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대
큼
과대
다대
웅대
막대
스페셜
"
거대
"(으)로 총 363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관측기기 직접 제작한 집념의 블랙홀 관측 연구자
2020.10.07
과정을 거쳐 서울대 천문학과 조교수, 한국천문연구원 선임연구원으로 일했다. 현재는
거대
마젤란 망원경(GMT)의 다천체 분광기(GMACS) 제작 연구와 슬로운디지털천구측량(SDSS)의 분광기 제작 연구에 참여하고 있다. ... ...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물리학상 수상자 공적
2020.10.06
시작했다. 겐첼 교수는 칠레 파라날 산에 자리잡은 8m 구경의 유럽남방천문대(ESO) 초
거대
망원경(VLT)을 이용했고, 게즈 교수는 하와이 마우나케아산의 10m 구경 케크 천문대를 활용했다. 별이 길을 보여주다 망원경이 크더라도 100km가 넘는 두께의 대기 아래에서 별을 관측해야 하기 때문에 한계가 ... ...
아직 한번도 안받았나? 블랙홀, 노벨상 수상은 처음
동아사이언스
l
2020.10.06
흥분시켰다. 2018년 겐첼 소장이 이끄는 연구진은 칠레에 있는 유럽남방천문대(ESO)의
거대
망원경(VLT)에서 적외선 관측장비와 4대의 망원경을 연결한 간섭계 등 최신 관측장비를 동원해 우주먼지와 가스구름에 가려 관측이 쉽지 않았던 먼 은하 중심의 블랙홀 주변을 정밀하게 관측하는 데 ... ...
달은
거대
한 충돌로 생겨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01
생성됐다는 뜻인 만큼
거대
충돌설을 설명하는 강력한 증거로 받아들여졌고, 한편으로는
거대
충돌설을 제외한 다른 달 탄생 가설을 반박하는 근거로 쓰였다. 가령 태양계가 생성될 때 지구와 달이 동시에 생겼을 것이라고 주장하는 ‘동시생성설’은 지구와 달을 구성하는 원소의 비율이 서로 ... ...
[강석기의 과학카페]100억년 뒤 태양계는 어떤 모습일까
2020.09.29
상태다. 태양에서 꽤 멀찍이 떨어져 있고 자체 질량도 꽤 되는 목성이나 토성 같은
거대
행성들은 어떻게 될까. 태양이 적색거성을 거쳐 백색왜성으로 바뀌는 사이 목성과 토성의 공전궤도도 꽤 영향을 받을 것이다. 어쩌면 태양과 가까워져 먹히거나 강한 중력의 기조력으로 쪼개질 수도 있다. ... ...
화성 남극 지하에
거대
한 소금물 호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9
토대로 제시됐다. 엘레나 페티넬리 로마대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는 1개의
거대
지하 호수 주변에 이보다 작은 규모의 또다른 호수 3개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고 밝혔다. 연구에 활용된 마스 익스프레스 레이더 관측 장비(MARSIS)는 화성 표면과 지하를 구성하는 물질 층에 전파를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실험생물학의 새로운 도덕경제
2020.09.23
유전자은행을 만들겠다고 공표한 것이다. 유럽은 이미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처럼
거대
장비를 이용한 연구소 설립에 성공한 직후였고, 분자생물학에도 CERN 같은 기관이 필요할 것이라는 예측으로 EMBL을 설립한 후였다. 소유권과 저작권을 둘러싼 데이호프의 실수 데이호프는 이미 2 ... ...
'당신이 구글을 사용하는 한 온실가스를 배출하지 않습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5
관해 지금까지 시도된 가장 크고 야심찬 계획(문샷)”이라고 말했다. 다른
거대
정보기술(IT) 기업들도 온실기체를 발생시키지 않겠다고 앞다퉈 선언하고 있다. 올해 1월 마이크로소프트사는 흡수, 저장하는 온실기체량이 배출하는 온실기체량보다 많은 ‘카본 네거티브’를 2030년까지 달성하겠다고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은 원자폭탄 만든 연구소에서 시작했다
2020.09.10
필수적인 도구로 인식하기 시작했고, 그때부터 유전자은행은 인간유전체계획과 같은
거대
생물학 프로젝트가 가능하기 위한 조건으로 각광받기 시작했던 것이다. 2000년 11월 월터 고드가 죽었을 때, 그의 부고는 미국 에너지부(DOE)의 인간유전체 뉴스라는 잡지의 귀퉁이에 짧게 소개되었을 뿐이다. ... ...
행성사냥꾼 테스 2년간 찾아낸 외계행성만 2100개
동아사이언스
l
2020.08.12
일어난다는 것을 밝혀내기도 했다. 지구로부터 3억 7500만 광년 떨어진 은하 속 초
거대
블랙홀이 별을 국수가락 뽑듯 빨아들이는 장면도 포착해냈다. 다음 임무는 2022년 9월까지 26개월간 진행된다. 같은 지역을 전보다 3배 빠른 속도로 촬영하는 ‘고속 촬영’이 목표다. 기존에는 30분마다 전체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