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인
수락
접수
수납
수령
승인
시인
스페셜
"
수용
"(으)로 총 787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은 어떻게 세상을 인식하는가' 노벨생리의학상 수상자 공적
동아사이언스
l
2021.10.04
세포주를 확인했다. 기계적 힘에 의해 활성화된
수용
체를 이온 채널이라 가정하고 이
수용
체를 암호화한 것으로 예측되는 후보 유전자 72개를 찾아냈다. 이후 유전자를 하나씩 비활성화하면서 기계적 감각을 담당하는 유전자를 확인했다. 파타푸티언 교수는 기계적 자극에 반응하도록 만든 세포를 ... ...
노벨생리의학상에 온도와 감각 느끼는
수용
체 발견한 생리학자 2명(2보)
2021.10.04
"올해 의학상은 더위와 추위, 촉각을 감지하는 인간의 능력을 만드는 온도와 촉각
수용
체를 발견한 결정적인 공헌을 한 2명의 과학자에게 수여한다"며 "일상 생활에서 여기는 이러한 감각을 당연하게 여기지만 온도와 압력을 인지할 수 있는 신경 자극이 어떻게 시작되는제지에 관한 문제는 올해 ... ...
노벨생리의학상에 데이비드 줄리어스·아뎀 파타푸티언 '감각 온도
수용
체 발견자'(1보)
동아사이언스
l
2021.10.04
. 2021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인 데이비드 줄리어스 미국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생리학과 교수(왼쪽), 아뎀 파타푸티안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신경과학과 교수.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 스크립스연구소 제공 ...
[2021노벨상]코로나19 백신 개발 기여한 mRNA·NGS 노벨상 받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1.10.04
연구는 세포 면역학의 혁명으로 꼽힌다. 최근 주목받는 면역관문억제제와 키메라 항원
수용
체 T세포(CAR-T) 치료제 등 새로운 치료법을 만들 길을 열었다. 세 후보는 매년 노벨상 예측 경연대회를 여는 미국 비영리명예학회 ‘시그마사이(Sigma Xi)’에서도 노벨 생리의학상 최종 후보 4팀 중 하나로 ... ...
코로나19 감염이 당뇨병 발생 또는 합병증 위험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30
당뇨병 환자의 췌장에는 염증이 있을 가능성이 높은데, 베타 세포에 염증이 있으면 ACE2
수용
체 수치가 더욱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기존 당뇨병 환자나 당뇨병 전단계인 사람들이 코로나19에 감염되면 췌장 기능이 떨어질 위험이 훨씬 크다는 얘기다. 도타 교수는 "당뇨병 환자들이 다른 ... ...
미CDC "65세 이상 고령층·중증 질환자 추가 접종" 권고…곧 접종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21.09.24
의견을 CDC에서 최종
수용
하면 추가접종이 시행될 예정이다. CDC에서 ACIP의 의견을 반드시
수용
할 의무는 없으나, 큰 이견이 없는 한 따르는 것이 관행이다. 모더나의 코로나19 백신 추가접종은 현재 FDA에서 검토 중이며 존슨앤존슨은 아직 얀센 백신에 대해 추가접종 승인을 신청하지 않았다. 한편 ... ...
KIST 실패 용인하는 도전연구 3개 추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3
시각 복원기술 개발을 추진한다. 망막이 손상된 환자의 시신경에 인간 시각 유래 인공 광
수용
체를 도입해 시력을 복원하는 인공 시각 기술을 개발하는 게 목표다. 카메라 기반 인공 망막, 시신경 자극기 등 기존 기술과 비교해 새로운 시도다. 연구팀은 외부로부터 인공적 소재의 이식 없이 시력을 ... ...
아스트라제네카 백신 개발자 "코로나19, 더 치명적 변이 가능성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9.23
완전하게 변이할 수는 없다"며 “바이러스가 스파이크 단백질을 너무 많이 바꾸면
수용
체와 상호작용이 안 되어 인체 침입이 안 된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인체세포 침투를 위해 급격한 변이가 일어나지 않게 된다는 게 길버트 교수의 전망이다. 그는 “그렇게 되면 바이러스가 면역력을 ... ...
이호왕 고려대 명예교수,논문 인용 세계 최상위 0.01% '노벨상급' 연구자로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1.09.23
싱가포르 출신이다. 생리의학 분야에서는 이 명예교수와 존슨 명예객원교수 외에도 신경
수용
체 연구에 기여한 장 피에르 샹제 프랑스대 파스퇴르연구소 명예교수, 인터루킨-6 발견과 작용 규명에 기여한 히라노 토시호 일본 오사카대 명예교수와 기시모토 타다미츠 오사카대 교수가 꼽혔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비만치료제 게임체인저 나왔나
2021.09.23
리라글루타이드는 ‘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1(GLP-1)’ 호르몬과 구조가 비슷해 GLP-1
수용
체에 달라붙어 신호를 보낸다. GLP-1은 비교적 늦게 실체가 드러난 호르몬이다. 같은 양이라도 포도당 주사를 맞을 때보다 포도당을 먹을 때 혈당조절이 잘 된다는 사실이 알려진 뒤 과학자들은 이 현상을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