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픔
고난
괴로움
고뇌
쓰라림
어려움
곤란
스페셜
"
고통
"(으)로 총 373건 검색되었습니다.
[담화문 전문] 박능후"국민 건강 위협 받아선 안돼. 집단행동 자제해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0.08.06
소아외과 전문의는 50명도 채 되지 않습니다. 그로 인한 진료의 공백은 국민들의
고통
으로 나타나고 심한 경우에는 죽음까지 이를 수 있습니다. 미래 의료발전을 견인할 의사 과학자 양성도 시급합니다. 바이오-메디컬분야는 급속히 발전하는 반면, 여기에 종사하는 의사는 100명도 되지 않아 ... ...
파우치 "내년 초 코로나 백신 수천만회 분량 나올 것"
연합뉴스
l
2020.08.06
"양적으로 보면 그렇다. 숫자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그는 "모든 나라가
고통
을 겪고 있는데, 미국은 그만큼 또는 그보다 더 상황이 나쁘다"면서 "감염자 수, 사망자 수를 보면 무척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미 존스홉킨스대 집계에 따르면 전 세계 코로나19 사망자 중 미국이 차지하는 ... ...
[표지로 읽는 과학]원폭투하 75년 생존한 피폭자들이 남긴 의학적 유산
동아사이언스
l
2020.07.26
이이다 씨를 비롯해 12만 명에 이르는 히로시마 및 나가사키 원폭의 생존자들은 자신들의
고통
을 인류의 더 나은 삶을 위해 쓰이도록 허락했다. 과학·의학 연구에 참여해 방사선 피폭이 가져온 장기적인 건강 영향을 알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미국이 1946년 구성한 ‘원폭희생자위원회(ABCC)’를 통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너무 무리했으니까 살고 싶으면 좀 쉬렴"
2020.07.25
3D체험을 하며 머리 속 호러물을 강제 시청하게 되고 상황이 확실해지기 전까지 계속해서
고통
받게 된다. 공포영화를 볼 때에도 막상 귀신이 튀어나고 난 이후보다 언제 튀어나올지 모르는 이전의 상태가 더 심장쫄깃하게 느껴지는 것과 비슷한 원리다. 또는 건강에 이상을 느끼고 나서 정말 큰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직장내 성적 괴롭힘에 대하여
2020.07.18
믿는다) 당시에는 잘 몰랐다가 십여년이 지나서야
고통
의 실체가 명확해지며 본격적인
고통
을 불러일으키기도 한다. 이렇게 수많은 여성들이 다양한 종류의 성적 괴롭힘을 경험한다. 그리고 이들 중 약 70%가 ‘학교와 직장’에서 일어난다는 보고가 있다. 성적 괴롭힘을 저지르는 남성들 왜 어떤 ... ...
망막색소변성증 환자의 희망 '인공망막 장치' 성능 끌어올릴 실마리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0.07.16
향상시킬 수 있는 실마리를 규명했다. 선천적이지 않고 뒤늦은 나이에 실명할 위기로
고통
에 겪는 환자들을 치료할 아직까지는 초기 단계지만 작은 진전이라는 평가가 나온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임매순 바이오마이크로시스템연구단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미국 하버드 의대 쉘리 프리드 ... ...
코로나19, 마음에 깊은 상처를 남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4
석정호 강남세브란스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물리적 방역 뿐 아니라 심리적
고통
을 호소하는 사람을 위한 ‘심리적 방역’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감염의 공포를 잊기 위해 규칙적인 수면 및 기상 시간을 비롯해 일상생활의 리듬을 유지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석 교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체중 낙인은 이제 그만
2020.07.07
여성들에게 큰 수치심을 느끼게 하고 있다. TED 캡쳐 불안과 수치심, 취약성 등 마음의
고통
을 연구하는 심리학자 브레너 브라운은 2012년 출간한 책 ‘마음가면’에서 수치심 경험은 보편적이지만 이를 유발하는 외부의 기대와 메시지는 성별에 따라 확연한 차이가 있다며 아래와 같이 쓰고 있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현실적인 인생관이 진정한 자존감을 만든다
2020.06.27
받아들이는 것이다. 또한 그 누구도 완벽해질 수 없으며 인간은 누구나 나름의 약점과
고통
속에서 살아간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이다. 한계가 많은 인간으로서 나나 내 주위 사람들 모두가 지금 이 정도로 살아가는 것도 결코 쉽지 않은 대단한 일임을 인정하는 것이다. 또한 비교적 정확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유사비즈니스로 추락한 과학연구
2020.06.18
관리 기관의 지배하에 놓여서는 안됩니다. 관리 기관과 싸우느라 연구는 언제나
고통
받게 될테니까요 ” - 배너바 부시 1940년대 맨해튼 프로젝트를 수행할 당시의 배너바 부시(왼쪽)와 제임스 코넌트 하버드대 총장, 미군 공병대의 레슬리 글로브스 장군과 프랭클린 마티아스 소령.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