문장흐름 분석 1차 담화문은 총 472자다. 너무 짧은 글이라 유의미한 분석이 나오지는 않지만 문장흐름을 분석 해보면 긍정적인 감성이 두 번 쌍봉낙타처럼 ... ...
한국인 특이질환 찾아 낼 ‘표준 유전자 지도’ 나왔다
2016.11.24
울산과학기술원(UNIST) 게놈연구소장(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한국표준과학연구원 국가
참조
표준센터와 공동으로 한국인 표준 게놈지도 ‘코레프(KOREF)’를 완성했다고 24일 밝혔다. 이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24일자에 발표했다. 박 소장은 “한국인은 오랜 기간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삶과 업적에 대해서는 과학카페 280 ‘요거트의 상징 메치니코프 타계 100주기’
참조
.) 메치니코프는 노벨상까지 받은 저명한 과학자이지만 신문에 글도 많이 기고하고 대중과학서적도 여러 권 냈다. 그 가운데 대표작이 1908년 출간한 ‘수명 연장’으로 2년 뒤 영어판이 나왔다. 읽어보니 글 솜씨가 ... ...
팔라우의 ‘니모’는 힘든 세상을 어떻게 살아갈까?
2016.11.09
또는 말미잘(sea anemone)과 함께 살기때문에 ‘아네모네피시’로도 불린다(네이버캐스트
참조
) . 이 녀석의 이름이 니모가 된 것은 세계적으로 흥행을 한 애니메이션 ‘니모를 찾아서’의 주인공으로 이름 때문이다. 때문에 팔라우를 찾는 아마추어 다이버들도 흰동가리를 그냥 ‘니모’라고 ... ...
MRI 사진만 보면 뇌졸중 치료효과 한 눈에 안다
2016.11.08
치료효과를 미리 알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표준연) 국가
참조
표준센터는 사람의 뇌 자기공명영상(MRI) 영상을 분석하면, 추후 뇌경색이 발병했을 때 회복 정도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밝혀냈다고 8일 밝혔다. 치료 예후를 정확히 예측할 수 있어 치료 ... ...
표범의 추억
2016.11.08
난다. (이 연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과학카페 145 ‘호랑이와 가장 가까운 종은 사자?’
참조
) 그런데 얼마 뒤 우연히 당시 연구를 이끈 울산과기대 박종화 교수와 통화를 하게 됐다. “그런데 왜 표범은 안 하셨죠?” “시료를 구하지 못해서...” 약간 뜻밖의 대답을 듣고 ‘동물원의 표범들은 다 ... ...
[테크놀로지와 저널리즘] 구글이 ‘팩트’를 검증하는 방법
2016.10.19
있어야 한다. -둘째, 팩트 분석에 있어서 반드시 그 출처와 방법이 투명해야 하며, 인용과
참조
한 출처는 반드시 신빙성이 있어야 한다. -셋째, 팩트를 검증하는 곳은 비정파적이어야 하며, 후원 단체와 자금 출처가 투명해야 한다. 특정 개인 혹은 개체만을 타깃으로 검증하기보다는 관련된 주제 영역 ... ...
단풍놀이 간 산에 낙엽만 수북…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
과학동아
l
2016.10.02
쌓이면, 기온 자료만으로도 비교적 정확한 예측이 가능하다(과학동아 2015년 4월호
참조
). 웨더아이는 개화 예보를 할 때 회귀 모델뿐만 아니라 기상청에서 개발한 생물계절모형도 함께 이용해 정확성을 높인다. 하지만 단풍은 생물계절모형이 없다. 김선희 국립산림과학원 박사는 “개화에 비해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