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학
보존
스페셜
"
보존과학
"(으)로 총 20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6월 수상자 전북대 이중희 교수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13.06.13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은 ‘고전도성 나노복합재료의 친환경 제조기술’을 개발한 공로로 전북대학교 이중희 교수(李仲熙, 53세)를 이달의 과학기술자상 6월 수상자로 선정하였다. 이 교수는 나노소재의 뛰어난 특성을 보존하기 위한 제조공정 개발의 중요 ... ...
세계 원자력 R&D를 선도하는 한국원자력연구원
KAIST
l
2013.05.27
흔히 원자력은 두 가지 얼굴을 가졌다는 말을 많이 한다. 원자력은 원자폭탄, 방사능 등과 같이 위험천만하고 무서운 얼굴을 가지고 있으며 이미 제2차 세계대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나 체르노빌사건등으로 전 세계 사람들에게 그 공포를 보여주었다. 이와는 반대로 현재 전 세계 에너지의 19%를 ... ...
자연에게서 배운 인간의 수강 이력
KOITA
l
2013.05.14
“자연은 최고의 스승이다”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에서 활약했던 화가이자 과학자이자 공학자, 레오나르도 다 빈치가 한 말이다. 레오나르도는 르네상스를 대표하는 예술가다. ‘모나리자’나 ‘암굴의 성모’와 같은 회화들은 걸작으로 꼽히고 ‘최후의 만찬’과 같은 벽화는 이탈리아가 온갖 ... ...
멸종된 매머드, 다시 살아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5.10
약 1만 년 전 지구상에서 목격된 뒤 영원히 사라져버린 거대한 포유동물, 매머드. 첨단과학의 힘으로 되살아 날 수 있을까? 다국적 군단의 최첨단 협력 한국의 수암생명공학연구원과 러시아 북동연방대 연구진은 지난해 8월부터 시베리아 영구동토층에서 ‘매머드 발굴 탐사활동’을 펼쳐왔다. ... ...
DNA 정보 저장 왜 3진수로 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17세기 중반에서 18세기 초반을 살았던 독일의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정말 미스터리한 사람이다. 동시대인인 아이작 뉴턴에 비해서는 별로 알려져 있지 않지만 천재성에서는 뉴턴에 버금가는 인물이다. 사실 라이프니츠는 다방면에 관심이 많았고 그만큼 많은 업적을 내기도 했다. 그래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최근 미국에서 독감이 무서운 기세로 번지고 있는 모양이다. 독감 사망자가 이미 100명을 넘고 보스턴과 뉴욕은 공중보건 비상사태까지 선포했다고 한다. TV에서도 병원 응급실마다 환자로 넘쳐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2009년 신종플루 대유행 이후 좀 잠잠하다 싶었는데, 다시 사람들을 긴장시키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20세기 초반까지 세계 과학을 이끌고 있던 유럽은 나치가 득세하고 제2차 세계대전이 터지면서 그 주도권을 미국으로 넘겨주게 된다. 종전 뒤 오늘날까지 미국은 확고한 1인자로 권좌를 유지하고 있다. ‘네이처’와 ‘사이언스’에 부고가 실린 과학자 25명의 국적 분포가 이런 역사를 잘 설명한다.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4.01
몽골 초원에서 야생 상태로 살고 있는 프르제발스키 말. 생김새가 보통 말과는 꽤 다르고 염색체 개수도 다르지만 같은 종으로 분류하는 게 대세다. - Claudia Feh 제공 지난 해 초 국내 과학계는 난데없이 생물학 교과서 진화론 폐기 논란에 휩싸였다. 한 종교 계열 단체에서 제출한 교과서 개정 청원( ... ...
범부처 통합 생물자원관리체제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0.11.03
“생명연구자원은 의료·에너지·식량 등 인류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겁니다. 따라서 생명연구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게 매우 중요합니다.” 윤헌주 교육과학기술부 기초연구정책관은 2일 서울 서초구 팔래스호텔에서 열린 ‘생명연구자원 확보·관리 및 활용을 위한 ... ...
“생물자원전쟁, 새로운 전략이 필요할 때”
동아사이언스
l
2010.09.30
“일본 쓰쿠바의 흙에서 얻은 미생물(방선균)인 ‘쓰쿠바엔시스’로 만든 신약으로 최근 5년간 9900억 엔을 벌었습니다. 이외에도 일본 오키나와나 말레이시아 등 국내외 곳곳에서 생물을 채집해 신약으로 개발하려는 연구를 계속하고 있어요. 진정한 생물자원은 산업적으로 활용돼야지 갖고만 있 ... ...
이전
16
17
18
19
20
2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