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
재앙
재액
전등
사고
재해
재난
뉴스
"
화재
"(으)로 총 696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공중에 뿌려진 씨앗을 땅 속에 정확히 심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2.18
사용하면 사람의 손이 닿기 어려운 산지에도 손쉽게 나무를 심을 수 있다. 앞으로는
화재
로 훼손된 산림을 재건하거나 토양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공중파종법이 더 적극적으로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공중파종의 단점은 씨앗을 땅속에 제대로 심기 어렵다는 것이다. 공중에서 살포된 씨앗은 지면 ... ...
"
화재
상황 10초 내에 감지"...시각 인공지능 개발한 대학원생
동아사이언스
l
2023.02.08
방화 상황이 발생했을 때 기존 물체 기반의
화재
영역 탐지가 아닌 '연기'나 '불' 등의
화재
장면 및 '기름 뿌리기' '불 지피기' 등 사람의 방화행동을 동시에 탐지해 10초 이내에 이상행동을 감지하고 관제인력에게 알릴 수 있다. 연구팀이 개발한 기술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의 7가지 지능형 CCTV ... ...
나로우주센터
화재
사고 발생…"누리호 3차 발사 무관"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현장 수습까지 완료됐다. 인명피해는 없었으며 일부 시험 설비 등이 소실됐다. 이번에
화재
가 발생한 10톤(t)급 상단용 터보펌프 시험은 차세대 발사체를 위한 선행 기술개발 과정 중 하나다. 과기정통부는 이 시험이 오는 5월 예정된 누리호 3차 발사와는 무관하다고 설명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죽어가는 아마존 산림의 민낯
동아사이언스
l
2023.01.29
모습을 27일 표지로 실었다. 아마존 산림은 인간 활동의 결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화재
나 가뭄 등의 영향도 받고 있다. 사이언스는 “이런 변화는 지역 생물 다양성과 지역사회를 위협하고, 지구 기후변화를 일으킨다”고 설명했다. 사이언스는 이번 주 아마존 산림 손실과 황폐화에 대해 분석한 ... ...
아연·망간으로 수명 제약 없는 레독스흐름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독립적으로 설계할 수 있고 전지의 대용량화도 가능하다. 배기가스를 배출하지 않고
화재
·폭발 위험이 없다는 장점도 있다. 현재 레독스흐름전지의 주요 핵심소재인 바나듐(V)은 중국 등 수입에 의존하는 고가의 금속인데다 전지의 성능을 좌우하는 전압이 상용화된 리튬이차전지보다 낮아 ... ...
바이오·탄소중립·디지털혁신 등에 올해 6조6726억원 투자
동아사이언스
l
2023.01.01
공공 연구개발도 강화할 계획이다. ICT융합 디지털포용기술개발을 추진하며 고층건물
화재
진압기술 등 현장의 수요와 연계한 재난대응 연구개발을 신규 추진한다. 시장수요에 기반한 ICT 기업의 신제품·서비스 개발 및 사업화 지원, 유망 ICT 스타트업 성장 지원 등을 통해 디지털 혁신기업 육성을 ... ...
5명 사망 과천 방음터널 사고...값싼 '플라스틱'이 2차
화재
불렀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30
광교신도시에서 해오라기터널로 이어지는 하동 나들목 고가차로에서 승용차에서 발생한
화재
가 벽면을 타고 불이 옮겨붙어 PMMA 소재 방음터널 200여m가 뼈대만 남고 다 탔다. 이곳은 아직까지 복구되지 못한 채 그대로 뼈대만 남은 상태로 남아 있다. 도로교통연구원은 “최근 도시지역을 통과하는 ... ...
[인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2.12.3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설시험인증본부장 류제룡 △구매관리실장 박태무 △
화재
안전연구소 화성행정팀장 김형진 ...
'누리호·다누리 성공·허준이 필즈상' 과총 올해 10대 과학기술뉴스
동아사이언스
l
2022.12.28
리튬메탈전지는 이차전지에 사용되는 휘발성이 높은 액체전해질을 고체로 대체해
화재
및 자동차 안전사고를 막을 수 있는 기술이다. 현재 상용화된 리튬이온전지에 비해 에너지밀도를 획기적으로 향상해 자동차 주행거리 확보 및 안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꿈의 배터리 기술'로 평가 받는다. ... ...
고체전해질 입자 크기 1/10로 만드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2.12.26
제공 국내 연구진이 고체전해질 입자의 크기를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화재
나 폭발 위험성이 낮아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 전고체전지에 적용 가능한 입자의 크기로 줄이는 기술이다. 한국전기연구원(KERI)은 하윤철 차세대전지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세계 최초로 고체전해질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