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필자
지은이
저술자
저술가
저작자
편찬자
스페셜
"
저자
"(으)로 총 57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제2의 미토콘드리아 찾았나
2021.03.23
전 책을 읽을 때 여기저기 줄을 많이 쳤는데 이 부분은 깨끗하고 기억에도 없다. 사실
저자
가 책의 4장 ‘호흡의 의미’에서 세포호흡의 개념을 자세히 설명했음에도 까맣게 잊고 여전히 ‘발효는 산소가 없을 때 일어나고 호흡은 산소가 있을 때 일어난다’는 1920년대의 개념에 머물러 있었다. ... ...
지구 두 차례 위협한 소행성 자전 속도 빨라지고 있다…충돌 위험 커질수도
동아사이언스
l
2021.03.18
과정에서 생기는 ‘요프 효과’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의 제1
저자
인 이희재 한국천문연구원 박사후연구원은 “자전 주기는 27.8분, 세차 주기는 8.5분으로 빠르게 회전하는 소행성”이라며 “긴축이 15m, 짧은축이 8m인 찌그러진 감자 모양을 하고 있다는 사실도 처음 확인했다”고 ... ...
하버드대의 코로나 전략, 핵심은 '변이에 앞서는 대응'
연합뉴스
l
2021.03.18
유전체 분석과 돌연변이 탐색까지 검사 범위를 넓히는 걸 의미한다. 논문의 제1
저자
인 에이브러햄 랩(실험실)의 사라 클라크 박사과정연구원은 "진화하는 바이러스에 계속 앞서 있는 게 중요하다"라면서 "이번 연구가 그렇게 할 수 있는 통찰을 제공하기 바란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 ...
고대 화성 덮었던 물 "광물에도 상당량 붙잡혀 있어"
연합뉴스
l
2021.03.17
설명했다. [NASA/JPL-Caltech/ASU/ AFP=연합뉴스/ 재판매 및 DB 금지] 논문 공동
저자
인 Caltech 행성학 교수 베다니 에흘만 박사는 "대기를 통한 이탈이 화성의 물이 사라지는데 일조한 것은 분명하지만 지난 10년간 화성 탐사를 통해 밝혀진 자료들은 고대 수화 광물이 오랜 시간에 걸쳐 물을 가져가 ... ...
“걸을 때 왼쪽 무릎 더 구부려요”…걸음걸이 분석하는 AI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논문으로 공개됐다. 국내와 해외에서 각각 1건의 기술 특허도 출원했다. 논문의 제1
저자
인 전국성 박사과정 연구원은 “현재 부산 고신대병원에 보행분석 시스템을 설치해 200명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고 있다”며 “정형외과 환자뿐 아니라 전정기관 이상으로 어지럼증을 느끼는 ... ...
그린란드 빙하 1.4km 아래에서 발견된 나뭇잎…“그린란드는 한 때 ‘녹색땅’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6
‘캠프 센추리’에서 그린란드의 얼음 코어를 시추한 모습. 버몬트대 제공 논문의 제1
저자
인 앤드루 크라이스트 버몬트대 군트환경연구소 박사후연구원은 2019년 현미경으로 얼음 코어의 퇴적물을 관찰하던 중 믿을 수 없는 광경을 목격했다. 모래와 바위 대신 나뭇가지와 나뭇잎이 퇴적물에 섞여 ... ...
[동일본대지진 10년]원자력 정책 얼마나 투명해졌나
동아사이언스
l
2021.03.12
구축하려는 국가들에 대중 수용성에 기반한 접근을 제안하고 있지는 못하고 있다.
저자
들은 “전세계 많은 국가들에서 원자력이 광범위한 국가에너지 정책에 부합하는지를 제대로 살피지 않고 기술과 위험성이라는 입체적인 관점에 대한 대중의 의견을 고려하지 않은 채 소수의 정치 엘리트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한국 과학자 사회의 불평등에 대하여
2021.03.12
학위자의 생산성과 인정은 크게 뒤쳐져, 현격한 양극화가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저자
들에 따르면, 이런 불평등과 양극화의 가장 주요한 요인은 상당부분 지도교수와의 공동연구를 통한 후광효과에 기인하고, 지도교수의 후광효과는 한국 대학원보다 해외 대학원 출신에게서 더욱 크게 ... ...
"‘폐기’하세요"…AI가 알려준다 소고기 신선도를
동아사이언스
l
2021.03.10
포집해 스펙트럼을 분석해서 구성성분을 알아내는 기법이다. 논문의 공동 제1
저자
인 신성호 융합기술학제학부 석박통합과정 연구원은 “소고기 시료 78개를 16일간 서서히 썩게 만들면서 하루 두 번씩 확산광 반사 분광기법을 이용해 미오글로빈의 함량과 스펙트럼 정보를 측정했다”며 ... ...
워싱턴 의대 연구진 "기존 백신으론 변이 코로나 막기 어렵다"
연합뉴스
l
2021.03.06
않은 미국에서 상대적으로 좋은 결과가 나왔다고 과학자들은 전했다. 논문의 수석
저자
를 맡은 다이아몬드 교수는 "코로나19에 걸렸다가 회복하거나 백신을 맞은 사람들도 변이 코로나의 감염을 막지 못할 수 있어 걱정스럽다"라면서 "특히 면역력이 약해진 노약자 등은 변이 코로나를 막을 만큼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