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존
실재
실존
현존
본질
생계
삶
스페셜
"
존재
"(으)로 총 2,021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구글 양자 프로세서로 순간이동 ‘웜홀’ 가능성 엿보다
동아사이언스
l
2022.12.03
여행도 가능하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을 불러오기도 했다. 하지만 웜홀은 이론적으로만
존재
했고 현실에서는 실험 모델도 없었다.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 연구팀은 구글의 양자컴퓨터 프로세서인 ‘시카모어(Sycamore)’를 활용해 실험실에서 양자 중력을 연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성숙한 사랑의 토양은 '인내'
2022.11.26
쌓아두었을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우리는 서로에게 짜증날 수 밖에 없는 불완전한
존재
임을 인정하고, “원래 자세히 보아야 이쁘다”며 서로의 장점이나 좋은 점, 고마운 점을 계속해서 상기하는 사람들은 마음이 식다가도 다시 데워지며 관계를 오래 지켜나가는 경향을 보인다. 쉽게 말해서 ... ...
[일상 속 뇌과학] 뇌가 실수와 오류를 제거하는 법
2022.11.25
혈류량, 대사활동 증가를 유도하는 신경전달물질로 알려져 있으므로 수컷은 암컷의
존재
를 눈치채고 좀 더 학습에 집중하는 동시에 노래 학습 회로 내 오류 정보 발생을 줄이는 다양한 방식으로 학습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비록 새를 활용한 연구 결과들을 소개했지만 인간인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코로나 백신 여러번 맞아야 하는 이유
2022.11.22
이 세 가지 감염병 모두 우두와 같이 면역효과를 일으키면서도 증상은 약한 감염병이
존재
하지 않으므로 파스퇴르의 업적도 종두법과 마찬가지로 의학의 역사를 바꿀 만큼 위대한 발견이라 할 수 있다. 파스퇴르가 정복(?)하려 한 세 가지 감염병이 두창에 해당한다면 우두에 해당하는 감염병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거울 나라는 현실이 될까
2022.11.15
분해할 거울상 효소가 없어 별다른 조치를 하지 않아도 좀처럼 파괴되지 않고 안정하게
존재
할 수 있다. 연못 물에 넣은 현실의 DNA바코드는 하루도 못 가 파괴되는 반면(왼쪽) 거울상 DNA바코드는 1년 뒤에도 온전하다(오른쪽). 각종 시료의 정보를 담은 거울상 DNA바코드가 조만간 널리 쓰이지 않을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유전자 '조작'의 명과 암...어디까지 허용될까
2022.11.09
Herbert Wayne Boyer)는 유전자 재조합 기술에 대한 아이디어를 토론했다. 코헨은 염색체 밖에
존재
하는 플라즈미드를 연구하고 있었고, 보이어는 제한효소의 하나인 EcoRI을 연구하고 있었다. 이들은 포도알균(Staphylococcus)의 DNA와 대장균의 플라즈미드를 EcoRI으로 처리해 자란 DNA의 끝부분이 일치하도록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이태원 참사 의문 해소 안되면 '슬픔' 지속돼"
2022.11.06
나는 가치 있는 사람이라는 한 인간을 지탱하는
존재
론적인 안정감은 소중한 사람들의
존재
로 인해 완성된다. 사회적 동물이 느끼는 안정감은 가족 같이 보살핌의 근원이 되는 특별한 사람들과의 애착을 통해 형성되기 때문이다. 때문에 이들 중 누구라도 잃는 경험을 하게 되면 우리는 지금까지 ... ...
[표지로 읽는 과학] 수천 개의 뉴런이 함께 연주하는 오케스트라, 뇌
동아사이언스
l
2022.11.06
것이 알려지며 2005년 등장한 개념이 '커넥톰(Connectome)'이다. 한 개체 내 신경계 안에
존재
하는 모든 뉴런들이 서로 연결한 지도를 말한다. 전 세계 신경학자들은 단순히 세포의 특성을 밝히는 수준을 넘어 이들간 연결성을 찾기 시작했다. 2011년에는 처음으로 302개 신경세포를 가진 예쁜꼬마선충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오후 6시까지 먹는 시간제한 섭식이 좋은 이유
2022.11.01
과정을 거슬러 올라가다 보니 제3의 광수용체 발견을 보고한 2002년 논문이 아니라 그
존재
를 예측한 1991년 논문을 ‘오리지널’로 선정하게 됐다. 눈먼 생쥐도 여전히 일주리듬, 빛의 유무에 따른 하루 24시간 주기를 따른다는 발견이다. 논문에서 저자는 그때까지 알고 있던 두 가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나'를 지탱해주는 '누군가'의
존재
2022.10.29
한다. 내가 미약해서 할 수 있는 것이 별로 없을 때일수록 나를 지탱해주는 누군가의
존재
가 희망의 이유가 되고 나아가서 살아갈 힘이 되는 것이다. 우리는 서로가 서로의 삶의 이유가 될 수 있다. 그렇기에 오늘도 살아 있다.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 ...
이전
16
17
18
19
20
21
22
23
2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