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손
뒷자손
후속
후예
뉴스
"
후손
"(으)로 총 207건 검색되었습니다.
경주 곳곳에 숨어있는 왕릉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3.11.11
흉노의 왕들을 의미하는 마립간으로 바뀌었다는 것은 이들이 북방기마민족의
후손
으로 왕위를 인계받았다는 것을 뜻한다. 신라는 『삼국사기』에 의할 경우 기원전 57년에 건국되어 935년에 멸망할 때까지 무려 천년을 이어 온 한국 역사상 최장수의 왕국이다. 그러므로 신라지역은 고분의 형태도 ... ...
초기 인류의 ‘족보’ 전면 수정되나
과학동아
l
2013.10.29
아시아, 유럽에 퍼져 살았다는 뜻이다. 현생인류(호모 사피엔스)는 이 종의 먼
후손
이 된다. 고인류학에서는 새로운 인류 화석을 발굴했을 때 이들을 새로운 종으로 분류할 것인지, 혹은 기존과 같은 종으로 볼 것인지 늘 논란을 벌였다. 이번 연구 결과는 그런 논란의 확장판으로, 추가 논쟁이 벌어질 ... ...
[화보]제10회 바이오현미경사진전 영광의 수상작들은?
과학동아
l
2013.10.25
거미가 자신의 배에 삼층석탑을 그려 넣은 것 같다. 혹시 신라시대 왕궁에서 살던 거미의
후손
이 아닐까. 이 거미가 다른 거미보다 훨씬 큰 거미줄을 만드는 걸 보니 높은 신분이었을지도 모르겠다. 선인장에 핀 꽃 - 충북대 의학연구정보센터 제공 ◆선인장에 핀 꽃(일반부 바이오예술상 ... ...
수백만 년 뒤 인류는 어떻게 진화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9.16
했다. 이미 지나간 과거에 살았던 조상이 아니라 미래시대에 살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후손
을 미리 만나본 것이다! 이미 영국 스코틀랜드의 동물학자 두걸 딕슨은 저서 ‘맨 애프터 맨’에서 미래 인류의 모습을 상상했다. 그는 환경이 심각하게 오염된 미래에 현생인류 중 일부는 과학기술의 ... ...
80년 동안 제사도 봉양도 못 받은 王
동아사이언스
l
2013.09.03
어느 날 꿈에서 단종을 만나 그의 억울함을 들었다 한다. 꿈을 꾼 뒤 박충원은 엄홍도
후손
의 안내로 노산묘를 찾아 봉분을 정비했다. 단종이 명예를 회복하는 데는 200년이 넘게 걸렸다. 숙종 7년(1681), 숙종은 그를 일단 노산대군으로 추봉한 뒤 숙종 24년(1698) 정식으로 복위시켰고 묘호를 단종으로 ... ...
호빗족은 지금도 어딘가에 살고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9.02
진화계보를 다시 그리게 했다. 현생인류와 100만 년 전 이전에 갈라진 호모 에렉투스의
후손
이 불과 1만3000년 전까지 살고 있었다는 건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던 충격적인 발견이었다. - 네이처 제공 그러나 모든 사람이 이들의 발견에 찬사를 보낸 건 아니었다. 일부 인류학자들은 호빗이 병든 ... ...
고양이나 쥐가 살기 어려운 곳은 사람도 살기 어려운 곳
동아사이언스
l
2013.08.18
한 후에는 지덕 때문에
후손
에게 큰 불행을 초래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묘택을 잘 쓰면
후손
이 행복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해가 미친다는 이같은 사례는 그 후 풍수지리의 중요성을 논할 때마다 자주 거론되며 한국인의 풍수에 큰 영향력을 미치지만 ‘서오릉의 창릉’ 장에서 설명한 것처럼 발복 ... ...
왕에게 묫자리 빼앗길 것을 예상했던 이인손
동아사이언스
l
2013.08.14
이인손으로 하여금 재실과 돌다리를 만들지 말라는 유언을 하도록 했음에도 그는 이미
후손
이 그 유언을 어길 것을 알고 있었다는 것을 지적한다. 풍수가는 이인손의 묘택이 천하 명당이므로 정승이 들어갈 자리가 아니라 절름발이 군왕(세종)이 들어갈 묘 터라는 것을 이미 알고 이인손으로 하여금 ... ...
王家의 기를 누를 정도로 강한 세도가의 묫자리
동아사이언스
l
2013.08.13
’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정승, 판서가 광주이씨 가문에서 쏟아져 나왔다. 그러나
후손
이 볼 때 이인손의 묘택은 여간 불편한 것이 아니었다. 양반 체면에 다리도 없는 냇가를 신발 벗고 건너야 하는 것은 물론 멀리서 온 자손이 잠잘 곳도 없이 모이자마자 헤어져야 하는 등 제사를 지낼 때마다 ... ...
중세 시신에서 찾은 천 년 ‘세균 족보’
과학동아
l
2013.06.24
훨씬 신뢰도가 높았다. 그 뒤 이렇게 해독한 게놈을 오늘날 지역별로 곳곳에 퍼져 있는
후손
11종의 게놈과 비교했다. 그 결과 마이코박테리아는 지난 1000년 동안 거의 변화가 없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 유전자의 변이를 바탕으로 종 사이의 친척 관계를 따져본 결과 아메리카 대륙에 건너간 ... ...
이전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