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방
쌕
후위
핸드백
100
전역백
back
d라이브러리
"
백
"(으)로 총 6,573건 검색되었습니다.
남십자성과 에타카리나 성운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정상에 있었다. 주변이 국립공원으로 둘러싸여 있어서 전망이 훌륭한데, 호주에 있는 수
백
개의 국립공원 가운데 열 손가락 안에 드는 유명한 공원이라고 한다. 위도가 -31도여서 궁수자리 속에 있는 우리은하의 중심부분이 거의 천정에 남중하는 셈이다. 돔 건물은 높이 50.3m(약 17층 높이)에 무게가 ... ...
화담 서경덕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수학을 기초로 자연세계를 이해하려는 체계임을 인식하게 됐다.그리고 최한기는 수
백
년 전에 이미 자연현상을 수학적으로 이해하려고 노력한 선배가 조선에 있었음을 강조했는데,그가 바로 서경덕이었다 ... ...
멸종위기 식물 되살리기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6종, 한계령풀 등 보호종 52종이 있으며, 산림청에서는 가시연꽃을 비롯한 희귀식물 2
백
17종을 선정해 지속적인 보전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 가운데 섬시호는 자생지에서 이미 사라졌다고 판단되는데, 어느 곳에서도 살아 있는 개체를 확보할 수 없어 이미 복원이 불가능한 상태이다.정부는 1970년대 ... ...
2001 우주 오디세이(2001 A Space Odyssey)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발견한다. 달에서 발견된 것과 똑같은 1:4:9 비율의 직육면체 모양인, 그러나 높이는 6
백
m가 훨씬 넘는 거대한 선돌을.그는 스페이스퍼드를 타고 나가서 선돌에 착륙한다. 그 순간 보먼은 믿기지 않는 상황에 직면한다. 마치 선돌의 안팎이 뒤집힌 것처럼, 별로 가득 찬 우주공간 한 복판에 떨어진 ... ...
축구 오프사이드는 심판 보기 나름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하며 오프사이드 등을 판정한다. 그런데 연구팀이 월드컵과 유럽 프로축구리그 2
백
여 경기를 이동카메라와 비디오 판독기로 조사한 결과, 선심은 일반적으로 최종 수비선수보다 골라인에 1m 정도 더 가까이 서있었다. 게다가 선심은 공격수를 더 주의깊게 보는 경향이 있다.이런 상황에서 (그림)의 ... ...
화폐에 등장하는 과학자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피뢰침의 원리를 밝힌 과학자로 무려 우리나라 11만원에 해당하는 고액 화폐인 미국 1
백
달러 지폐에 나타난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이나 뉴턴에 비해 과학적 업적이 떨어진다. 그런데도 왜 ‘준과학자’에 속하는 프랭클린이 아인슈타인이나 뉴턴보다 더 비싼 화폐에 등장하는 것일까?고액 화폐라면 ... ...
별똥별을 온몸으로 맞은 21세기 어린왕자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10년 후 6
백
명은 더 필요하다는 게 이교수의 생각이다.이영욱 교수는 오메가 성단이 1
백
억년 전 우리은하와 충돌한 작은 은하라는 사실을 밝혀내고 세계적으로 주목받았다. 하지만 그는 그 결과에 자만하지 않는다. 앞으로 해야할 일이 너무나 많기 때문이다. 이교수는 연구자의 기본 정신인 창의성에 ... ...
만약 빛의 속도가 아주 느려진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현상은 빛의 속도가 아주 작아진다면 쉽게 눈에 뛸 것이다.만약 빛의 속도가 시속 1
백
km라면 시속 50km로 달리는 차에서 1m인 물체는 87cm로 짧아진다.변함없는 빛의 속도제자리에서 공을 던지는 것보다 달려오면서 공을 던지면 더 멀리 날아간다.왜냐하면 땅에 대한 공의 속도는 제자리에서 던진 공의 ... ...
선과 악을 넘나드는 두 얼굴의 산소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물질의 역할도 한다. 이런 활성 산소들은 단
백
질의 산화 또는 환원에 관여함으로써 단
백
질의 특성을 변화시키기도 한다. 근래 일산화탄소처럼 인체에 치명적인 독성을 가진 일산화질소도 중요한 신경 전달물질이라는 사실이 밝혀져 관심을 모으기도 했다.인체가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메커니즘이 ... ...
지구 온난화가 설사병 증가의 원인?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것”이라고 말했다. 설사병은 주로 개발도상국에서 많이 발생해 매년 5세 미만의 어린이 3
백
만명을 사망시키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의 전문가들은 이 연구를 통해 보다 효과적인 어린이 설사병 예방 계획을 세울 수 있게 됐다며 환영 의사를 밝혔다 ... ...
이전
206
207
208
209
210
211
212
213
214
다음
공지사항