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조상"(으)로 총 202건 검색되었습니다.
- 솔잎이 없으면 송편이 아니다?KISTI l2013.09.12
- 두고 먹어야 하는 음식인데다, 추석 날씨는 알다시피 꽤 덥단 말야. 그래서 똑똑한 우리 조상님들이 찜통에 솔잎을 깔았던 거야. 피톤치드가 세균을 막아줘서 송편이 잘 상하지 않거든. 어때, 여보야. 이제 송편 찔때 꼭 솔잎을 깔아야 하는 이유를 알았어?” “근데 삼백 개씩이나 만들 솔잎을 어디서 ... ...
- 호빗족은 지금도 어딘가에 살고 있을까?동아사이언스 l2013.09.02
- 자콥(Teuku Jacob) 교수는 LB1이 현재 플로렌스 섬에 살고 있는 피그미족인 람파사사의 조상으로 ‘이상소두증’이라는, 뇌가 비정상적으로 작은 질환에 걸린 사람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서는 두개골 전문가인 미국 플로리다주립대 딘 폴크 교수 등 여러 전문가들이 재반박하는 연구결과를 ... ...
- 알고 싶어요. 월주리듬이 정말 있는지…동아사이언스 l2013.07.30
- 무관심한 편이지만 그래도 지구에서 별로 보이지 않는 두 천체, 즉 해와 달(그래서 우리 조상들은 천체를 아울러 ‘해와 달과 별’이라고 불렀다)을 보면 참 신비롭다는 생각이 든다. 해의 지름은 139만km으로 달의 지름인 3476km보다 400배나 더 크지만, 지구에서의 거리는 해가 1억4960만km로 달의 38만4 ...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동아사이언스 l2013.07.15
- 70만 년 전 종과 나머지의 공동조상이 분리됐다. 그리고 4만3000년 전 종과 나머지의 공동조상이 분리됐다(그림 참조). 길들여진 말과 프르제발스키 말은 3만8000년~7만2000년 전 갈라진 것으로 나왔다. 발굴된 뼈만으로는 70만 년 전 종이나 4만3000년 종의 모습을 알 수는 없지만 게놈 데이터만 보면 ... ...
- '현실'이 있어야 하는 '증강'현실KOITA l2013.07.10
- 환경에서야말로 웨어러블 기기가 본격적인 힘을 발휘할 수 있었다. 구글 글라스의 직계 조상에 해당하는 시스템이 HUD(Head Up Display, 헤드 업 디스플레이)다. 운전을 해 본 사람이라면 알겠지만, 빠르게 달리는 상황에서는 속도나 엔진 회전수를 확인하러 계기판에 눈을 돌리는 것이 여간 부담스럽지 ... ...
- ‘정크 DNA’는 정말 쓰레기통에 버려야 할 개념인가?동아사이언스 l2013.05.22
- 것이다. ●불과 8200만 염기쌍인 통발 게놈 통발 게놈의 진화 과정을 도식화 했다. 2배체인 조상에서 유전자 10개가 있는 부분(a. 염색체는 쌍으로 있으므로 하나만 표시)에서 전체게놈복제(WGD)가 일어나 4배체가 됐고(b. 유전자 20개) 뒤이어 중복된 유전자 일부가 소실됐다(c). 두 번째 WGD가 일어나 ... ...
- 역사와 문화가 공존하는 보배섬 '진도'KIMST l2013.05.03
- 계신 곳을 향해 문안 인사를 하던 선비의 충정이 느껴졌으며 고려, 조선 시대 에 걸친 조상의 강한 항쟁정신을 느끼기에는 더할 나위 없이 훌륭했다. 서늘한 바닷바람과 쏟 아지는 눈보라 속에서도 역사와 전통 문화가 한데 어우러져 독특한 멋을 뽐내는 섬, 진도. 진 정으로 보배로운 섬이라는 ... ...
- 당신에게 네안데르탈인의 피가 흐른다면?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건 이들의 조상이 15~19세기 서아프리카에서 노예사냥꾼에게 잡혀 미국으로 건너온 이들 조상의 일부가 이 염색체를 갖고 있었기 때문이다. 아이러니컬하게도 인류 최악의 반인륜적 범죄의 결과가 놀라운 인류의 비밀이 밝히는데 일조한 셈이다. 흥미로운 사실은 오늘날 음보족이 살고 있는 곳에서 80 ...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고세균은 약 20억 년 전(물론 추측이다) 공통조상에서 갈라졌다. 이제 이 공통조상의 조상을 거슬러 올라가면 약 30억 년 전(역시 추측이다) 세균과 갈라진 시점에 도달하게 된다. 이런 관점에서 첫째고개의 질문이 성립하는 것이다. 1990년 논문은 즉각 뜨거운 환영(주로 미생물학계)과 격렬한 저항을 ...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동아사이언스 l2013.04.25
- 젠킨스 탐험의 정점은 1999년부터 제자였던시카고대 닐 슈빈 교수와 함께 한, 육상동물의 조상을 찾는 북극탐사였다. 북극곰의 습격을 받을지 모른다는 두려움 속에서도 이들은 북극해에 면한 캐나다 엘즈미어섬의 데본기 지층을 뒤진 끝에 2004년 마침내 잃어버린 고리를 찾는데 성공했다. ... ...
이전16171819202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