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옆"(으)로 총 307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세먼지 잡을 해법찾는 무박2일 끝장 개발현장 가보니어린이과학동아 l2019.08.10
- 시민들을 움직여 미세먼지 문제를 해결할 소프트웨어도 해커톤에 등장했습니다. 옆 테이블에서는 납땜을 하고 천장에는 드론이 날아다니는 새벽, 먼지가먼지 팀은 심장이 떨렸습니다. 19시간 째 컴퓨터만 만졌지 아직 눈에 띄는 결과물이 없었기 때문입니다. 희망은 새벽 5시, 김영범 씨가 택시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세 살 아기도 알건 안다2019.08.03
- 요청한 사람과 요청 받은 사람 둘 중 누구에게 더 많이 다가가는지를 관찰했다. 그 결과 옆 사람이 도움을 준 조건에서는 도움을 받은 사람과 도움을 준 사람에게 반반씩 다가가는 경향이 나타났다. 하지만 도움을 주지 ‘않은’ 사람이 있는 조건에서는 도움을 주지 않은 사람을 피해 나머지 한 ... ...
- [이정아의 닥터스]수면 연구에 평생 바친 김린 교수가 말하는 건강한 잠동아사이언스 l2019.07.03
- 수 있다. 미국 흉부학회 제공. 고약한 잠버릇이 있거나(본인이 자각하기 보다는 대부분 옆에서 자는 사람이 알려준다) 충분히 오랫동안 잠을 잤는데도 여전히 피로에 시달린다면 수면다원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다. 수면다원검사를 하면 뇌파를 통해 수면의 단계와 눈의 움직임, 근전도, ... ...
- 스페이스X '팰컨 헤비' 두번째 상업 발사 성공동아사이언스 l2019.06.25
- 재사용 로켓 회수에도 나섰으나 블록 5 로켓 3기를 모두 회수하는 데는 실패했다. 양옆 로켓 2기는 회수에 성공했지만 가운데 로켓의 경우 로켓이 해상 바지선에 착륙하는 과정에서 바다로 떨어져 폭발하는 장면이 라이브 영상에 포착됐다. 지난 4월에는 첫 상업발사 당시에는 모두 회수에 ... ...
- [이정아의 닥터스]“北도 당뇨병은 사회문제, 남북 윈윈모델 찾아야" 동아사이언스 l2019.06.17
- 회원으로 할동하고 있다. 북한에도 우리 대한당뇨병학회처럼 조선병원협회 옆에 당뇨병위원회가 있다. 이곳에서 매년 한 번씩 ‘평양당뇨병의학과학토론회’를 열고 있다. 북한에서는 학술대회를 토론회라 부른다. 북한당뇨병위원회가 중국에 있는 IDF 서태평양지역(WPR)을 통해 초청장을 보냈다. ... ...
- “자폐 영유아 눈 못 맞춘다는 건 편견”동아사이언스 l2019.05.30
- “보통은 타인의 감정을 볼 때 눈을 보고, 말하기를 배울 때는 입을 보며, 사람이 말할 때 옆에 다른 물체가 있어도 얼굴을 본다”며 “하지만 자폐 영유아는 상황이나 맥락에 맞게 무언가에 집중하는 게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위 사진은 연구에 사용된 동영상 예시다. 아래는 아동이 동영상 ...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① ADHD 진단하는 '로봇짱'동아사이언스 l2019.05.01
- 로봇짱에게 360도로 돌아가는 안테나 센서를 달아 로봇 정면에 있는 아이들 뿐만 아니라 옆이나 뒤에 있는 아이들도 동시에 실시간으로 진단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있다. 이와 동시에 로봇짱은 어린이에게 두 가지 미션을 주고 얼마나 잘 수행하는지 판단한다. 교실 한가운데 바닥에는 ... ...
- [강석기의 과학카페]소로가 사랑한 월든 호수 모습을 바꾼 지구온난화2019.04.30
- 데이터와 비교해 지구온난화가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다. 소로의 청동상 옆에서 포즈를 취한 프리맥 교수. Abraham Miller-Rushing 제공 콩코드에서 차로 한 시간 거리인 보스턴대의 식물학자 리처드 프리맥 교수는 21세기의 소로다. 그는 학생들과 자원봉사자들(시민 과학자들)과 함께 200 ... ...
- '당신의 구강나이는 OO살입니다' 국내 첫 치과종합검진센터 가보니동아사이언스 l2019.04.30
- 전자교합, 3차원 하악골이동검사를 진행하고 있다. 경희대치과병원 제공 아래턱과 턱 옆, 목, 관자놀이 등에 센서를 붙이고 입에 문 구강센서를 물었다. 위아랫니를 붙였다 뗏다를 반복하니 스크린 속 치아 위로 알록달록한 그래프가 나타났다. 힘이 센 어금니일수록 그래프가 더욱 길고 뾰족하게 ... ...
- [표지로 읽는 과학] 죽은 뇌세포를 되살리다동아사이언스 l2019.04.20
- 네이처 제공 뇌 형태로 쌓여 있는 모래가 조금씩 주르르 흘러내리는 모래시계. 그 옆에는 '과거로 되돌린 시간(Turning Back Time)'이라는 문구가 보인다.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18일 네나드 세스턴 미국 예일대 의대 신경과학과 교수팀이 4시간 전에 죽은 돼지의 뇌 일부 기능을 6시간 가량 다시 ... ...
이전1617181920212223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